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실습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시 스트레스에 따른 불안, 분노 및 피로경험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ger and Fatigue among Stress factor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 한상영;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54-561
    • /
    • 2012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시 스트레스에 따른 불안, 분노, 피로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공통적인 주제를 모색하여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T종합병원에서 임상실습을 하는 간호학생 197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3.82점, 불안은 평균 48.82점, 분노는 평균 1.17점, 피로는 평균 30.96점으로 나타났으며 불안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은 집담회, 수업과 실습, 임상실습만족도로 나타났다. 분노 정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은 과제물, 수업과 실습, 오리엔테이션, 간호사, 실습환경이며, 피로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은 집담회, 오리엔테이션, 실습환경, 환자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불안, 분노, 피로정도, 분노와 피로 정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불안과 분노 정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응급구조과 학생의 병원감염 표준주의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Hospital Infection Control)

  • 최성수;윤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262-2270
    • /
    • 2013
  • 이 연구는 임상실습을 실시하면서 병원감염에 노출되어 있는 응급구조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 지침의 인지도와 수행도를 파악함으로써 감염예방과 노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실천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지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은 결과를 보였고, 인지도와 수행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r=0.325, p=0.000). 향후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병원감염관리 수행도를 증진 시킬 수 있도록 교과과정과 실습기관에서의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감염관리 교육 후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wareness change after infection control education by dental hygiene students in Some areas)

  • 손은교;정화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94-502
    • /
    • 2017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의 학교 교육과정상에 들어있는 치과감염관리 교과의 수업 후 감염관리 인식 변화를 학년별로 알아보고 교육 과정에 감염관리 교육방법의 추가 편성을 제시하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 연구이다. 결과로 첫째, 병원 실습 경험에 따른 항체인지는 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 127명(62.6%)이 더 알고 있었고, 개인 방호 선택에서는 실습 경험과 상관없이 손 씻기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마스크 쓰기를 선호하였으며, 감염 교육방법 선택은 실습수업이 병원 실습 경험과 상관없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항체 인지는 학년이 높을수록 더 인지하였고, 개인 방호 선택은 1, 2학년은 손 씻기를 선택한 반면, 3학년은 마스크 쓰기 (44.4%)를 선택하여 학년 간의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실습 경험에 따른 환자 및 개인 건강인식 정도 차이에서는 환자 건강 인식 관련 결과 t 값은 '2.387', 유의 확률은 '0.05'보다 작기 때문에 실습 경험에 따른 환자 인식에는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자 관련 감염 인식에 대해서는 교육 후 인식 변화가 가장 큰 설명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년, 실습 경험 유무의 차이에 따른 유의성이 나타난 것은 학년별로 실습 경험이 내재되어 있고, 임상실습 경험의 수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학생들의 교육방법 선택에서도 실습교육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감염 교육의 효과는 인식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결과를 도출하여 계속적인 감염관리 교육의 계발과 재교육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간호 대학생이 실습 중 관찰한 죽음의 의미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Death Observed by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미화;이은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7-13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학과에서 준행하는 실습을 이수한 간호대학 4학년에게 죽음에 대한 본질적인 의미를 탐색해 보는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라북도 K시 일개 대학 4학년의 학생으로 죽음 대한 강한 의식을 갖추고 이에 대한 인식을 갖춘 1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죽음과 관련된 논문을 읽고, 병원 실습을 1004시간 이수한 학생으로 질문에 대해 80시간 내에 면담과 자기 보고서를 통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죽음과 관련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 3개 범주, 9개 주제 30개 의미 있는 진술로 도출되었다. 3개의 범주는 '끝, 그리고 함께하다', '죽음, 혼자와의싸움,' '무서움과 두려움'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 대학생에게서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신규간호사들이 맞이하는 죽음에 대한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프로개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간호학생의 대상자 교육후 교육경험 만족도, 실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 정도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ient Education Experience, Satisfaction with Clinical Nursing Practice and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 심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17-25
    • /
    • 2018
  •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모성간호학 실습시 대상자에게 제공한 교육경험의 만족도, 실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실습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들은 대상자 교육시 문제점으로는 대상자와의 접근, 교육시간 확보의 어려움 및 자신감 부족 등 이었다. 교육실시후 교육경험만족도는 3.84점, 임상실습만족도 4.00점, 자아효능감 2.68점으로 나왔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 교육경험의 만족도는 교육방법과 실습시기, 이론교육의 만족도에 따라, 임상실습만족도는 실습자의 태도, 실습만족도, 실습장소에 따라, 자아효능감은 성적, 이론교육의 만족도, 교육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따라서 모성간호학 실습의 어려움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병원관계자와 긴밀한 협력관계 유지하고, 간호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방법과 실습지도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보건행정학 전공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간의 융합적 접근 (Convergence Approaches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Self Concepts of Health Administration Students)

