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행정직원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7초

동물약계

  • 한국동물약품협회
    • 동물약계
    • /
    • 106호
    • /
    • pp.4-7
    • /
    • 2006
  • 동물약사감시 행정처분 결과 홍보/동물용의약품등 취급규칙 하위 규정 작업단 규정/양식어류용 약제 개발을 위한 협의회 개최/검역원 동물약품 관련 세미나 참석/품질관리우수업체 간담회 개최/2/4분기 가축전염병중앙예찰협의회 참석/VIV CHINA 2006 중소기업청 지원사업 선정/수출촉진협의회 개최/VIV ASIA 2007 참가업체 수요조사 실시/가축전염병 병원체 해외분양 관련 협의회 개최/동물의약연구회 창립 및 학술세미나 개최/2007년도 병역지정업체 선정 신청/(주)제일바이오 산업재해 동탑산업훈장 수상/협회 직원 인사/수해지역 방역용 동물약품 지원/검역원 방역약품 지원현황/소독약품 사용방법 개선시험 추진 현황

  • PDF

지역 의료기관 행정직 직장인의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tress and Depression)

  • 김혜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069-5077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병원 직장인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B 시 지역에 소재한 306개 의료기관의 행정직 직장인 700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정도를 측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2012. 2.-2012. 5). 직급, 근무기간 등 직무관련 특성별 행정직 직장인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 수준을 분석하였고,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r=-.238, p<.001), 우울(r=-.626, p<.001)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자기효능감의 매개적 영향력은 유의하였다(p<.001). 자기효능감과 같은 개인의 내적인 특성은 성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변화가능성이 큰 요인이다. 따라서 의료기관 행정직원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조직차원의 체계적인 개입을 통하여 조직 내 직무스트레스의 부정적 특성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의료서비스품질이 암환자의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al Service Quality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visit in Cancer Patients)

  • 양종현;송태균;장동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69-281
    • /
    • 2012
  • 본 연구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및 지역 대학병원에서 수술 및 치료를 받은 암환자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SEM)을 이용하여 의료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품질을 구성하는 의료의 질과 행정서비스 요인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고, 더불어 의료의 질, 시설 및 환경, 행정서비스 요인은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의료의 질과 행정서비스 요인은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은 암환자의 만족도 및 재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 우수한 의료진의 확보를 비롯한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 직원 친절교육 강화 및 행정서비스의 편리성 제고 등과 같은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대학병원 조직내의 갈등해결유형 연구 (The Type of Conflict Management in University Hospital Organization)

  • 김동식;강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501-2508
    • /
    • 2009
  • 본 연구는 병원조직내에서 상존하는 갈등을 해결하는 형태를 파악해 봄으로써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일개 대학병원에서 간호사, 의료기사, 행정직원 269명을 대상으로 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 조사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갈등해결 유형면에서 성별, 연령별, 근무부서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갈등해결 유형면에서 성별로는 회피유형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별로는 경쟁, 회피, 협동방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근무부서별로는 회피, 협동 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록 본 연구가 일개 대학병원내의 설문자료라는 한계가 있어 일반화 하는데 어려움이 있지만 병원이라는 특수 조직내에서는 늘상 갈등이 발생하기 마련인데 본 연구를 통하여 성별, 연령별, 부서 간 갈등해결 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개인 간, 또한 부서 간 상호 협조와 경쟁 (Co-Petition)을 이루어내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병원조직전체의 업무성과가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 중간관리자의 근무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s as a Dental Intermediary Manager)

  • 문학진;임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3-271
    • /
    • 2016
  • 본 연구는 대전 충남 지역 치과병 의원에서 10년 경력 이상 근무한 치과 중간관리자 업무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고자 심층면접을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과위생사는 선배 치과위생사가 퇴사, 치과의사의 권유, 이직, 승진 등 다양한 과정으로 중간관리자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 중간관리자로서 역할로는 주기적으로 소통을 통하여 직원을 관리를 하거나, 신입직원을 교육시키거나, 역량에 맞춰서 적합한 업무에 배치, 대화를 통한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등 인적자원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를 관리하거나 경영목표를 설정하는 등의 업무도 다양하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 중간관리자는 직원들에게 목표를 설정해주고 성과를 달성하였을 경우 보상을 하거나, 칭찬을 하는 등 적절한 동기부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 중간관리자의 어려움은 중간관리자가 개념 및 역할을 모르거나, 추가적인 업무에 대한 어려움, 원장님과 직원 간에 중간역할의 어려움, 환자 관리, 업무에 대한 권한과 책임이 모호함, 상사와의 의견충돌, 중간관리자의 업무에서 느끼는 오해, 중간관리자 업무에 대한 교육의 부재 등으로 나타났다. 치과 중간관리자는 리더십, 변화주도, 자기관리 등의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느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간관리자로서 느끼는 보람으로 직원을 지원하여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게 한 점과, 환자가 진심으로 감사함을 표현할 때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치과 중간관리자는 인적자원관리, 병원 경영 지원, 환자 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양한 치과 환경에 따라 중간관리자의 업무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고 치과 중간관리자에 대한 직무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치과 중간관리자에게 필요한 리더십, 변화관리, 자기관리, 재무관리 등 교육과정이 개설되어야 할 것이며, 치위생학 교육과정에도 환자 및 직원관리를 위한 의사소통, 치과 행정, 컴퓨터 활용 교육 등 중간관리자 업무에 대한 교육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치과 중간관리자의 역량 진단도구 및 평가도구와 관련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경인지역 대학병원 행정직원이 인지하는 임파워먼트 정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Workplace Empowerment on University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박재산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8
    • /
    • 2002
  • Empowerment is a multifaceted concept which can be described somewhat differently. In general, it is defined as the motivational concept of autonomy and self-efficacy. Recently, this concept of empowerment is applied to improve organizational staff'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any organizations. Empowerment in service organizations has certainly generated more publicity than any other organiza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degree of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s empowerment using Spreitzer(1995)'s empowerment theory, and also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preitzer argues that the work empowerment is composed of 4 dimensions (meaning,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mpact) and each dimension influences employe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end.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181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at 3 university hospitals in Inchon and Kyunggi-Do. The response rate is 8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V10.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s empowerment is a high level point at the 7 Likert Scale. Second, the reliability of 3 variables,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tatistically satisfied(Cronbach's alpha>0.80). Thir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four components of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impact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case of job satisfaction, the meaning and competence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P<0.05). And the cas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aning and impact components have a positive relation(p<0.05).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workplace empowerment is significantly related to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PDF

