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전략

검색결과 526건 처리시간 0.024초

Strategic Orientation of Rural Hospitals in the U.S.A. -Implications for Korean Rural Hospitals-

  • Seo, Young-Joon;Robert L. Ludke;Ko, Jong-Wook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3-190
    • /
    • 1996
  • 본 논문은 미국 농촌병원의 경영전략과 관련하여 몇가지 가설을 검증한 연구결과이다. 구체적으로 1987년부터 1991년 사이의 미국 농촌병원들의 기본적 경영전략 지향 형태와 변화 추세, 경영전략과 환경 및 병원특성과의 관계, 그리고 경영전략과 재정적 성과의 관계 등이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미국 농촌지역의 모든 종교병원과 영리병원, 그리고 무작위 표본추출로 뽑힌 50%의 공공병원 및 기타 비영리 병원의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1989년에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사용가능한 640개 병원 (응답율 43%)의 자료가 분석 이용되었다. 조사대상병원의 환경적 특성자료는 지역자원 파일(Area Resource File)에서 수집하였고, 병원특성 및 재정적 성과자료는 미국병원협회 연감(Annual Survey of Hospitals)에서 구하였다. 응답병원과 비응답병원간에 환경 및 병원특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Miles와 Snow가 개발한 방어형(defender), 분석형(analyzer), 진보형(prospector), 반응형(reactor)의 네가지 경영전략지향 형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미국 농촌 병원들은 과거에는 방어형 및 분석형의 경영전략 지향을 보이다가 점차 반응형과 진보형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2) 가장 뚜렷한 경영전략 지향의 변화추세는 방어형이 급격히 줄고 반응형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많은 병원들이 급격한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일관된 전략 지향보다 융통성 있고 탈력적인 경영전략을 선호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3) 농촌병원들은 경영전략의 급격한 변화를 추구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할 근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급격한 의료환경의 변화로 인해 병원들이 다양한 경영전략의 변화를 모새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대부분의 외부환경 및 병원특성은 병원의 전략지향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구 10,000명당 의사수, 병상규모, 위탁경영 여부, 병상점유율, 소유형태 등의 변수들이 경영전략 지향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경영전략 지향이 상이한 병원들은 세부 실천전략에 있어서도 치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일부 전략에 있어서 사실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어형 병원들은 진보형이나 반응형 병원들보다 내부관리전략, 다양화 전략, 의사유치전략, 직원복지전략 등에 있어서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 비록 방어형 병원들이 다른 형태의 병원보다 낮은 재정적 성과를 보이고 있었지만 본 연구의 자료로는 경영전략지향과 재정적 성과간의 인과관계를 구명할 수 없었다. 또한 재정적성과에 따른 전략지향의 변화여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의 전략지향들이 환경에 따라 나름대로 장점을 가질 수 있으며 반드시 어느 한가지의 전략지향만이 최선은 아님을 시사해주고 있다. 7) 병원의 경영전략 변화는 환경의 변화와 더블어 그러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내부의 능력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국의 농촌병원들은 급격한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다수의 병원들이 환경 및 벼원특성에 관계없이 생존을 위한 전략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는 최근 어려운 경영환경에 처한 한국의 농촌병원들도 합리적인 경영을 위해서는 병원이 처한 외부환경분석과 함께 내부의 능력에 적합한 경영전략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실천적 세부 경영전략을 수립해야만 한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병원전략의 수립과 전개가 병원의 경영과 병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the Strategy Development and Deployment effects on the Hospital Management and Hospital Performance)

