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동범위

Search Result 97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Variable Speed Diesel Generator for DC Distribution (직류배전용 가변속 디젤발전기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Kido;Kim, Jong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1
    • /
    • pp.117-121
    • /
    • 2019
  • In this study, research and a demonstration for applying DC distribution systems to ships as an environmental and energy conservation solution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were actively carried out. In order to apply a generator to a DC distribution system, a variable speed engine was used. Both engine speed and fuel consumption were reduced. In this paper, a DC generator for DC distribution was constructed using a diesel generator, a generator controller, a governor, and an AVR. A system configuration method for a generator, power quality test, and the power characteristics of a variable speed generator were analyzed. The voltage (250 - 440 VAC) and frequency (34 - 60 Hz) of the variable speed generator were set to 60 - 100 % of the rated value, and the engine was set to operate from 1100 - 1800 rpm. It was confirmed that the voltage, current, and frequency of the generator output fluctuated in a stable manner according to the power amount when changing the engine speed of the generator according to the load variation.

Long-gap Filling Method for the Coastal Monitoring Data (해양모니터링 자료의 장기결측 보충 기법)

  • Cho, Hong-Yeon;Lee, Gi-Seop;Lee, Uk-J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3 no.6
    • /
    • pp.333-344
    • /
    • 2021
  • Technique for the long-gap filling that occur frequently in ocean monitoring data is developed. The method estimates the unknown values of the long-gap by the summation of the estimated trend and selected residual components of the given missing intervals. The method was used to impute the data of the long-term missing interval of about 1 month, such as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of the Ulleungdo ocean buoy data. The imputed data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monitoring parameters, but it was found that the variation pattern was appropriately reproduced. Although this method causes bias and variance errors due to trend and residual components estimation, it was found that the bias error of statistical measure estimation due to long-term missing is greatly reduced. The mean, and the 90% confidence intervals of the gap-filling model's RMS errors are 0.93 and 0.35~1.95, respectively.

Flood Level Variability Assessment by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Storm Sewers (우수관로 수리특성에 따른 홍수위 변동성 평가)

  • Park, Jongpyo;Sim, Inkyeong;Yun, Hye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6-426
    • /
    • 2021
  • 우수관로의 수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매개변수 중 조도계수 변화에 따른 첨두 수위 변동성을 SWMM으로 분석하고 수위 관측자료와 비교 검증하였다. 모형 적용 조도계수의 범위는 0.015 ~ 0.120이며 0.003 단위로 증가시키며 총 12개 CASE에 대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검토 대상지점은 서울시 방배1, 봉천1, 길동, 신림4, 방배2, 오류1, 천호 배수분구이다. 조도계수 증가에 따른 관내 수위 변동성 검토결과. 방배1 배수분구 22-0001 지점의 경우 조도계수가 0.015에서 0.120으로 증가하면 첨두 수위는 최대 70.3% 높아졌으며 길동 배수분구 25-0003 지점의 경우 103.3%, 신림4 배수분구 21-0002 지점의 경우 78.8% 수위가 상승하였다. 즉, 물리적으로 관로의 조도계수가 증가하면 유속이 감소되고 수위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상류 인접관로에 만관으로 인한 침수가 발생하는 경우 조도계수가 증가하여도 수위가 상승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봉천1 배수분구 21-0004 지점의 경우 조도계수가 0.045를 초과할 때 상류관에서 만관 발생으로 압력관이 형성되며 이러한 영향으로 수위가 상승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배2 배수분구의 22-0003 지점, 천호 배수분구의 25-0002 지점의 경우 상류관 침수발생으로 첨두 수위의 역전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관로 내 조도계수 증가는 첨두 수위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며 최대 2배까지 수위가 상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조도계수 상승에 따른 인접관(상류관) 만관 및 침수 발생의 원인으로 일부구간의 경우 수위가 감소하는 경우도 있다. 향후, 유역의 특성, 우수관로의 경사, 규모 등을 고려한 우수관로 수리특성에 따른 수위변동성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andard Section-Based Approximate Cost Estimating Model on Tunnel (II) - Cost Variance Index Table and Test - (표준단면을 이용한 터널 공사비 예측모델 개발 (II) - 공사비 변동 모델 및 검증 -)

  • Cho, Jeongyeon;Kim, Sang-Kwi;Kim, Kyoungmin;Kim, Kyong J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5D
    • /
    • pp.677-684
    • /
    • 2008
  • The paper provides an approximate cost estimating model that can be used for tunnel. Based on the previous study analyzed critical factors that have impact on tunnel construction cost, this paper establishes a cost variance index table that reflects the cost impacts due to the change of the critical cost factors. An estimating procedure is described utilizing the index table. For the verification of the suggested model, the comparison of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with real project cost is performed. The estimated results range from 95%~111% of the real project costs. As an approximate tunnel cost estimating model, the model can be utilized to quickly estimate tunnel construction costs based on the conceptual information at the planning stage and to efficiently make a decision on design alternatives.