종합병원 고객 접점 행정직원에 대한 권한부여와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General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working for Customer Interaction Department)

  • 김유리;김태현;이상규;유창훈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5-80
    • /
    • 2018
  •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general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working for customer interaction department.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ampled 260 administrative staff working for the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A total of 2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m, and 229 ones responded to the survey, which had been conducted from Mar. 9, through Mar. 30, 2018. 211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8.0K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empowerment of the subjects scored 3.73 on average on the 5-point scale. To be specific, the sub-factor 'meaning' scored the highest or 4.01, while the sub-factor 'impact' was lowest. Subjects' job satisfaction scored 3.37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d 3.54 both on the 5-point scales. Practical Implications: Meaning and self determination of empowerment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articularly, meaning of empowerment was more strongly related. Hence, it is required of the general hospitals to operate a customized competence build-up program and educational courses on a continual basis. Besides, it would also be important to create a working environment wherein the administrative staff can demonstrate their deliberation, autonomy and independent services.

병원행정직원의 임금만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Satisfaction with Salary of the Clerical Staff in Health care Organization)

  • 김태성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8권
    • /
    • pp.103-127
    • /
    • 2002
  • In this study, satisfaction with salary of the clerical saff in health care organization was analyzed with a view to provide data contributive to efficient wage management for the clerical staff of hospitals. For the analysis, it was investigated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wage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s as well as comparative factors perceived by self or by others in-and outside the working place.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n support of the hypothesis that the satisfaction with wage of the clerical staff in hospitals will individual factor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the satisfaction with wage depending on age and career, but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and education. Thus, the hypothesis I in this study can be partly adopted. Second, with regard to the hypothesis that the satisfaction with wage of the clerical staff in hospitals will vary with environmental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comparative factors perceived by self or by others inside the working place and those perceived by others outside the working place,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shown in the comparative factors perceived by others outside the working place. Wherea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wage depending on the position, which led to the partial adoption of the hypothesis II. This study has following limits in search of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wage of clerical staff in hospital depending o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e sample is too small to represent the general wage level satisfaction of the whole health care organizations, since the survey hasn't covered the wage level and management of the employees in all hospitals; the professional attitude and rate of fluctuation that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wage level are not considered.

  • PDF

재활병원 종사자들의 스포츠 참여 활동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Sporting Activities on Job Satisfaction in Rehabilitation Hospital Workers)

  • 문경민;이현수
    • 재활복지
    • /
    • 제22권4호
    • /
    • pp.59-81
    • /
    • 2018
  •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 종사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 분석을 하여 스포츠 활동의 참여가 직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5년 4월부터 5월까지 8개의 부산광역시 재활병원소속 간호사, 간호조무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행정직으로 종사자를 선정 후,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t-검정,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Cronbach's ${\alpha}$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검증(Duncan)을 실시하였고, 상관관계(correlation analysis)와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포츠 활동 참여 형태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검정 결과 운동시간, 운동빈도, 운동종목 그리고 운동기간 등 모든 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운동시간과 운동빈도가 많고 운동경력이 높을수록, 운동종목의 경우 아쿠아로빅과 에어로빅 종목을 참여하였을 때 직무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었고,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직무만족도 하위 5개 요인 중 자기평가성, 이직성향, 직무몰입 그리고 직무만족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빈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참여빈도에서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포츠 활동참여가 재활병원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때, 재활병원 내 직원 구성원들의 스포츠 동호회 활동과 체육시설 설치 그리고 운동시간에 대한 할애 등 지원을 통해 업무능률 향상과 활기찬 직장 분위기를 만들 수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스포츠 활동을 장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개 S상급종합병원 내 직종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허즈버그의 동기 및 위생요인 중심으로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by Occupation in S Tertiary Hospital -Focused Herzberg's Motivation and Hygiene Factors)

  • 강건우;정호태;남윤택;조은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96-104
    • /
    • 2021
  • 병원은 전문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구성된 특수한 조직이다. 다양한 직무 분야와 사회적 관심 분야의 변화로 직업의식 및 직무만족에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고, 조직이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이를 효율적으로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 직종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 서울 소재 일개 S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할당표본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향요인별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전반적인 직무만족과 영향요인에서 보건직이 가장 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 영향요인 분석에서 의사직은 성취감, 보수, 근무환경, 간호직은 성취감, 보수, 직무안정성, 보건직은 성취감, 근무환경, 행정직은 성취감, 대인관계, 근무환경, 직무안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기요인뿐만 아니라 위생요인에서도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관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동기요인과 위생요인 모두를 고려해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