  • 문재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57-63
    • /
    • 2015
  •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나라의 병원에서 사용되는 전략의 경우 어떻게 수립이 되고 전개하는지에 알아보기 위한 실증연구이다. 전략은 기존연구들에서 제시한 것처럼 현재 가지고 있는 내부역량과 외부환경을 고려하여 수립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9개 국립병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전략의 개발과 전개로 나누어 환자만족, 종업원만족, 병원업무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병원들은 전략을 수립하여 전개함에 있어서 내부의 요인인 종업원만족과 병원업무 외부요인인 환자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많은 관련연구들이 제시한 것처럼 우리나라 병원의 경우에도 인건비상승, 원자재 가격의 상승, 외래환자의 감소 등 내부 상황을 고려하고 의약분업, 해외자본의 국내의료시장 진출, 고소득으로 인한 높은 의료서비스의 질의 요구 등 외부상황을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전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고객만족, 종업원만족, 업무프로세스를 개선시 각각의 의견을 반영한 전략이 수립되므로 이는 자연히 병원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의 결과가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병원들도 전략을 수립시 내부적인 여러상황을 고려하여 수립하고 전개한다고 할 수 있다.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병원 행정전략의 우선순위 분석 (Analytical Study on the Priority in Hospital Administrative Strategy for Improvement of Medical Service)

  • 김유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59-266
    • /
    • 2019
  • 본 연구는 의료 환경의 변화로 병원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하여 병원의 행정전략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이 있으며,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해서 어떤 전략이 가장 중요한지 제시하여,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병원 행정전략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병원행정 분야와 관련된 행정학 및 경영학 박사급 전문가 20명을 선정하였고, 자료분석방법은 AHP 방법으로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영역에서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병원 행정전략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의료진 요인(1순위), 제반시설 요인(2순위), 직원서비스 요인(3순위), 접근편의 요인(4순위) 순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복합가중치 분석 결과, 의료진 전문성(1순위), 의료진 다양성(2순위), 의료장비수준(3순위)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가 측정되어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병원 행정전략은 의료진의 전문성 확보, 의료진의 다양성, 그리고 의료장비 수준을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의료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한 병원의 행정전략 마련 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향후 병원 행정전략 마련 시에 다각적인 요소들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중소병원 고객접점을 통한 브랜드디자인 전략 도출 연구 (A Study of Brand Design Strategies for Small & Medium Hospital Moment of truth)

  • 박현민;안세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7-248
    • /
    • 2017
  • 병원들의 대형화와 전문 진료를 내세워 병원 브랜드 강화에 힘쓰는 병원들이 늘어나면서 병원에서의 마케팅이 필요하게 됐다. 본 연구는 중소병원(300병상이하 종합병원과 병원을 말함.)의 고객접점을 파악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브랜드 개발이 가능한 중소병원 브랜드디자인 표현 포지셔닝 전략(기업이나 제품에 대하여 위상을 정립하고, 소비자들에게 자사 제품의 정확한 위치를 인식시키는 것이다.)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병원의 입지전략과 내부역량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병원유형의 조절효과- (Effects of Hospital Location Strategy and Internal Competence on Reintegration Intention -Adjustment of Hospital Types-)

  • 김덕기;김우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75-86
    • /
    • 2018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입지전략과 내부역량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여 재이용의도와의 관련성을 동시추정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이용의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병원입지전략(${\beta}=0.313$) 보다 병원내부역량(${\beta}=0.490$)이 크지만 두 요인 모두 재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 결과를 확인해 주고 있다. 둘째, 재활기능강화형 요양병원의 경우 입지전략의 중요성이 일반요양형 병원에 비해 더 중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beta}=0.443$). 재활기능강화형 요양병원 개원시 특히 입지시장성, 교통인프라, 건물매력도, 의료집적성 등 입지요인에 근거하여 면밀한 준비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이 제시되고 있다. 셋째, 병원내부역량은 병원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반요양형 병원과 재활기능강화형 병원에 있어 모두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요양병원의 혁신성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내부역량과 입지전략의 매개효과 (Effects of Innovativeness on Customer Satisfaction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Effect of Internal Capacity and Location Strategy in Hospital)