Proposal of allowable prediction error range for judging the adequacy of groundwater level simulation resul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인공지능 모델의 지하수위 모의결과 적절성 판단을 위한 허용가능 예측오차 범위 제안)

  • Shin, Mun-Ju;Ryu, Ho-Yoon;Kang, Su-Yeon;Lee, Jeong-Han;Kang, Kyung 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9-449
    • /
    • 2022
  • 제주도는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므로 지하수위의 예측 및 관리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제주도의 지층은 화산활동에 의한 현무암이 겹겹이 쌓여있는 형태를 나타내며 육지의 지층구조와 매우 다른 복잡한 형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제주도 지하수위의 예측은 매우 난해하며, 최근에는 딥러닝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지하수위를 예측하는 연구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인공지능 모델들이 지하수위를 적절히 예측한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예측의 적절성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명확한 제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하수위 예측오차가 허용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전 세계의 과거 20년 동안 관련 연구결과들을 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인공지능 모델의 지하수위 예측오차는 지하수위 변동성이 큰 지역일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지하수위의 변동형태가 크고 복잡할수록 인공지능 모델의 지하수위 예측성능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지하수위 최대변동폭과 평균제곱근오차 및 최대오차와의 관계를 선형회귀식으로 도출하여 허용가능한 예측오차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한 Nash-Sutcliffe 효율성지수와 결정계수를 분석하여 선형회귀식에 의한 기준을 보완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공지능 모델에 의한 지하수위 예측결과의 적절성 판단기준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인공지능 예측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ECG Baseline Wandering Removing Algorithm using Slope analysis and Curve Point Detection (기울기 분석과 굴곡점 검출을 이용한 ECG 기저선 잡음 제거 알고리즘)

  • Cho, Ik-Sung;Kwon, Hyeog-So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9
    • /
    • pp.2105-2112
    • /
    • 2010
  • The noise component of electrocardiogram is not distributed in a certain frequency band. It is expressed in various types of signals by rater's phys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Particularly, since the baseline wander is occurred by the mixture of the original signal and 0 ~ 2 [Hz] range of the frequency components according to muscle constraction of part attaching to an electrode and respiration rythm, it makes the ECG signal analysis difficult. Several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eliminate the wandering effectually. However, they have some problems. In some methods, the high processing time is required due to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while in other cases ECG signal morphology can be distorted. This paper suggests a simple and effective algorithm that eliminates baseline wander with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without distorting signal morphology. First, the algorithm detects and segments a baseline wandering interval using slope analysis and curve point detection, second, approximates the wandering in the interval as a sinusoid, and then subtracts the sinusoid from signal. Finally, ecg signals without baseline wander are obtained.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several ECG signals with baseline wandering in MIT/BIH ECG database 101, 111, 113, 234 record were chosen and applied to the algorithm. It is found that the algorithm removes baseline wanders effectively without significant morphological distortion.

Minimizing the Risk of an Open Computing Environment Using the MAD Portfolio Optimization (최적포트폴리오 기법을 이용한 개방형 전산 환경의 안정성 확보에 관한 연구)

  • Kim, Hak-Jin;Park, Ji-Hyoun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5 no.2
    • /
    • pp.15-31
    • /
    • 2009
  • The next generation IT environment is expected to be an open computing environment based on Grid computing technologies, which allow users to access to any type of computing resources through networks. The open computing environment has benefits in aspects of resource utilization, collaboration, flexibility and cost reduction. Due to the variation in performance of open computing resources, however, resource allocation simply based on users' budget and time constraints often fails to meet the Service Level Agreement(SLA). This paper proposes the Mean-Absolute Deviation(MAD) portfolio optimization approach, in which service brokers consider the uncertainty of performance of resources, and compose resource portfolios that minimize the uncertain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is approach, we simulate an open computing environment with varying uncertainty levels, users' constraints, and brokers' optimization strategies. The simulation result concludes threefolds. First, the MAD portfolio optimization improves the success ratio of delivering the required performance to users. Second, the success ratio depends on the accuracy in predicting the variability of performance. Thirdly, the measured variability can also help service brokers expand their service to cost-critical users by discounting the access cost of open computing resources.

