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동성 분석

Search Result 3,187,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Hydraulic Assessment of Channel Form on the Narrow Pass of Channel (하천 협착부에서 하도형태에 관한 하도수리학적 평가 -낙동강 선산지구를 중심으로 -)

  • Choi, Ho-Kyun;Kim, Won-Il;Ryu, Young-Hoon;Lee, Sam-Hee;Ah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11-1715
    • /
    • 2007
  • 하천에서는 나라마다 하천마다 구간마다 독특한 하도특성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 %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하여 특이한 하도형태의 모습을 보이는 구간이 산재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모습이 충적하도와 침식하도가 연속해 발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이 하천 협착부 구간이다. 이러한 하천협착부 주변지역은 전형적인 수해상습 구간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우리 나라에서는 이러한 협착부 구간에서 하도특성을 반영한 연구 및 설계 사례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선산지역의 하천 협착부에서의 하도 수리학적 의미와 하도형태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래하천인 조사구간의 저수로 하상에서 아주 미세한 유사분급 현상은 확인할 수 있었지만, 명쾌한 자연 영력에 의한 유사분급 현상이라 판단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이는 완만한 하상경사, 균일성에 가까운 하상재료의 공급에 기인한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연적인 현상보다는 골재채취 등의 원인에 따른 유사분급이 확연하다고 추정되었다. 그리고 협착부의 배수구역에서 과거 활발했던 이동상 단단면 하도형태가 유심부의 이동과 더불어 최근 급격하게 복단면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저수로의 하폭이 크게 줄어드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궁극적으로 이상홍수 발생시의 복단면 가중 또는 홍수단면적 축소, 저수로에서의 호안 또는 제방 아래부분의 국소세굴이 야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원주교각에 대한 국부세굴 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원주형의 교각에서는 단일원주보다는 원주군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때 교각의 직경(D)에 대한 교각 사이 간격$(L_d)$의 비$(L_d/D)$에 따른 전면교각에서의 수류변화의 영향이 후면교각에 작용하여 상호 복합적인 흐름 및 세굴특성을 나타내므로 이와 같은 복렬형 원주군의 세굴특성을 파상형 원주교각에 적용하여 국부세굴의 크기 변화를 해석하였다. 따라서, 교각주위에서의 수류특성 및 세굴의 변동은 원주군 및 교각파상의 크기와 간격 등과 같은 구조물의 배열조건과 Froude 수, 수심 등의 수리학적 조건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의 조건을 체계적으로 변화시켜 가면서 교각주위에서의 국부세굴 및 세굴 감소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오목 및 볼록 파상형 원주 주위에서의 세굴크기는 원형원주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오목형 $B/\acute{h}=3$에서는 세굴경감효과가 탁월하여 70%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볼록형 $B/\acute{h}=5$에서는 세굴촉진특성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파상형 원주에서는 하강류나 와류를 파상형의 내부로 유도하여 세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최적의 파상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

  • PDF

Unsteady RANS computations of turbulent flow in a high-amplitude meandering channel (고진폭 만곡수로에서 난류흐름의 비정상 RANS 수치모의)

  • Lee, Seungkyu;Paik, Joongcheo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2
    • /
    • pp.89-97
    • /
    • 2017
  • Turbulent flow structure in the high amplitude meandering channel is complex due to secondary recirculation with helicoidal motions and shear layers formed by flow separation from the curved sidewall. In this work, the secondary flow and the superelevation of the water surface produced in the high-amplitude Kinoshita channel are reproduced by the unsteady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RANS) computations using the VOF technique for resolving the variation of water surface elevation and three statistical turbulence models ($k-{\varepsilon}$, RNG $k-{\varepsilon}$, $k-{\omega}$ SST). The numerical results computed by a second-order accurate finite volume method are compared with an existing experimental measurement. Among applied turbulence models, $k-{\omega}$ SST model relatively well predicts overall distribution of the secondary recirculation in the Kinoshita channel, while all three models yield similar prediction of water superelevation transverse slope. The secondary recirculation driven by the radial acceleration in the upstream bend affects the flow structure in the downstream bend, which yields a pair of counter-rotating vortices at the bend apex. This complex flow pattern is reasonably well reproduced by the $k-{\omega}$ SST model. Both $k-{\varepsilon}$ based models fail to predict the clockwise-rotating vortex between a pair of counter-rotating vortices which was observed in the experiment. Regardless of applied turbulence models, the present computations using the VOF method appear to well reproduce the superelevation of water surface through the meandering channel.

