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동 불확실성

Search Result 47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Reliability-Based Design Optimization Considering Variable Uncertainty (설계변수의 변동 불확실성을 고려한 신뢰성 기반 최적설계)

  • Lim, Woochul;Jang, Junyong;Kim, Jungho;Na, Jongho;Lee, Changkun;Kim, Yongsuk;Lee, Tae He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8 no.6
    • /
    • pp.649-653
    • /
    • 2014
  • Although many reliability analysis and reliability-based design optimization (RBDO)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estimate system reliability, many studies assume the uncertainty of the design variable to be constant. In practice, because uncertainty varies with the design variable's value, this assumption results in inaccurate conclusions about the reliability of the optimum design. Therefore, uncertainty should be considered variable in RBDO. In this paper, we propose an RBDO method considering variable uncertainty. Variable uncertainty can modify uncertainty for each design point, resulting in accurate reliability estimation. Finally, a notable optimum design is obtained using the proposed method with variable uncertainty. A mathematical example and an engine cradle design are illustrated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Climate and geomorphic internal variabilities (기후 변화 및 침식 현상에서의 내적변동성)

  • Kim,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9-39
    • /
    • 2016
  • 기후 변화의 수자원 영향 평가에서 전지구모형이 갖는 불확실성이나 이산화탄소 배출 등의 시나리오별 불확실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으나, 외부의 변화가 아닌 지구 시스템상의 내부 변화에 대한 자연적인 변동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대표적인 내적 변동성의 예시로 엘리뇨 또는 라니뇨 현상을 들 수 있으며, 일정 영역 해수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순환정도가 전세계적으로 큰 영향 (태풍, 가뭄, 홍수 등)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역에서의 침식 및 퇴적 현상에서도 기후변화에서와 비슷한 내적변동성의 영향이 관찰되어지나, 과거의 대부분의 연구는 외적변동성의 영향에만 집중되어 왔다.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예로, 토양 표면의 미묘한 변화 (aggregation, dispersion, shielding, crusting 등)때문에 같은 양의 강우 또는 유출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같은 양의 침식량이 발생하지 않는 현상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다루어지는 침식량의 '다름'은 같은 지역에서라도 적게는 수십배에서 크게는 수백배까지 예측량이 다를 수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다름이 그동안 수자원/지질학을 연구하는 학자 및 실무자로 하여금 수치모델을 적용하고 예측하는 것을 어렵게 했던 원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 변화가 가져올 수자원의 영향 평가를 수행할 것이다. 관심있는 기후변화 변수로서 기온 및 강수량을 시간단위로 상세화할 것이며, 변화한 기후의 영향을 평가할 수자원의 현상으로는 증발산, 토양수분량, 유출량, 하천에서의 수심 및 첨두량, 침식량 등을 고려할 것이다. 물리현상을 모의하기 위해, 유역기반의 수리, 수문, 침식 및 퇴적 현상을 동시에 계산할 수 있는 통합모델을 개발하였고 적용하였다. 여기에서 얻은 결과로부터 내적 변동성이 수자원 현상에 미치는 불확실성을 확률통계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정량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Analysis of Nonlinear Hydrologic Phenomenon with Uncertainty (불확실성을 고려한 비선형 수문현상의 해석)

  • Jang, Su Hyung;Kim, Sangdan;Yoon, Yo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660-66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적인 메커니즘을 갖는 수문현상의 불확실성을 해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새로운 개념의 지배방정식이 유도된다. 제안된 모형의 불확실성은 토양 특성치의 공간적 변동성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유도된 방정식은 Fokker-Planckl 방정식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실제 유역단위에서 토양 내 수분 흐름의 연직방향 흐름을 모의하기 위해 미소단위에서 유도된 Richards 방정식은 토양의 공간적 변동성으로 말미암아 불확실한 매개변수를 갖는 비선형 추계학적 편미분방정식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는 먼지 수직 방향적분을 통하여 단순화된 비선형 추계학적 상미분방정식으로 전환되고, 이렇게 전환된 비선형 추계학적 상미분방정식은 다시 추계학적 Liouville 방정식을 이용하여 선형 추계학적 편미분방정식으로 전환되어진다. 최종적으로 cumulant 급수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방정식을 선형 결정론적 편미분방정식으로 전환시킴으로써, 강우 시 토양 내 수분 침투현상을 모형화할 경우 유역단위에서 토양의 공간적 변동성을 설명할 수 있는 지배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 PDF

