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화폭

Search Result 3,620,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Fundamental Dark spatial Solitons on Finite-width Backgrounds (유한한 폭을 갖는 배경에서 기본 어두운 공간 솔리톤의 진행특성)

  • 김광훈;문희종;임용식;이재형;장준성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6 no.4
    • /
    • pp.345-351
    • /
    • 1995
  • We have studied experimentally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fundamental dark spatial solitons on finite-width backgrounds and conpared with the result of numerical simulations. It was verified experimentally that the width of dark solitons decreased but that of background increased as the beam intensity increased. The refractive index change obtained from soliton constant, which is for infinite-width background, was smaller than that from Z-scan method. Numerical simulations of fundamental dark solitons on a finite-width backgrounds showed that the peak intensity of background, the width of dark soliton and the soliton constant varied with the propagation length. If the change of soliton constant on finite-width backgrounds was considered, the refractive index change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at from Z-scan method. ethod.

  • PDF

Effect of Airgun Intervals on marine Seismic Acquisition (탄성파 탐사에서 건 간격이 미치는 영향)

  • 유해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483-486
    • /
    • 1998
  • 한국해양연구소 온누리호에 장착된 에어건 배열에서 건 간격에 따른 빔 패턴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남극해역에서 획득된 탐사자료와 비교하였다. 컴퓨터 모의과정과 배열 이론을 이용하여 신호진폭 및 빔 폭 변화 등을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였다. 154 Hz에서 송이배열 (cluster array) 및 폭 배열 (wide array)의 빔 폭 변화는 배열 형태보다는 건 간격에 큰 영향을 받고 있어 배열 형태가 달라도 빔 폭은 서로 유사하게 변한다. 건 간격이 클수록 송이배열이 90$^{\circ}$의 빔 패턴에서 주엽 (mainlobe)이 최대치가 되는 것과는 달리 폭배열은 0$^{\circ}$에서 최대치를 나타내며 부엽 (sidelobe)은 건 간격과 무관하게 나타난다. 두 배열의 선형간섭이 점차 줄어드는 건 간격은 2.43 m이다. 남극해 탐사자료는 건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주신호 진폭은 약하게 기포는 강하게 증가한다. 이러한 결과는 빔 패턴 변화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데 건 간격이 클수록 주엽의 빔 폭이 점차 좁아져 강한 빔 패턴을 나타냄으로서 남극 탐사자료와 서로 잘 일치한다.

  • PDF

A longitudinal study on the developmental changes of dental arch width and length (치열궁 폭경과 고경의 성장 변화에 관한 누년적 연구)

  • Kim, Young-Suck;Lee, Ki-Soo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0 no.1 s.78
    • /
    • pp.19-31
    • /
    • 2000
  • Developmental changes of dental arch width and length from 6.6 to 13.6 yews of age have been studied in twenty boys and thirteen girls in Korean school children. A series of 8 dental casts obtained from each child was measured in the intercanine width, intermolar width and arch length. Afterwards, mean value and each standard deviation of each age group and each gender were obtained, and corresponding graphs were drawn.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Maxillary intercanine widths increased until age of 13.5 in males and age of 12.5 in females. On the other hand, mandibular intercanine widths increased until age of 11.5 in males and age of 9.6 in females and after there were no changes. 2. Maxillary intermolar widths increased until age of 13.5, but annual increments reduce from age of 12.5 in both sex. Mandibular intermolar widths increased until age of 13.5 in males and age of 12.5 in females. Annual increments of maxillary intermolar width greater than those of mandibular intercanine width in both sex. 3. Maxillary dental arch lengths increased until age of 10.6 in both sex, and after decreased until age of 13.6. Mandibular dental arch lengths increased until age of 10.5 in males and age of 9.6 in females, and after decreased until a9e of 13.6. 4. Developmental changes of dental arch width and length showed individual variation.