  • 김덕기;김우종;김미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10-124
    • /
    • 2019
  • 최근 몇 년 동안 병원의 과다 공급으로 인해 병원 관리가 어려워지면서 병원은 혁신적인 병원 경영을 도입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혁신성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병원의 내부역량과 입지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소재 요양병원 재원중인 환자 및 보호자 12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시행 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혁신성이 고객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고 오히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병원조직의 보수성 및 안정성에 대한 고객들의 기대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기업과 달리 생명을 다루는 병원조직의 특성상 일반기업과 차별화된 병원조직 고유의 혁신성 측정도구 개발이 시급하다. 둘째, 혁신성이 내부역량과 입지전략에 미치는 영향력은 비슷했지만, 입지전략(${\beta}=0.357$)은 내부역량(${\beta}=0.283$)에 비해 고객만족도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요양병원의 경우 개원 시점부터 입지시장성, 교통인프라, 건물매력도, 의료집적성 등 입지요인에 근거하여 면밀한 준비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셋째, 내부역량과 입지전략은 병원혁신성과 고객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있음이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병원 혁신성은 유무형의 내부역량을 제고하고 있으며, 입지전략 수립을 위한 적극적 태도를 유도함으로써 고객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구전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른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박회자;강석정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6권
    • /
    • pp.313-337
    • /
    • 2000
  • 오늘날 병원마케팅에서 간호서비스는 병원 내 어느 전문직보다도 가장 많은 시간을 고객인 환자와 합께 나누며 환자의 욕구 충족을 위하여 고도의 분업화된 제반 부서들간의 활동을 조정하고 융화시키는 역할올 통하여 환자들이 지각하는 병원서비스의 만족도에 종요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병원마케팅의 전략적 초점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의료 서비스는 특성상 전문성이 강해서 정보가 소비자에게 공유되지 못하고 있으며 비영리조직이라는 인식하에 의료 서비스에 대한 광고를 제한합으로써 실제적으로 소비자에게 필요한 의료 관련 정보들마저도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리고 의료서비스의 무형성, 비분리성, 이질성, 소멸성의 특성으로 어떠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해 대한 결정을 고객이 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늘날 의료 소비자들이 의료제공 기관을 선택 할 때는 밑올만한 다른 사랑의 추천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의 연구에서도 의료소비자들이 병원을 선택하는 주된 정보 획득 원천이 주변의 제 3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보 전달에 구전 커뮤니케이션이 주요한 제3자적 억할을 한다. 이러 한 관접에서 불 때 의료 소비자둘 사이의 구전 커뮤니케이션은 마케 팅 전략상 매우 종요하 며 마케팅 관리측면에서 의료 소비자들의 구전 커뮤니케이션 형태톨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내용 및 경로 그리고 유형을 파악하고 이들 유형간 의료서비스의 만족도를 알아봄으로써 효파적인 병원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증합해 보면 의료소비자들이 연령 성별 학력, 소득, 직업, 주거지가 비슷한 사람과 구전이 활발하게 일어냐는 것을 파악 할 수 있어 특히 상업적 광고가 제한 된 병원의 마케팅 전략에 oH우 유용한 것이 훨 수 있다. 또한 불만족한 소비자일수록 발신 자적 입장에 서서 주위의 사람들에게 활발한 구전 활동을 수행하고 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는 의료 소비자들이 만족한 경우보다는 불만족한 경우에 더욱 구전을 수행하려는 의지가 강해짐올 시사한다. 따라서 병원은 소비자들의 불만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특히 의료인의 친절함이 가장 많이 구전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의사나 간호사는 치료 나 간호의 직접적인 제공자로서 의료 소비자들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의료소 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를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하며 이러한 바탕 위에 병원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종합병원의 전략 지향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ategy Orientation on Performance in General Hospital)

  • 안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309-316
    • /
    • 2014
  • 이 연구는 종합병원들이 마케팅 컨셉트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구성개념인 전략 지향성이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종합병원의 조직구조와 규모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어떻게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분석했다. 전략 지향성과 성과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으며, 전략 지향성 개념을 고객, 경쟁, 진료기술 지향성 등의 세 차원으로 세분화하고 이들이 각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5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20313년 7월 1일부터 8월 13일까지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176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실증분석 결과 전략 지향성을 구성하는 세 차원 모두가 종합병원의 경영성과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병원의 조직구조와 규모의 조절효과 분석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합병원의 조직구조 및 규모 변수 모두 경쟁 지향성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도출되었으나 고객 지향성과 진료기술 지향성에 대한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