Two-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using Stochastic Rainfall Variation in Nam-River Basin (남강유역에서의 추계학적 강우변동 생성기법과 연계한 2차원 침수해석)

  • Ahn, Ki-Hong;Lee, Jin-Young;Han, Kun-Yeun;Cho, Wa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10-614
    • /
    • 2010
  •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 현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고려가 더욱 중요해진 지금 설계빈도의 무조건적인 상향조정에 의존하기보다는 추계학적 방법을 도입한 수문량의 확충 및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발생의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제내지에서의 침수 범위를 GIS상에서 검토하기 위해 log-ratio 방법, Johnson 시스템, 직교변환을 활용한 다변량 Monte Carlo 기법으로 추계학적 시간에 따른 강우변동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강우변동 결과를 토대로 수문분석, 홍수위 분석 등을 실시하고 FLUMEN 모형을 적용하여 해당유역에 대한 홍수범람시 침수범위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실제 강우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있어 시 공간적 강우특성이 반영된 유역별 주민대피지도, 홍수위험지도 등을 제작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termination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Shear Wave Velocity in Rock Filled Zone of CFRD (Concrete Faced Rock Filled Dam) for Reliability Based Analysis (신뢰성 기반 해석을 위한 국내 CFRD 사력존 재료의 전단파 속도 변동계수 결정)

  • Park, Hyung-Choon;Lim, Heui-Dae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3 no.4
    • /
    • pp.17-24
    • /
    • 2017
  • Shear wave velocity (or shear modulus) of rock filled zone of CFRD is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of CFRD under the load such as earthquake. A shear wave velocity profile can be determined by surface wave method but this profile has been uncertainty caused by spatial variation of material property in rock filled zone. This uncertainty in shear wave velocity profile could be evaluated by the reliability based analysis which uses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material property to consider uncertainty caused by spatial variation of material property. In this paper, the possible 600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in rock filled zone of CFRD were generated using the method based on harmonic wavelet transform and 8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by HWAW method in the field, and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of shear wave velocity with depth were evaluated for the rock filled zone of CFRD in Korea.

Asymmetric Effects of Inflation Uncertainty on Facilities Investment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의 기업 설비투자에 대한 비대칭적 효과 분석)

  • Son, Minkyu;Chang, Youngja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7 no.1
    • /
    • pp.123-132
    • /
    • 2014
  • Inflation uncertainty is known to have deleterious effects on facilities investment by disturbing the corporate decision on the opportunity cost of investment. In this paper, we test the validity of this hypothesis in Korea by estimating the inflation uncertainty with both a time-varing parameter model with GARCH disturbances and the relative price volatility and then, estimate the facilities investment equation which includes those uncertainty indicators. The uncertainty indexes estimat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s continue to fluctuate even after the inflation rate has dropped dramatically reflecting the structural changes of Korea's economy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As a result of estimation of the investment equation by both OLS and GMM, we find the inflation uncertainty has a negative effect on facilities investment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Moreover, by means of Markov-switching regression model utilized to verify the non-linearity of this relationship, we draw a conclusion that this negative effect of inflation uncertainty heightens asymmetrically during the downturn periods of business cycle.

Effect of watershed characteristics on river TP concentration (유역 특성이 하천 총인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Seo, Ji Yu;Kim, Sang 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65-165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하천 수질이 저하되고 있다. 이는 수생태계의 손상을 야기하고 인류를 위한 하천의 물 공급원 기능에 저해 요소로 작용한다. 오염된 수생태계에 대한 효과적인 맞춤형 관리전략을 수립하려면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 요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적 및 공간적 변동성이 모두 중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전체 유역에서 나타나는 공간적인 변동성에 집중하여 하천 수질의 공간적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고 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낙동강 유역 전역의 40개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에서 5년 동안 수집된 하천 총인 농도와 유역특성 자료를 사용하였다. 총인 농도의 공간적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유역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통계모델 선정을 위해 완전 탐색 접근법과 베이지안 추론이 적용되었다. 완전 탐색은 두 단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1 단계 완전 탐색의 결과로 유역특성 자료들의 중요도가 선정되었으며 2 단계 완전탐색 결과로 통계모델이 우선 선정되었다. 우선 선정된 통계모델은 베이지안 추론을 통해 모델의 정확도와 불확실성이 분석되었고 공간적 변동성 분석을 위한 최적 모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낙동강 하천 총인 농도의 공간적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유역특성에 대한 통찰력이 제공된다. 또한 식별된 주요 유역특성은 유역특성 변화에 대한 하천의 수질 반응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Uncertainty Propagation and Quantification in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for Hydrology (수자원분야 기후변화 영향평가에서의 불확실성 전파와 정량화)