GVT, Inc.의 HP Series 2단 Gifford-McMahon 극저온 냉동기 성능시험

  • Lee, Dong-Ju;Han, Myeong-Hui;Mun, Jae-Yeong;In, Sa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227-227
    • /
    • 2012
  • Cryopump는 반도체 임플란타 공정, OLED분야, 신소재 개발, 표면분석 및 처리, 의료분야, 입자가속기, 핵융합 등 다양한 진공분야에 응용되는 고진공용 극저온펌프이다. 특히 향후로의 산업구조는 디스플레이, 반도체, IT 산업분야로 집중 재편될 것이기에, 이에 따른 핵심제조장비인 고진공 펌프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를 위한 핵심부품과 장비들의 국산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GVT는 미국의 Varian과 일본Ebara의 Cryopump 제조기술을 원천으로 한 회사로써 현재는 국내 유일의 G-M냉동기와 Cryopump 제조기술을 보유한 업체이다. 그리고 최근 오랫동안 정체되었던 관련 기술을 발전시켜 최적화된 한국형 G-M 냉동기 및 이를 장착한 다양한 사이즈의 고성능 Cryopump를 출시하게 되었다. 가장 큰 수확은 Cryopump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무엇보다 고객맞춤형으로 디자인할 수 있을 정도의 기술력을 확보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Cryopump의 성능은 장착되는 Cryocooler(G-M냉동기)의 성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차로 Cryocooler의 성능을 개선하고 이차로 이를 장착한 Cryopump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는 일차로 진행된 HP Series 2단 Cryocooler 4가지 모델 중 가장 범용인 HPM 모델과 HPS모델에 대한 제작과 성능시험에 관한 것이다. 이는 각각 기존의 ICP Series 펌프에 장착되던 Expander 535 모델 및 Expander 855 모델에 대한 설계 최적화의 결과물로써 내용은 Cryocooler에 대한 'Typical Performance Test(1st STG와 2nd STG의 온도가 각각의 Stage에 인가되는 Heat Load에 의해 그물망 형태의 그래프가 되도록 수행하는 시험법)'의 절차를 따라 수행되었다. HPM Cryocooler의 성능은 2nd STG Temp. 20K 와 1st STG Temp. 80K를 Heat Load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각각 8.2W, 55.0W의 성능을 나타내었고 HPS Cryocooler의 성능은 2nd STG Temp. 20K 와 1st STG Temp. 72K를 Heat Load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각각 14.0W, 90.0W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1st STG Temp.를 72K로 정한 이유는 Power Supply의 용량 한계로 인해 90W이상의 Heat Load를 인가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만약 성능 그래프의 경향성을 고려하여 1st STG Temp. 80K로 가정한다면, 각각 약 13W, 100W 정도의 성능을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단, 본 시험에 사용된 Compressor는 GVT의 HC80Plus 모델로 내부에는 Helium용 5HP급 Scroll Type의 Compressor가 장착되어 있으며, 봉입압력 250Psig에 저압 100Psig기준, 65scfm의 유량을 가지는 압축기이다. 압축기와 Cryocooler의 조합은 1:1이었고 시험방법은 Cryocooler에 대한 GVT 자체규정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밤과 낮 및 공장전체의 부하변동에 따른 냉각수 온도변화에 따른 펌프의 성능변화는 고려되지 않았다.

  • PDF

GVT, Inc.의 HP Series 2단 Gifford-McMahon 극저온 냉동기 성능시험

  • Lee, Dong-Ju;Han, Myeong-Hui;Mun, Jae-Yeong;In, Sa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118-118
    • /
    • 2012
  • Cryopump는 반도체 임플란타 공정, OLED분야, 신소재 개발, 표면분석 및 처리, 의료분야, 입자가속기, 핵융합 등 다양한 진공분야에 응용되는 고진공용 극저온펌프이다. 특히 향후로의 산업구조는 디스플레이, 반도체, IT 산업분야로 집중 재편될 것이기에, 이에 따른 핵심제조장비인 고진공 펌프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를 위한 핵심부품과 장비들의 국산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GVT는 미국의 Varian과 일본Ebara의 Cryopump 제조기술을 원천으로 한 회사로써 현재는 국내 유일의 G-M 냉동기와 Cryopump 제조기술을 보유한 업체이다. 그리고 최근 오랫동안 정체되었던 관련 기술을 발전시켜 최적화된 한국형 G-M 냉동기 및 이를 장착한 다양한 사이즈의 고성능 Cryopump를 출시하게 되었다. 가장 큰 수확은 Cryopump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무엇보다 고객맞춤형으로 디자인할 수 있을 정도의 기술력을 확보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Cryopump의 성능은 장착되는 Cryocooler (G-M냉동기)의 성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차로 Cryocooler의 성능을 개선하고 이차로 이를 장착한 Cryopump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는 일차로 진행된 HP Series 2단 Cryocooler 4가지 모델 중 가장 범용인 HPM 모델과 HPS모델에 대한 제작과 성능시험에 관한 것이다. 이는 각각 기존의 ICP Series 펌프에 장착되던 Expander 535 모델 및 Expander 855 모델에 대한 설계 최적화의 결과물로써 내용은 Cryocooler에 대한 'Typical Performance Test(1st STG와 2nd STG의 온도가 각각의 Stage에 인가되는 Heat Load에 의해 그물망 형태의 그래프가 되도록 수행하는 시험법)'의 절차를 따라 수행되었다. HPM Cryocooler의 성능은 2nd STG Temp. 20K와 1st STG Temp. 80K를 Heat Load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각각 8.2W, 55.0W의 성능을 나타내었고 HPS Cryocooler의 성능은 2nd STG Temp. 20K 와 1st STG Temp. 72K를 Heat Load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각각 14.0W, 90.0W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1st STG Temp.를 72K로 정한 이유는 Power Supply의 용량 한계로 인해 90W이상의 Heat Load를 인가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만약 성능 그래프의 경향성을 고려하여 1st STG Temp. 80K로 가정한다면, 각각 약 13W, 100W 정도의 성능을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단, 본 시험에 사용된 Compressor는 GVT의 HC80Plus 모델로 내부에는 Helium용 5HP급 Scroll Type의 Compressor가 장착되어 있으며, 봉입압력 250Psig에 저압 100Psig기준, 65scfm의 유량을 가지는 압축기이다. 압축기와 Cryocooler의 조합은 1:1이었고 시험방법은 Cryocooler에 대한 GVT 자체규정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밤과 낮 및 공장전체의 부하변동에 따른 냉각수 온도변화에 따른 펌프의 성능변화는 고려되지 않았다.

