• 제목/요약/키워드: 병원 종사자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2초

일 지역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환자 안전문화 인식에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Understanding on Patient Safety Culture in General Hospital Employees)

  • 정상진;류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81-289
    • /
    • 2017
  • 본 연구는 일 지역 종합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환자 안전문화의 인식 정도와 환자 안전문화 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자료조사는 G 광역시 소재 5개 종합병원으로 의료기관 인증 평가를 받고 인증된 종합병원 종사자 343명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12일부터 2017년 4월 2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t-검정과 분산분석, 사후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환자 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27{\pm}.27$7점 이었으며, 환자 안전문화 하위 영역별 인식 점수로는 사고횟수 인식이 가장 높았고 직속상관 및 관리자 안전 인식이 가장 낮았다. 환자 안전문화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병원 근무경력, 현부서 근무경력, 직업(전문)경력, 근무부서, 환자접촉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병원근무 경력, 직업경력, 현부서 근무 경력이 짧을수록 인식이 높았고, 직접접촉자에 비해 간접접촉 종사자의 환자 안전문화 인식이 높았다. 환자 안전문화 인식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병원경력에서 11년 이상, 6-10년이었고, 근무부서에서는 병동 종사자이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종합병원에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종사자의 환자 안전문화 인식이 중요하다.

병원종사자들의 조직태도에 개인성향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dividuality Inclination on the Organizational Attitude of Hospital Employees)

  • 임정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34-240
    • /
    • 2019
  • 본 연구는 노동집약적이고 관계지향형인 병원조직에서 인적자원관리의 효율성 방안 모색을 위하여 근접한 서비스 접점인 간호직 의료기사직 행정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직태도와 개인성향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병원종사자들의 개인성향이 변덕형 수준이 낮을수록, 외향적 수준이 높을수록, 목표추구형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태도가 우호적인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변덕형 수준의 정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병원조직은 조직구성원들이 적극적이고 논리적인 외향적 성향과 조심스러운 언행과 목표달성을 위한 감정조절 등의 목표추구형 성향의 수준을 강화시키고, 원만하지 않은 인관관계와 결정의 번복이나 미루는 행동 등의 변덕적 성향의 수준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내 동물병원의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및 방사선 관계종사자 안전관리에 관한 융복합적 분석 (Convergence analysis of safety management for radiation workers and diagnostic radiation-generator devices of animal hospital in Korea)

  • 강경묵;서태영;김용상;윤선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5-61
    • /
    • 2020
  • 다양한 종류의 방사선 발생장치가 동물병원에서 사용되면서 방사선 관계종사자들의 안전이 중요해지고 있으나 방사선 발생장치 및 방사선 관계종사자들에 대한 안전관리 정보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검사기관 및 측정기관, 시·군·구에서 조사되어진 방사선 발생장치 및 관계종사자, 피폭선량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최근 6년간 동물병원에서의 방사선 발생장치와 관계종사자 수는 각각 2,138대에서 2,972대, 2,644명에서 5,733명으로 증가하였다. 2019년 방사선 발생장치의 수는 일반 X-ray, CT, C-arm, 이동형 X-ray, 치과용 X-ray는 각각 2,204대, 58대, 67대, 770대, 14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9년 방사선 관계종사자 수는 수의사 4,236명, 수의간호사 1,080명, 업무보조원 404명, 기타 13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8년 방사선 관계종사자 연간평균피폭선량은 표층선량 0.21mSv, 심부선량 0.18mSv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물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사선 발생장치 및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헬스케어에 따른 병원종별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비교 : 일반병원과 요양병원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acts of Emotional Labor of Workers with the Types of Hospital Influencing Job Stress by Health Care - General Hospital and Nursing Hospital)

  • 정연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659-666
    • /
    • 2020
  • 본 연구는 헬스케어에 따른 병원종별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연구 자료는 G광역시, J도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387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병원종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분석 결과 일반병원의 경우 감정노동은 월 소득, 현 병원근무경력에서 유이한 차이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는 학력, 현 병원근무경력, 설립구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요양병원의 경우 감정노동은 학력, 음주여부, 월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병원종별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분석 결과 일반병원, 요양병원에서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는 정적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병원종별 감정 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일반병원, 요양병원에서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종사자들의 작업관련 자각증상 호소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laint Rate of Work-Related Self-Conciousness Symptoms in Hospital Workers)

