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성 미생물

검색결과 773건 처리시간 0.022초

위해요소 중점 관리기법(HACCP)에 의한 신선 편의식품의 미생물 안전성 확보

  • 홍석인;이은실;김동만
    • 식품기술
    • /
    • 제13권3호
    • /
    • pp.3-16
    • /
    • 2000
  • 신선 채소류 편의식품에 관련된 병원성 세균으로는 Listeria monocy togenes, Yersinia enterocolytica,A eromonas hydrophila 등이 포함된다. 이들 제품은 미생물(병원성 및 비병원성)을 감소시키거나 사멸시키기 위해 별도의 살균 또는 항균제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초기 원료에 존재하거나 혹은 가공 및 유통 과정에서 오염된 미생물이 제품에 그대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제품에서는 병원성 세균이 발견될 수도 있으며, 특히 냉장유통 중 온도조절이 불완전할 경우 그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므로 신선 편의식 채소류 제품에 대해서는 보다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위해 요소 중점관리기법(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을 적용하면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할수 있다. HACCP이란 특정 제품의 수확에서 소비까지 전 공정에 대해 위해 요소를 검토하고, 이를 조절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을 규정하는 관리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HACCP의 7가지 기본 원칙을 정리하여 실제 대파(green onion)의 최소가공 과정에 적용함으로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시도한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 PDF

수돗물 바로알기 - 병원성 미생물! 수돗물에선 어림없다

  • 남세희
    • 한국상하수도협회지
    • /
    • 통권22호
    • /
    • pp.50-51
    • /
    • 2008
  • 미생물은 동전의 양면처럼 우리 삶에 유익하게 활용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많은 질병의 원인체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등이 물을 매개체로 할 경우 우리는 이를 수인성 병원미생물이라 일컫는다. 따라서 원수에 어떠한 종류의 미생물이 존재하고, 그 원수를 이용해 만들어지는 수돗물의 안전성에 대해 의문을 갖는 것은 당연한 일일수있다.

  • PDF

육포 원료 우육의 미생물 분포 및 병원성 미생물의 분리

  • 김현욱;김태임;김혜정;남기진;김천제;백현동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제35차 춘계 학술 발표대회
    • /
    • pp.203-206
    • /
    • 2005
  • 시중의 정육점 및 백화점 등에서 유통 중인 10종의 우육 원료에 대한 일반 세균수, 저온균수, 고온균, 혐기성균 및 진균류, 대장균군에 대한 미생물학적 분포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분리${\cdot}$동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원료 우육에서 중온균은 $3.8{\times}\;10^3{\sim}1.4{\times}\;10^5\;cfu/g$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다. 저온균은 $9.2{\times}\;10^3{\sim}1.0{\times}\;10^5\;cfu/g$으로 지표세균 중에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고, 혐기성균은 중온균, 저온균과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적게 검출되었고, 고온균은 모든 검체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대장균군 또한 모든 시료에 대해서 검출되지 않았다. 효모와 곰팡이류는 $2.2{\times}\;10^1{\sim}7.8{\times}\;10^2\;cfu/g$으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은 우육 sample B, G, H에서 B. cereus 만이 검출되었고, 동정결과 99.8%의 상동성을 보였다.

  • PDF

닭고기 저장 동안 천연첨가물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Natural Additives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Growth during Storage of Commercial Chicken)

  • 이막순;김승혜;문소희;김양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74-57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닭고기의 저장 기간 동안 천연 첨가물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 생장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닭고기 저장기간 동안 천연 첨가물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닭고기의 껍질 표면에 천연 첨가물을 단독 혹은 배합하여 처리하였다. 병원성 미생물은 닭고기 냉장 저장기간중에 위생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패세균인 S. Typhimurium 및 P. aeruginosa를 사용하였다. 천연첨가물은 키토산, EGCG, 마늘을 각각 2% 농도로 시료 표면에 처리한 다음 $4^{\circ}C$ 냉장 조건하에서 12일 동안 6일 간격으로 2번에 걸쳐 병원성 미생물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각각의 병원성 미생물의 생장 억제 효과는 키토산, EGCG 및 마늘을 단독 혹은 두 가지 배합 처리한 것보다 세 가지 배합 처리한 것이 처리 시간별로 훨씬 더 높은 미생물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은 키토산, EGCG와 마늘을 포함하는 세 가지 배합된 천연첨가물이 닭고기의 저장 동안 병원성 세균 생장 억제를 위한 천연첨가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들은 천연첨가물을 이용한 유해 미생물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성전리수와 환원전리수에 의한 미생물 제어 (Microbial growth control by anodic electrolyzed water and cathodic electrolyzed water)

  • 박혜린;김점지;이종권;이윤배;류근걸;이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8-29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산성전리수와 환원전리수의 미생물 제어력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산성전리수와 환원전리수에 병원성 미생물을 각각 시간별로 노출시킨 결과, 산성 전리수와 환원전리수 모두 미생물을 제어 할 수 있다. 특히 산성 전리수는 각종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순간적으로 미생물을 제어하는 강력한 살균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에 비해 환원전리수는 산성전리수의 강력한 미생물 제어력에는 미치지 못하기는 하지만, 시판되는 무기 항균제보다는 우수하거나 비슷한 미생물 제어력을 보여주었다.

