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실습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6초

자가 학습을 위한 MRI Simulator 초기 검사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MRI Simulator Early Diagnosis Program for Self Learning)

  • 정천수;김종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403-410
    • /
    • 2015
  • MRI는 1970년을 시작으로 자장 세기와 수신 채널 수, 촬영시간의 단축 등으로 많은 발전을 해 오고 있으며, 병원 또한 각종 전산 시스템과 무선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인해 각종 진료 영상장비로부터 디지털 영상을 획득, 저장 및 관리하게 되었다. 하지만, 국내 대학들은 고가의 실습장비와 유지비로 인하여 자체에서는 실습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임상 실습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윈도우즈 운영체제의 PC상에서 MR 환자의 검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많이 다루어 봄으로써 임상에서 근무하기 전 많은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MRI Simulator의 Relational Database 설계는 각 기능과 자료의 특성에 따라 7개의 Table로 구성하였으며, 환자정보 설계는 임상에서의 환자등록 방법을 기준으로 각 단계별 기능을 분류 하였다. 또, 검사를 위한 기본 정보 설정을 가정하여 각각의 설정 값 및 그 내용을 분류 하였다. 실행 단계별 메뉴는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왼편에 배열을 하였다. 환자 등록은 이름, 성별, 고유번호, 생년월일, 몸무게 등 기초정보를 입력하고, 환자의 자세와 검사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 검사부위와 Pulse Sequence을 나열하고, 선택하도록 분류하였다. 그리고 Protocol 이름과 부가 인자들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종 화면은 검사 영상과 환자 정보, 검사 조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정보의 입력과 검사조건의 변경을 학습해봄으로써 이론과 실습을 통한 용어의 이해에 많은 도움을 주어 실제 임상근무에서 배우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한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의 방사선 방어용 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Radiology Students' Behavior in Wearing Radiation Protection Equipment -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노지숙;이병훈;배상열;박형수;류소연;박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43-452
    • /
    • 2011
  •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의 임상실습을 마친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방사선 방어용 보호 장구 착용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연구되었다.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제시하는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및 '의도'를 연구 틀에 적용하여 보호 장구 착용행위와 관련된 요인을 측정하였다. 대상자는 광주, 전남지역의 방사선학과가 있는 대학의 방사선학과 대학생 중, 임상실습을 마친 총230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92부를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보호 장구 착용은 학년(비차비: 11.60, 95%신뢰구간: 2.473-54.415)이 낮을수록, 실습병원의 규모(비차비: 2.80, 95% 신뢰구간: 1.337-5.886)가 작을수록, 태도 점수(비차비: 0.957, 95%신뢰구간: 0.933-0.98)가 낮을수록, 지각된 행위통제의 점수(비차비: 1.063, 95%신뢰구간:1.02-1.10)가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계획된 행동이론과 관련하여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의 임상실습에서 방사선 방어용 보호 장구의 착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태도와 지각된 행위 통제와 같은 요인들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근무환경 인식과 진로장벽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Working Environment and Career Barrier recognized by Graduate grade Nursing College Students on Career Identity)