  • PDF

Time Series Patterns and Clustering of Rotifer Community in Relation with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Lentic Ecosystems (정수생태계의 지형적인 요인 변화와 윤충류 출현 종 수 및 개체군 밀도 변동에 대한 연구)

  • Oh, Hye-Ji;Heo, Yu-Ji;Chang, Kwang-Hyeon;Kim, Hyun-Wo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4 no.4
    • /
    • pp.390-397
    • /
    • 2021
  • The time series data of rotifer community focusing on the species number and total density were collected from 29 reservoirs located at Jeonnam Province from 2008 to 2016 quarterly. The reservoirs had similar weather condition during the study period, but their sizes and water qualities were different. To analyze the temporal dynamics of rotifer community, the medians, ranges, outliers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CV) value of rotifer species number and abundance were compared. For the temporal trend analysis, time series of each reservoir data were compared and clustered using the dynamic time warping function of the R package "dtwclust". Small-sized reservoirs showed higher variability in rotifer abundance with more frequent outliers than large-sized reservoirs. On the other hand, apparent pattern was not observed for the rotifer species number. For the temporal pattern of rotifer density, COD, phytoplankton abundance fluctuation, and cladoceran abundance fluctuation have been suggested as potential factor affecting the rotifer abundance dynamics.

The experimental study of control drift sand due to jetty in small river estuary (도류제 설치로 인한 사빈의 지형변동에 관한 연구)

  • Park, Sang-Kil;Yoon, Jong-Su;Kim, Byung-Dal;Kim, Do-Hoon;Lee, Si-Ho;Ji, 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24-528
    • /
    • 2008
  • 도류제 완성 후에 대한 100년 빈도 홍수시의 흐름(유향과 유속)을 기초로 하여 수치모형실험 결과의 일례를 그림에 나타내었다. 초록에는 오염물질 확산 수치모형실험결과를 시간별로 나타내지안했지만, 오염물질 확산에 대한 수치모형실험의 일반적인 결과를 평가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흐름은 임랑해수욕장 방향으로 형성되고 청정지역인 방향에서는 남측도류제 설치전보다 복잡한 와류가 형성되어 청정지역 방향으로의 흐름은 미약하다. 모델하천의 빈도별 유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큰 변화는 없고, 흐름은 모델하천 하구부 전면해역의 외해 방향으로 형성되며 빈도에 따른 흐름방향의 변화는 거의 없다. 보존성 오염물물 확산 계산 결과를 보면 평수시의 오염물질 영향범위는 양안에 도류제가 완성됨으로 인해 확산이 차단되어 도류제 내부의 오염물의 농도가 가중되고 도류제 전면해역으로의 오염물질의 확산범위가 확대됨을 알 수 있다. 모델하천의 빈도별 유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물질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때 초기유출(3시간)에는 도류제 전면해역의 외해 방향으로의 오염물질 확산이 가속화 되며, 확산범위도 점차 확대된다. 오염물질의 농도가 감소하여 모델하천으로 부터의 오염물질 배출이 감소할 경우(15-24시간)는 오염물질 농도가 점차적으로 저감되며 청정지역으로 확산이 지연됨을 알 수 있다.

  • PDF

The Study on Drag Coefficient Characteristic of Obstacles in Open Channel (개수로 내 장애물의 항력계수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Ji-Sung;Im, Dong-Kyun;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94-1899
    • /
    • 2008
  • 하천 내의 자생수목군에 의한 자연적인 흐름저항의 증가, 식재를 통한 인위적인 흐름저항의 증가, 교각 등의 구조물로 인한 흐름저항을 배수계산에 반영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Manning n값이 사용된다. 그러나 흐름 장애물로 인하여 증가된 Manning n값의 선정은 Chow(1950) 등이 제시한 도표를 활용하는 방법과 같이 공학적 판단을 요하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객관적으로 흐름저항을 산정할 수 있는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개수로 내 장애물의 항력계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항력계수는 유체의 유속에 따라 변화되므로, Reynolds 수 또는 Froude 수에 따라 변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범위가 연구자에 따라 상이하여 이를 정량화 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실험자료로부터 개수로 내 장애물의 항력계수 특성을 분석하고, 개수로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Reynolds 수 또는 Froude 수 범위에서 기존 연구결과들을 비교분석하여 항력계수의 범위를 정량적으로 정립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상류 흐름조건에서 평균 항력계수($C_D$)는 1.11로 계산되었고, Froude 수의 증가에 따라 항력계수의 변동성이 점차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개수로 내 장애물로 인한 흐름저항을 반영하기 위하여 Manning n값으로 산정된 결과는 평균 0.01의 편차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