  • Lee, Jae-Kyoung;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5-15
    • /
    • 2015
  • 기존 기후변화 영향평가 불확실성 연구들은 거의 대부분 GCM의 불확실성이 가장 크다고 결론내리고 있으나, ES 불확실성과의 정량적 비교는 하지 못했으며, 기존 접근방법은 민감도 분석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영향평가 각 단계별 불확실성을 포괄적으로 정량화하고 수행단계별 불확실성의 전파정도를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approach를 제안하였다. 첫째, 전체 불확실성, 각 단계별 불확실성 증가 정도, 각 단계별 불확실성의 비율을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approach를 제안하였다. 또한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maximum entropy(이하 ME)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본 연구에서 제시한 approach에서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영향평가 불확실성 단계별 정량화를 위해 2개 배출시나리오, 4개 GCM 시나리오, 2개 상세화기법, 2개 수문모형을 사용하여 기본적 기후변화 영향평가 단계를 모두 수행하였다. 기존 approach에서는 GCMs의 변화율(89.34)이 가장 커 GCMs의 불확실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제시한 approach에서는 배출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이 전체 대비 58.66 %로 기후변화 영향평가에서 가장 큰 불확실성 발생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모형 불확실성에서는 GCMs의 불확실성(전체 대비 33.57 %)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배출시나리오의 ME는 3.32, GCMs의 ME는 5.22, 상세화기법의 ME는 5.57, 수문모형의 ME는 5.66으로 단계적으로 불확실성이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유량과 강수를 이용하여 불확실성 정량화를 수행하였으며, 강수를 이용한 불확실성 정량화에서는 유량을 이용한 결과와 다르게 배출시나리오 다음으로 상세화기법의 불확실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 어떤 수문변수에 초점을 두느냐에 따라 불확실성 정량화저감 노력 대상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연변동성에 의한 불확실성이 기후변화 전체 불확실성의 45.47 % 정도로 나타났으며, 이는 미래 기후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불확실성이 과거 자연변동보다 2배 이상으로서, 기후변화에 의한 미래전망의 불확실성이 매우 크게 증가한다는 매우 중요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Shear Wave Velocity Profile Considering Uncertainty Caused by Spatial Variation of Material Property in Core Zone of Fill Dam (필댐 축조재료의 공간 변동성에 의한 불확실성이 고려된 국내 필댐 심벽부 전단파 속도 주상도 모델)

  • Park, Hyung-Choon;Nah, Byung-Chan;Lim, Heui-Dae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2 no.11
    • /
    • pp.51-60
    • /
    • 2016
  • In determining a shear wave velocity (Vs) profile model based on field tests for dams, the uncertainties always exist. These uncertainties are caused by spatial variations of material properties in each dam and between dams and should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Vs profile model for dams. In this paper, these uncertainties are evaluated and Vs profile model for core zone of fill dam in Korea is proposed using the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determined in seven fill dams. The proposed Vs profile model is compared with Kim's model and Sawada-Takahashi model widely used for evaluation of Vs profile of core zone of fill dam.

Determination of Coefficient of Variation of Shear Wave Velocity in Fill Dam for Reliability Based Analysis (신뢰성 기반 해석을 위한 국내 필댐 구성 재료의 전단파 속도 변동계수 결정)

  • Park, Hyung-Choon;Oh, Hyun-Ju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6 no.4
    • /
    • pp.31-39
    • /
    • 2020
  • Shear wave velocity (or shear modulus) is very important in the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of a fill dam under an earthquake. A shear wave velocity profile can be determined by surface wave method such as HWAW and SASW methods but this profile has uncertainty caused by spatial variation of material property in a fill dam. This uncertainty in shear wave velocity profile could be considered using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material property in the reliability based analysis. In this paper, the possible 600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in the core and rockfill zone of fill dam were generated by the random shear wave velocity profile generation method, proposed by Hwang and Park, based on the field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determined by the HWAW and SASW methods. An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generated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in the fill dam,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OV) of shear wave velocity with depth were evaluated for the core and rock filled zone of fill dam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