  • PDF

미생물학적 위해성 평가 (Microbial Risk Assessment)

  • 이건형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1-108
    • /
    • 2001
  • 환경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발생에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는 일은 잠재적 보건 위해성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데 종종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일들은 과거에는 주로 정성적이고, 주관적인 방법으로 이루어 졌지만, 최근에는 정량적 위해성 평가(Quantitative Risk Assessment: QRA)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QRA는 병원성 미생물로부터의 감염이나 발병, 또는 치사율 등의 위해성을 정량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 접근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정보는 정책 결정권자가 위해성의 확대와 비용부담, 그리고 적절한 조치를 취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을 결정하는데 보다 더 잘 이용할 수 있다. 본 문에서는 위해성 분석의 과제에 대한 일반적인 배경을 살펴보고 문제해결 과정에서 미생물 위해성 평가가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 PDF

유전자 검색법을 이용한 상수원수와 정수처리 공정중의 병원성 미생물 검출 및 분포특성 (Detection and Distribution of Bacterial Pathogens in Raw Water and During Water Treatment Proces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 박홍기;정은영;정종문;유평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74-1380
    • /
    • 2007
  • 유전자 검색법(PCR)은 환경시료중의 병원성 미생물을 검출하는데 있어서 전통적인 배양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PCR을 이용하여 부산시 취수원과 정수공정별 지점을 대상으로 병원성 미생물의 검출과 분포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2004년 8월에서 2005년 10월까지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상수원수의 92개 시료중 80개 시료에서(87.0%) 병원성 미생물이 검출되었고, Shigella spp. 46.2%, Yersinia spp. 40.7%, Legionella spp. 17.6% 그리고 Salmonella spp. 9.9%의 검출율을 각각 보였다. 원수중의 병원성 미생물은 늦은 가을에서 겨울에 걸쳐 주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으며, 지점별로는 매리 원수가 물금 원수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정수처리 공정별 실험에서는 Shigella의 검출빈도가 높았으나 모든 병원성 미생물은 후오존 처리 공정 단계에서 완전히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산시 정수장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즉석식품 제조를 위한 육가공제품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미생물 및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Microbiological and Mutagenical Safety Evaluation of Gamma Irradiated Ready-to-Eat Foods of Animal Origin)

  • 이나영;조철훈;강호진;홍상필;김영호;이경행;변명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19
    • /
    • 2005
  • 감마선 조사를 통한 즉석식품 제조용 육가공제품의 미생물학적 및 유전 독성학적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미생물 안전성은 총 4종류의 병원성 미생물(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및 Listeria ivanovii)을 이용하여 inoculation test를 실시하였으며 유전 독성학적 평가는 ames test를 통해 조사하였다. 4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을 볶은 쇠고기 및 햄에 접종했을 경우 초기 균수는 7 log 정도로 나타났으나 1 kGy로 감마선 조사했을 경우 S. typhimurium은 4 log cycle 정도, E. coli 및 S. aureus는 3 log 및 L. ivanovii는 2 log정도 증식이 억제되었다. 볶은 쇠고기 및 햄에 접종된 4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은 3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했을 경우 검출되지 않았다. 볶은 쇠고기 및 햄에 접종된 4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의 방사선 조사에 대한 감수성을 측정한 결과 접종된 병원성 미생물의 D/sub 10/ value는 볶은 쇠고기에 접종된 L. ivanovii가 0.48로 가장 감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볶은 쇠고기 및 햄을 비조사구와 조사구(10 kGy)로 나누어 S. typhimurium TA98 및 TA100 두 균주를 이용하여 유전 독성학적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대사활성을 시킨 경우와 대사활성을 시키지 않은 경우 모두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복귀돌연변이 집락수의 증가는 확인되지 않아, 즉석 식품제조를 위한 볶은 쇠고기 및 햄의 감마선 조사는 유전독성학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부 부패 미생물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황금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gainst Various Pathogens and Spoilage Bacteria Isolated from Tofu)

  • 우인택;박경남;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70-475
    • /
    • 2007
  • 두부에서 분리한 부패 미생물 16균주와 6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황금 에탄을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분리 13균주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두부 부패 미생물인 KN-4, KN-6, KN-10, KN-20에 대하여 황금 에탄을 추출물 0.05% 이상의 농도에서 성장억제 현상을 나타내었다 선발균주를 동정한 결과, KN-4, KN-6, KN-10과 KN-20 공히 Bacillus sp.로 동정되었다. 황금 에탄을 추출물은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5, Pseudomonas fluorescens ATCC 21541,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73, Salmonella Typhimurium ATCC 21541,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Aeromonas hydrophila KCTC 2358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5% 이상 농도에서 성장이 억제되었다 황금에탄올 추출물은 $80^{\circ}C$에서 30min, $100^{\circ}C$에서 30 min, $121^{\circ}C$에서 15 min 열처리에 의해, 공시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이 다소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열처리 후에도 두부 부패미생물과 공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은 뚜렷하게 유지되었다. 두부 부패 미생물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황금 에탄을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각각 0.1%와 0.5%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