  • PDF

Reliability Characteristics of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with Channel Width Variation (채널 폭 변화에 따른 전압-제어 발진기의 신뢰성 특성)

  • Choi, Jin-Ho;Lim, In-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717-718
    • /
    • 2013
  • The output frequency of VCO(Voltage-Controlled Oscillator) with input frequency is changed if CMOS channel length and width are changed. In this paper,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VCO circuit is used as a part of FLL circuit are simulated with CMOS channel width. And the method is introduc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characteristics of VCO with channel width variation.

  • PDF

Analysis of the Temporal Variability of Long-term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using Singular Spectrum Analysis (Singular Spectrum Analysis를 이용한 우리나라 강수장기자료의 시간 변화도분석)

  • Kim, Gwang-Seob;HwangBo, Ju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79-1482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강수자료 중 90년 이상의 자료를 보유한 지점(서울, 인천, 목포, 부산)에 대해서 변화도 분석과 Singular Spectrum Analysis(SSA)를 사용하여 자료의 주성분 및 주기성을 분석하였다. 각 자료의 변화도 분석결과 1907에서 2004년까지 98년간의 장기변화 중 선형추세에 의한 강우변화량은 23-11mm/mon 증가한다. 선형추세에 의한 년 강우변화량은 276-132mm/yr 이며 증분의 약 65%가 8월 증가량으로 과거 30년 강우분포는 7월에만 피크를 가지나 최근 30년의 강우분포는 7월과 8월에 비슷한 피크를 가지는 변화를 보일 뿐 아니라 지역에 따라 상이한 분포 양상을 보였다. 강우의 선형적 증가와 함께 변화폭도 증가하며 서울, 인천지역이 목포, 부산지역보다 큰 증가 양상을 보였다. 월 변화패턴과 선형추세 등 확정적 변화를 제거한 anomaly는 장기 변동과 각 달에 대해 다른 변동 폭을 가지는 noise의 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Moving ave rage를 이용한 장기변동양상은 특정 주기를 가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변동 폭도 noise의 변동 폭에 비하여 미소하다. SSA결과 첫 번째 주성분이 전체변화의 1.7%이며 30번째 성분은 전체변화의 약 1% 정도로 장주기의 변화를 보였으나 전체자료에 비해 각 요소들이 설명하는 비중이 상당히 낮았다.

  • PDF

Device Design Guideline to Reduce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with Fin Width in Junctionless MuGFETs (핀 폭에 따른 문턱전압 변화를 줄이기 위한 무접합 MuGFET 소자설계 가이드라인)

  • Lee, Seung-Min;Park, Jong-T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1
    • /
    • pp.135-141
    • /
    • 2014
  • In this paper, the device design guideline to reduce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with fin width in junctionless MuGFET has been suggested.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fin width in junctionless MuGFETs. To reduce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with fin width in junctionless MuGFETs, 3-dimensional device simulation with different gate dielectric materials, silicon film thickness, and an optimized fin number has been perform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can be reduced by the gate dielectric materials with a high dielectric constant such as $La_2O_3$ and the silicon film with ultra-thin thickness even though the fin width is increased. Particularly, the reduction of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and the subthreshold slope by reducing the fin width and increasing the fin numbers is known the optimized device design guideline in junctionless MuGFETs.

AC-PDP의 방전유지 펄스의 폭에 따른 전기적 특성 연구

  • 조태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198-198
    • /
    • 2000
  • 3전극 면방전형 AC-PDP의 구동에 있어서 방전유지 펄스의 폭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변화, 즉 방전 개시전압, 방전 유지전압, 메모리 상수, 셀 내 정전용량, 벽전하량, 벽전압 및 휘도 및 방전전력 측정을 통한 발광효율 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셀핏치 1,080$mu extrm{m}$의 test panel을 제작하였다. 방전 유지전극의 폭과 간격은 각각 260$\mu\textrm{m}$, 100$\mu\textrm{m}$, 유전층은 30$\mu\textrm{m}$, 격벽은 120$\mu\textrm{m}$로 제작하였다. 방전유지전극에 300ns의 상승시간을 갖는 사각파를 10~50kHx의 다양한 진동수범 위에서 펄스의 폭을 변화시키면서 방전전압과 메모리 상수등을 측정하고, 각 경우 휘도와 방전소모전력을 측정하여 최종적으로 효율을 비교하였다. 진동수의 증가나 펄스 폭의 증가에 따라 방전 전압이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특정한 펄스 폭일 때 자기소거방전이 생김을 관측하였다. 또한 특정 펄스 폭에 대하여 특정 진동수로 전압을 인가할 경우 자기 소거방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전전류가 유지되는 특성이 있음을 관측하였다.