  • PDF

Seasonal Variations of Primary Productivity Analyzed by Phyto-PAM Chlorophyll Fluorometry in the Beopsu Marsh, Haman-gun, Gyeongsangnam-do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늪에서 엽록소 형광광도계(Phyto-PAM)에 의한 일차생산의 계절변동)

  • Kim, Mi-Ky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6 no.2
    • /
    • pp.76-86
    • /
    • 2008
  • The seasonal variations of primary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by phyto-PAM chlorophyll fluorometry as well as classical methods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s and chlorophyll ${\alpha}$) in the Beopsu Marsh, Haman-gun, Gyeongsangnam-do. The amounts of turbidity, SS, T-N, T-P, BOD, COD, Ca$^{2+}$ and Cl$^-$ were the highest at the station 3, where located in flowout site of wastewater treated by the filtration plants. The water quality was the third level by the standard of BOD and COD. The amount of chlorophyll a (268.8 mg L$^{-1}$) was the highest at the station 2 in April because the cell density (2,677 cells mL$^{-1}$) of Micractinium pusillum increased suddenly from February (180 cells mL$^{-1}$). The patterns of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by phyto-PAM chlorophyll fluorometry were fallen in with those of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 a of phyto-planktons. The primary production was varied according to stations and seasons. The water environments of the Beopsu Marsh as a natural mounument should be under the control of a regular examination in order to preserve the ecosystem.

Characteristics of Puffer Fish Poisoning Outbreaks in Korea (1991-2002) (대한민국에서 복어독에 의한 식중독 발생 특성)

  • Kim, Ji-Hoe;Gong, Qing-Li;Mok, Jong-Soo;Min, Jin-Gi;Lee, Tae-Seek;Park, Jeong-Heum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18 no.3
    • /
    • pp.133-138
    • /
    • 2003
  • The data on outbreaks of puffer fish poisoning during 1991 to 2002 in Korea were gathered from press reports, and characterized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period, a total of 32 outbreaks of puffer fish poisoning was reported. These outbreaks caused 111 persons to become poisoning, among the cases 30 persons were fatal. The mean case fatality rate was 27.0%, and most of deaths (93.3%) were the male of above 29 years old. Patient number of below 4 persons per a poisoning accident occupied 75.0% of total outbreaks; 65.8% of total cases; and 66.7% of total deaths) was occurred in the months, November through January. Most of puffer fish poisoning (75.0% of total outbreaks; 68.5% of total cases; and 73.3% of total deaths) were found along the south coastal area of Korea, including Busan, Gyeongsangnam-do, Jeollanam-do and Jeju-do. Over than 80% of puffer fish poisoning outbreaks occurred at fishing boat and home where privately made food was cause, and outbreaks in restaurants accounted for 15.6%. Most commonly implicated foods were Guk, boiled soup with puffer fish meat and spi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of Breeding Migration of the Gori Salamander (Hynobius yangi) and Climate Factors (고리도롱뇽의 번식이주 시기와 기후요소와의 관계)