  • 백소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37-47
    • /
    • 2019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근무환경 인식과 진로장벽, 진로정체감을 확인하고,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9년 6월 3일부터 6월 28일까지 S시에 소재한 C대학의 4학년 2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진로정체감은 $2.65{\pm}.46$점, 간호근무환경 인식정도는 $3.23{\pm}.57$점, 진로장벽은 $2.28{\pm}.77$점이었다. 진로정체감은 간호근무환경(r=-.654, p<.001)과 음의 상관관계, 진로장벽(r=.319,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근무환경은 진로장벽(r=-.216,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진로장벽(${\beta}=-.527$, p=.000), 간호근무환경 인식(${\beta}=.131$, p=.014), 실습만족도(${\beta}=-.154$, p=.009)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는 진로정체감에 50.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근무환경 인식과 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학교차원의 노력, 임상실습의 실습환경 개선, 병원의 지원과 간호관리자의 관심과 지지를 통한 진로장벽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학 실습 후 아동간호사와 간호직전망 인식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Awareness of Pediatric Nurses and Nursing Prospects among Nursing Students after Pediatric Clinical Practicum)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6-34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아동간호학 실습 후 아동간호사와 간호직전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간호학과 3학년 143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서술적 융합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1.0으로 기술통계, 평균비교,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아동간호사에 대한 전문적인식이 5점 만점에 $4.09{\pm}0.61$점으로 전통적인식이나 사회적인식보다 높았고, 간호직전망은 5점 만점에 $3.31{\pm}0.65$점이었다. 성별, 연령, 간호학만족도, 실습병원유형에 따라 아동간호사 인식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간호학만족도가 보통인 대상자의 간호직전망인식이 높았다(p<.002). 아동간호사에 대한 인식의 하위영역과 간호직전망 인식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287~.510, p<.01),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아동간호사에 대한 전통적인식, 사회적인식이 간호직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변수들의 설명력은 29.2%이었다(p<.001). 결론적으로 아동간호사에 대한 전통적 및 사회적 인식을 높임으로써 간호직전망에 대한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다.

소방 1급응급구조사의 병원임상수련 술기 실태 조사 (The Actual State of Hospital-based Skill Training in Level 1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 노상균;이재국;방성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54-60
    • /
    • 2012
  • 이 연구는 소방 119구급대에서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의 병원임상수련 실태를 조사한 연구이다. 조사대상은 소방에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 42명으로 하였으며, 2012년 5월 11일부터 2012년 5월 12일까지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1급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를 한 번 이상 직접 경험한 경우는 56.5 %였고, 이들 중 기관내삽관 66.9 %, 후두마스크 8.4 %, 정맥로확보 76.6 %, 니트로글리세린 설하투여 61.2 %, 기관지확장제 흡입 50.0 %, 수액투여 73.8 %, 인공호흡기 사용 57.6 %, 포도당 주입 57.6 %를 경험하였으며, 1급 응급구조사 업무범위를 16개 의료기관별로 살펴본 결과 58.0 %가 한 번 이상 직접 경험하였다. 향후 1급 응급구조사의 교육 요구도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며, 병원임상수련의 문제점 분석, 임상실습지침서의 보완과 실무중심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관리에 대한 규정과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중환자실의 현장실무 강화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임상실습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linical Practicum Reinforcement Program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in the ICU)

  • 이은숙;김정숙;김아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2호
    • /
    • pp.262-274
    • /
    • 2011
  •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um reinforcement program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in the ICU. Methods: The study utilized a quasi-experimental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The participant was 76 senior nursing students, who were engaged in two week-long clinical practicum in ICU at the C university hospital in a G city, Korea. The clinical practicum reinforcement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39), while the control group (n=37) was involved in the conventional practicum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x^2$/Fisher's exact test, and t-test, ANCOVA with SPSS/WIN 18.0 program. Results: After 2 weeks' clinical practicu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ies by self evaluation,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linical instructor's evaluation on the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level in nursing activit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on the clinical practicum program except the learning guidance and the evaluation. Conclusion: The clinical practicum reinforcement program is an effective one for improving the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의과대학 학생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병원의 역할 제고 방안 (Improving the Role of the Teaching Hospital in the Clinical Clerkship)

  • 김영창
    • 의학교육논단
    • /
    • 제17권1호
    • /
    • pp.10-14
    • /
    • 2015
  • The mission of the modern medical school includes education, research, and patient care. The clinical clerkship is an important part of the core curriculum, and hospital facilities are needed for the clinical clerkship. However, unfortunately, education has moved to the periphery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because of the dominance of research and patient care. This may lead to obstacles in the education of future physicians in the long term. To promote their education mission, teaching hospitals need to recognize and share the importance of this mission. In addition to the certification of teaching hospitals, a new paradigm for teaching hospitals should be introduced to produce a high quality clinical clerkship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need to allocate and expand financial support to medical schools and teaching hospitals, and to unify supervision of basic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우수한 임상병리사 양성을 위한 교육제도 및 국가면허시험제도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Survey on the Education System and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for Fostering Competent Medical Technologists)