  • 김희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03-111
    • /
    • 2019
  • 본 연구는 보건행정학 전공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간의의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국에 소재한 10개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 250부를 SPSS Ver.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 보건행정학 전공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수준은 평균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의 세부 영역에서는 모두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임상실습 만족도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전문직 자아개념 세부 영역 중 전문직 실무이다. 따라서 보건행정학 전공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습 전 충분한 실습지의 점검과 사전실습 지도교수와의 상담, 그리고 이에 맞는 임상실습 프로그램 개발과 임상실습 기관과의 상호 협력체계 방안 모색도 필요하다.

MBTI성격유형에 따른 병원 임상실습 중인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심박변이도 변화에 관한 연구 (Heart rate variability of students in hospital clinical practice by MBTI character types)

  • 정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373-6386
    • /
    • 2013
  • 본 연구는 MBTI 성격유형과 심박변이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충청남도 C 시에 소재 한 N대학교 일개 응급구조학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내에서 안정상태로 측정한 심박변이도와 병원 임상실습 중 2주째와 4주째에 측정한 심박변이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6월 21일부터 7월 23일까지였으며,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안정 및 실습기간의 심박변이도의 변화에서 네 가지 성격유형별 분포도에 따른 안정 및 실습기간의 HRV에서는 nHF와 SDNN에서 유의한 차를 보였다. 전체 지표별 선호 분포도에 따른 안정 및 실습기간의 심박변이도의 변화에서 nLF는 T-F, J-P 그룹, nHF에서는 T-F, J-P 그룹, SDNN에서는 S-N, mHR에서는 J-P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Employment Stress of Nursing Students)

  • 조의영;김정애;김지영;김현지;라은수;이혜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1호
    • /
    • pp.35-43
    • /
    • 2016
  •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전공만족도,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2014년 8월부터 12월까지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자로 설문조사에 응답한 대전, 진주, 나주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간호학과 학생 3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전공만족도, 경제적 상태이었고 설명력은 23.8%이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사전 실습환경 적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고 취업률이 높은 간호학과이더라도 원하는 병원의 취업이 쉽지 않고 병원 취업이 결정되어도 국가고시 합격이라는 부담감이 있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상담 등의 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제주지역 치위생과 학생의 COVID-19와 감염관리 임상실습 수행 실태 (Clinical Practice of COVID-19 and Infection Control by Dental Hygiene Students in Jeju Province)

  • 백수정;우재만;김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70-37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COVID-19 상황에 임상 실습 수행 중 감염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112명의 온라인 자기 기입식 설문 응답을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와 더미 회귀분석을 하였다. 감염관리 인식도와 실천도는 2학년이 3학년보다 '청소 및 표면 소독', '의료폐기물 처리', 'COVID-19 감염관리'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임상실습기관별 결과는 '청소 및 표면 소독', '기구 소독 및 멸균', '개인 및 환자 방호', 'COVID-19 감염관리' 항목에서 대형병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임상실습 지역은 의료폐기물 처리' 항목에서만 수도권이 제주지역보다 높았다. COVID-19 감염관리 요인 분석 결과, 3학년보다 2학년, 실습 기관 중 대형병원, 실습 지역 중 수도권 지역, 보호장구 애로사항이 없던 학생이 통계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 실습시의 감염관리와 COVID-19의 현장을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실태 조사 연구로 의의를 두며, 임상 실습 지침 개선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