  • Kim, Ja-Kyoung;Park, Daesik;Lee, Heon-Ju;Jeong, Soo-Min;Kim, Il-Hu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7 no.3
    • /
    • pp.194-201
    • /
    • 2014
  • To elucidate which climate factors and what periods affect the time of breeding migration of Gori salamanders (Hynobius yangi), we have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the 5-years breeding monitoring data from 2006 to 2010 which had obtained in both natural and translocated breeding sites at Bongdae mountain, Gijang-gun, Busan-si and the matched climate data obtained from the weather station, approximately 25 km apart from the sites. Mean average and mean lowest temperatures during one month before the first breeding migration were related with the time of first female migration in the translocated site. Mean temperature variation and mean precipitation during 60~120 days before the first breeding migration affected the time of 30% male appearance at the natural site and the time of 30% female appearance at both natural and translocated sites. Climate factors were more closely related with female appearance than male and at the translocated site than at the natural site. Our results show that changes in mean temperature variation and mean precipitation rather than mean average temperature might more significantly affect the breeding migration of salamanders, female breeding migration is more closely related with climate factors, and the salamanders translocated could be more affected by climate changes than those in natural populations.

A Study of Relation of Winter Climate between El-Nino.La-Nina and Sea Surface Temperature in Korea (한국의 겨울 기후 및 해수 온도에 미치는 엘리뇨와 라니냐의 영향)

  • Bak, Byeong-Su;Min, Woo-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5 no.2
    • /
    • pp.143-153
    • /
    • 1999
  • This study is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l-Nino and La-Nina and Korea'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ummer and winter, 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extraction of the occurrences of El-Nino reveals are 5, but La-Nina reveals 6 years. (2) The tendency of change of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NINO.3 and that of or country are about the same, but the anomaly of Janggi and Pusan was much greater than that of Inchon. (3) The anomaly of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NINO.3 and that of the temperature showed the similar changing tendency, the temperature of Korea has something to do with that of NINO.3sea surface temperature as the correlation of ground temperature with the temperature of sea surface showed 0.06. Anomaly warm winter has something to do with El-Nino because the temperature of our country was high when El-Nino phenomena appeared. But the precipitation over our country is not significant for La-Nina. (4) Temperature in El-Nino year is lower than normal in summer and higher than normal in winter. But precipitation is more in summer and winter of El-Nino year, but it is not significant of La-Nina year.

  • PDF

Hydro-Biogeochemica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of Water and Carbon Cycling in the Gwangneung Forest Catchment (수문생지화학적 접근을 통한 광릉 산림 유역의 물과 탄소 순환 이해)

  • Kim, Su-Jin;Lee, Dong-Ho;Kim, Joon;Kim, Su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9 no.2
    • /
    • pp.109-120
    • /
    • 2007
  • The information on flowpath, storage, residence time, and interactions of water and carbon transport in a catchment is the prerequisite to the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of water and carbon cycling in the mountainous landscapes of Korea. In this paper, along with some up-to-date results, we present the principal methods that are currently used in HydroKorea and CarboKorea research to obtain such information. Various catchment hydrological processes have been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water table fluctuations, the end-member mixing model, the cross correlation analysis, and cosmogenic radioactive isotope activity. In the Gwangneung catchment, the contribution of surface discharge was relatively large, and the changes in the amount, intensity and patterns of precipitation affected both the flowpath and the mean residence time of water. Particularly during the summer monsoon, changes in precipitation patterns and hydrological processes in the catchment influenced the carbon cycle such that the persistent precipitation increased the discharge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concentrated in the surface soil layer. The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hydrological processes presented in this report will enable a more realistic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s on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and on the carbon cycling in forest catchments.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II) Surf Zone fish (천수만(淺水灣) 어류(魚類)의 종조성(種組成) 변화(變化) 2. 대천(大川) 해빈(海濱) 쇄파대(碎波帶) 어류(魚類))

  • Lee, Tae-Won;Moon, Hyung-Tae;Choi, Shin-Seok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9 no.1
    • /
    • pp.79-90
    • /
    • 1997
  • Monthly samples of surf zone fish at Taechon Beach were collected by a beach seine from June 1995 to May 1996, and analyzed for the species composition,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Of 26 species identified, Favonigobius gymnauchen, Leiognathus nuchalis, Sillago japonica and Kareius bicoloratus predominated in abundance. In spring, the adults of resident species were dominated. A large number of juveniles of pelagic or demersal fish occupied the surf zone from summer to autumn. Fish numbers and biomass were low in winter.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present study showed a similar seasonal trend to that obtained in 1984-85. However, demersal fish such as K. bicoloratus, Repomucenus lunatus, Johnius belengerii and Enedrias fangi, and L. nuchalis were increased, while pelagic fish such as Thrissa koreana, Sardinella zunasi and Konosirus punctatus were diminished. These changes seemed to be related to sedimentation of fine particles for demersal fish and subsequent increase in turbidity for pelagic fish after reclamation in the b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