  • 김홍성;권필승;강지혁;양만길;박종오;김대중;김원식;주세익;김은중;이선경;이상희;제갈승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61-170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 교육제도와 국가면허시험 제도에 대한 교수와 병원실무자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우수한 임상병리사 양성을 위한 정책방향을 결정하는데 목표로 하고 있다. 2016년 8월에 온라인 설문지가 255명의 대학교수들과 4,000명의 병원실무자들에게 배포되었다. 회수율은 교수들은 59명(23%), 병원실무자들은 1,099명(27.7%)이 응답하였다. 결과는 기술통계분석과 비교분석을 통해 처리하였다. 대학 교육제도에서는 교수들과 병원실무자들 모두 대학 및 임상실습 교육의 질적 향상과 교육의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국가면허시험제도에서는 교수들과 병원실무자들 모두 특히 실기시험의 개편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고, 면허시험제도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위의 결과들은 교수들과 병원실무자들은 우수한 임상병리사 양성을 위해서는 대학 및 임상교육의 질적 향상과 국가면허시험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병원 유형별 교외실습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f stresses caused by extramural practices by hospital)

  • 장성연;권순복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913-922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and degree of stress, which dental hygienics students experience during the off-campus practical training period at university/general dental hospitals or dental hospitals/clinics, to strategically plan and operate an efficient practical training, and to exploit such data for development of the said students into professional dental hygienists by nurturing their abilities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potential educational frustration, demotivation, and skepticism on their occupations in advance. Methods : The stress measurement tool is set for 38 questions in total, The grading system for each question is based on 5-point Likert scale, which interprets that the lower score demonstrates a higher level of stress. The data collected as above are analyzed by SPSS 19.0. Results : The satisfaction "Satisfactory" of extramural practice at departments of dentistry of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and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s 48.3% and 37.7% respectively. Environment area (p<.001) and role & activity area (p<.05)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tresses between practices at departments of dentistry of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and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For departments of dentistry of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the stress in environment area was highest. On the contrary, students who did practices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showed that the stress is highest at role & activity area.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of areas of environment, personal relations, role & activity, and ideal & value.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reatment fields. Conclusions : In conclusion, educational institutes need to conduct a specialized systematic research establishing close relationships extramural practice organs, in order to minimize students' stress resulting from extramural practices by type and to increase the effect of extramural practices.

6년제 약학대학에서의 필수실무실습 현황과 평가 - 병원약국실무실습 중심으로 - (Construction and Evaluation of the Student Practice Program in the Hospital under the 6-year College of Pharmacy Curriculum)

  • 장민정;노하연;이장익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0-306
    • /
    • 2013
  • Background: 6-year College of Pharmacy curriculum had started in Korea, and the students in college of pharmacy are supposed to have student practice in the hospital pharmacy, community pharmacy, pharmaceutical company and administration to experience the role of pharmacists in advance. However, despite Korean Association of Pharmacy Education provided its own teaching plan, most Pharmacy Schools and the hospital pharmacy have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desirable student practice program because they seldom experienced it. So, we reported the student practice program in the hospital pharmacy conducted b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Pharmacy prior to the other numerous universities and the evaluation of survey on the student pharmacy practice program. Method: Severance Hospital, Gangnam Severance Hospital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took part in the student pharmacy practice program of Yonsei University. Students took 8-week pharmacy practice in Severance Hospital or Gangnam Severance Hospital plus 4-week pharmacy practice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Also, students had once-a-week presentation class at school. A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udent practice program. Results: The presentation class was considerably helpful to share their own experiences at different practice sites in different hospitals, but there were some disadvantages that students could not experience the specific pharmacy practice site on the day of once-a-week presentation at school and so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tudent practice program reported tha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overall practice program and presentation class at school. Also, they answered that the student practice program in the hospital pharmacy was significantly helpful for planning of the future career. Conclusion: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e student practice program in Yonsei University, the adjustment of the student practice program in the hospital is planned to provide better experience of practice to the students and the results will be helpful for the student practice in the hospital of the other colleges of pharm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