  • 이성란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984-987
    • /
    • 2010
  • 본 연구는 병원 종사자들의 작업관련 자각증상 호소율의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0년 5월 18일부터 6월 18일까지 서울 소재 2개 종합병원 종사자 1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작업관련 자각증상 호소여부는 허리의 증상호소자가 평균 19.53점으로 비증상호소자의 평균 13.06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9.684, p=0.007) 둘째, 운동을 안하는 군에 비해 운동을 불규칙적으로 하는 군의 자각증상 호소률은 2.18배(OR=2.183, 95%, Cl=1.362-7.420)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관련 증상관리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시 이에 대한 총체적인 반영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 PDF

일반병원과 특수 · 전문병원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비교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job stress of workers in general hospitals and special · specialized hospitals)

  • 김동현;김남송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704-3714
    • /
    • 2013
  • 일반병원과 특수 전문병원의 직무스트레스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각 병원별 특성에 맞는 스트레스 극복을 통해 안정된 직원관리와 완화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일반병원종사자 109명, 특수 전문병원종사자 117명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측정도구는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지난 2004년 정책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에 따른 한국형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일반병원과 특수 전문병원간의 환경과 조직체계에 따른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스트레스의 특성이 파악되었으며 향후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병원특성에 맞는 스트레스 극복 프로그램의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 바란다.

부산지역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Research on Job Stress of Hospital Workers in Busan)

  • 정용모;장효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41-251
    • /
    • 2010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와 직무스트레스에 스트레스 측정영역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9개 의료기관(종합병원 2개, 병원 7개) 종사자 475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종사자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 측정영역은 직무요구이었으며, 가장 낮은 영향영역은 직장문화이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한국인 참고치와 비교시 남성은 직무요구 영역, 여성은 직무불안정 영역이 상위 50% 범주에 해당되었다. 본 연구결과 의료기관 의 조직관리는 종사자특성에 따라 스트레스 요소를 고려하여야 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일개 종합병원 의료종사자들의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료과오보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on Perception of Medical Errors Report Related to Patient Safety of Healthcare Workers in a General Hospital)

  • 강정미;권정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61-7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의료종사자들의 환자안전과 관련된 병원환경, 조직문화, 의료과오보고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의료과오보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B광역시 종합병원 의료종사자 244명을 대상으로 2017년 2월 13일부터 2월 28일까지 설문조사 후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병원환경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26(${\pm}0.31$)점, 조직문화 평균점수는 3.74(${\pm}0.54$)점, 의료과오보고 평균점수는 3.64(${\pm}0.57$)점이었고, 의료과오보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beta}=.137$, p=.023), 직종(${\beta}=289$, p=.001), 간호직의 근무부서(${\beta}=-.196$, p=.023), 병원환경(${\beta}=.327$, p=<.001), 조직문화(${\beta}=.288$, p=<.001)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의료종사자들이 의료과오보고를 두려워하지 않고 보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적절한 인력의 확보 및 배치와 개방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관리자와 병원경영진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병원종사자들의 직무가치와 직장가치 인식 간의 관계에 조직성과 자각상태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 Performance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and Organization Value of Hospital Employees)

  • 하오현;이영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29-239
    • /
    • 2020
  • 본 연구는 병원종사자들의 심리적 속성과 태도적 속성을 고려하여 조직차원에서 효과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목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부산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4개, 병원 5개, 요양병원 7개, 정신병원 7개의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2일부터 5월 2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여, 직무가치 인식과 직장가치 인식 간의 관계에 조직성과에 대한 자각상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중심화방법을 이용하여 3단계 모형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절회귀분석 결과, 직무가치와 직장가치 간의 관계에 조직성과 자각상태의 조절효과가 있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근무의료기관 종류가 병원인 경우의 간호사들은 고객대응 노력수준과 병원 이미지에 대한 자각이 조절효과가 있었다. 둘째, 근무의료기관 종류가 병원인 경우의 행정직 종사자들은 고객대응 노력수준에 대한 자각은 부정적인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병원 이미지에 대한 자각은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었다. 셋째, 근무의료기관 종류가 요양병원인 경우의 간호사들은 성장과 경쟁력에 대한 자각은 긍정적인 조절효과, 병원 이미지에 대한 자각은 부정적인 조절효과가 있었다. 즉, 병원종사자들의 직무가치 인식과 직장가치 인식 간의 관계에 조직성과에 대한 자각상태의 조절효과는 근무의료기관 종류와 직종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