  • PDF

Numerical study of dividing open-channel flows at bifurcation channel using TELEMAC-2D (TELEMAC-2D모형을 이용한 개수로 분류흐름에 대한 수치모의 연구)

  • Jung, Dae Jin;Jang, Chang-Lae;Jung, Kwansu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7
    • /
    • pp.635-644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vari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due to variation of branch channel width and discharge ratio at bifurcation channel using 2D numerical model. The calculated result considering secondary flow is more accurate and stable than without considering one. The diversion flow rate ($Q_3/Q_1$) is reduced by flow stagn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of the secondary flow and flow separation zone in branch channel. The less upstream inflow or the lower upstream velocity, the bigger variation of diversion flow rate by changing branch channel width. At uniform downstream boundary condition, the rate of change in Froude number of downstream of main channel($Fr_2$)-diversion flow rate ($Q_3/Q_1$) relations is similar about -2.4843~-2.6675 when branch channel width ratio (b/B) is decreased. At uniform diversion flow rate ($Q_3/Q_1$) condition, the width of recirculation zone in branch channel is decreased when branch channel width ratio (b/B) is decreased. The less upstream inflow in the case of increasing branch channel width or the narrower branch channel width in the case of increasing upstream inflow, the bigger reduction ratio of recirculation zone width. At uniform inflow discharge ($Q_1$) condition, diversion flow rate, the width and length of recirculation zone in branch channel are decreased when branch channel width ratio (b/B) is decreased.

Microstrip Antenna of the patch width and ground plane width equal width (패치폭과 그라운드면이 같은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 고영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05a
    • /
    • pp.530-53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2GHz의 패치폭과 그라운드면의 폭이 같은 QMSA의 구조를 설계 및 제작하였고, QMSA의 구조를 변형하여 용량을 장하한 QMSA와 기생소자를 갖는 QMSA를 제안하였다. QMSA의 구조는 한 쪽 끝이 전기적으로 단락된 λ/4의 구조로 설계하였으며, 용량을 갖는 QMSA는 상측 평행 평판과 하측 평행 평판 사이의 용량을 구성시킴으로써 리턴로스와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기생소자를 갖는 QMSA의 구조는 상측 평행 평판위에 기생소자를 가변함으로써 안테나를 소형화할 수 있었다. QMSA는 2GHz의 중심주파수를 갖고 2%의 대역폭을 갖으며, 용량의 변화와 기생소자의 길이에 따라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보였다.

  • PDF

Effect of Width, Space, Arrangement, and Lightness on Sensibility of Block Stripe Pattern (폭, 간격, 배열과 명도차이가 블록 스트라이프 패턴의 감성에 미치는 영향)

  • 박희주;이영진;정혜진;조길수;이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5-29
    • /
    • 2001
  • 소비자 감성 분석에 근거한 블록 스트라이프 패턴(block stripe pattern)의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명도, 폭, 간격이 조작된 서로 다른 27개의 블록 스트라이프 패턴의 자극물을 제시하여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Likert 척도에 의해 명도, 배열, 폭, 간격의 4가지 디자인 요소가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12개의 감성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물리량에 근거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감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근거로 각각의 감성에 부합하는 명도, 배열, 폭과 간격의 디자인 요소별 물리량과 함께 디자인 요소의 물리적 변화에 따른 감성예측 회귀모형을 도출하였다. 디자인 요소 중 명도차, 간격, 폭의 순으로 디자인 요소의 물리량 변화가 유의적인 감성차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명도차는 "캐주얼한"을 제외한 모든 감성에서 감성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설명력 높은 디자인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각각의 감성에 부합하는 디자인 요소별 물리량과 함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