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벼 잎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韓國)에 있어서 수도(水稻) 줄무늬잎마름병(病)에 대(對)한 품종저항성(品種抵抗性)의 내력(來歷) (Derivation of Varletal Resistance to Rice Strip Virus in Korea)

  • 최재을;박남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93-98
    • /
    • 1991
  • 본(本) 논문(論文)은 줄무늬잎마름병(病)에 대한 일반계(一般系)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저항성(抵抗性) 내력(來歷)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遂行)되었다. 1. 낙동(洛東)벼, 화성(花成)벼, 광명(光明)벼, 영덕(盈德)벼, 동진(東津)벼, 계화(界火)벼, 화청(花淸)벼, 수원(水原)362, 이리(裡里)390, 밀양(密陽)64, 밀양(密陽)96, 밀양(密陽)101호(號)의 줄무늬잎마름병(病) 저항성원(抵抗性源)은 Modan에서 유래(由來)되었다. 2. 동진(東津)벼, 신선(新鮮)찰벼, 팔공(八公)벼, 화진(花津)벼, 섬진(蟾津)벼의 줄무늬잎마름병(病) 저항성(抵抗性)은 밀양(密陽)20호(號)와(또는) 낙동(洛東)벼에서 유래(由來)되었다. 3. 진주(眞珠)벼, 탐진(耽津)벼, 영덕(盈德)벼, 영산(榮山)벼의 줄무늬잎마름병(病) 저항성(抵抗性)은 HR769와(또는) 밀양(密陽)20호(號)에서 유래(由來)되었다. 4. 대청(大晴)벼의 줄무늬잎마름병(病)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은 낙동(洛東)벼와(또는) HR769에서 유래(由來)되었다.

  • PDF

애멸구 대량 비래후 살충제 처리와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ice stripe virus) 발생 관계 조사 (Evaluation of Pesticide Treatment for Control of Rice stripe virus after Mass Migration of Small Brown Planthoppers)

  • 정태우;김병련;한광섭;강동우;정임영;임현섭;김정수
    • 식물병연구
    • /
    • 제18권3호
    • /
    • pp.245-249
    • /
    • 2012
  • 애멸구는 벼 생산에 있어서 흡즙에 의한 피해를 일으킬 뿐 아니라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를 매개하는 매우 중요한 해충이다. 벼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은 애멸구 발생과 매우 일치하므로 벼 농사에 벼줄무늬잎마름병 예방에 애멸구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1년 6월 충남 태안읍 근흥면 고남면 일대에 설치된 공중포충만을 이용하여 애멸구의 이동 및 바이러스 보독률을 조사하였으며, 애멸구 대량비래 후, 살충제(동부한농 etofenprox(10%))의 처리 횟수, 처리 시기에 따른 벼줄무늬잎마름병의 보독률을 조사하였다. 태안군 일대에서 애멸구 대량 비래후 약 1,217마리가 포획되었으며 이중 7.7%는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 4.4%는 벼검은줄오갈바이러스의 보독률을 보였다. 대량비래 후 2차례 살충제 처리는 벼줄무늬잎마름병 보독률의 변화가 1차례 처리와 차이는 없었으나 처리 시기를 대량 비래후 5-7일 사이에 처리하였을 경우 RSV의 피해감소 효과를 무처리 대비 87.6%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애멸구 대량 비래후 5-7일 사이에 한 번의 살충제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 방제라 하겠다.

벼 잎의 탄수화물, 아미노산, 페놀화합물 함량과 잎 도열병에 대한 성체식물 저항성과의 관계 (Carbohydrate, Amino Acid and Phenolic Contents of Rice Leaves in Relation to Adult-Plant Resistance to Leaf Blast)

  • 황병국;김기덕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3-99
    • /
    • 1987
  • 포장에서 도열병에 대하여 저항성이 다른 6개의 벼 품종을 일정한 환경조건에서 재배하여 벼 잎에 함유되어 있는 탄수화물, 아미노산 및 페놀화합물 함량과 식물의 여러 발육시기 및 벼 잎의 나이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벼가 발육하는 동안 벼 잎에 함유되어 있는 탄수화물, 총 아미노산 및 페놀 화합물의 함량에 있어서 감수성 품종과 성체식물저항성 품종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단지 성체식물저항성 품종인 도봉만이 식물이 발육하는 동안 다른 품종에 비해 inositol함량이 가장 적었다. sucrose, inositol, glucose 및 fructose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5엽기보다 8엽기에서 증가하였으나 12엽기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반면에 총 아미노산과 페놀화합물은 식물이 발육하는 동안 점차로 감소하였다. 건전한 5엽이 노쇠함에 따라 가용성 아미노산과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품종간의 품종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특히 도봉품종의 노쇠한 5엽에서 페놀화합물이 가장 높았다. 벼가 성숙하여 감에 따라 또한 노쇠한 벼 잎에서 도열병에 대하여 저항성이 증가되는 것은 아마도 도열병의 발생에 상이하게 작용하는 벼의 발육과 벼 잎이 노쇠하는 동안에 일어나는 생리적인 변화에서 기인하는 상이한 현상일지도 모른다.

  • PDF

이앙시기에 따른 벼 품종별 줄무늬잎마름병 발생 및 수량 비교 (Comparison of Rice Stripe Disease Occurrence and Yield under Different Rice (Oryza sativa L.) Cultivars)

  • 차광홍;오환중;박흥규;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5-82
    • /
    • 2010
  • 벼 이앙시기별 및 벼 품종별 줄무늬 잎마름병 발생 및 벼 수량에 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줄무늬 잎마름병 발생이 심한 경우 간장, 수장, 이삭수, 수당입수, 등숙율 등이 매우 낮아서 정상주에 비교하여 64%의 감수를 보였다. 2. 벼 이앙시기별 발병률은 5월 30일 > 6월 15일 > 7월 1일 순으로 나타났고, 발병률이 높은 상습 발병지나 감수성 품종의 경우는 이앙시기를 6월 15일 이후로 정하는 것이 줄무늬 잎마름병에 대한 병 발생률을 줄이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3. 벼 줄무늬 잎마름병 저항성 품종으로는 화영벼, 온누리, 일미벼, 남평벼, 동진2호, 호품벼, 황금누리, 말그미, 새누리, 풍미1호, 해찬물결, 황금노들, 칠보벼, 동진벼, 영안벼, 주남벼, 삼광벼, 낙동벼 등 총 18개 품종이었으며, 감수성 품종으로는 오대벼, 운광벼, 신운봉1호, 만나벼, 호평벼, 보라미, 다미벼, 왕찰벼, 설갱벼, 백진주벼, 농림6호, 사사니시끼, 유니시까리, 청무벼, 동진1호, 흑남벼, 구로마이, 상해항혈나, 흑찰벼, 흑향벼, 아랑향찰벼 등 총 21개 품종으로 조사되었다.

인공산성(人工酸性)비에 의한 농작물(農作物) 잎의 조직형태(組織形態)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II. 벼, 콩, 보리, 무에 관하여 (Histological Perturbations of Crop Leaves after Exposure to Simulated Acid Rain;II. For rice, soybean, barley, and radish)

  • 이종식;김복진;정구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4
    • /
    • 1996
  • 산성비에 의한 작물의 조직피해를 알아보기 위하여 벼, 콩, 보리, 무 등 4개 작물에 pH 2.0, 2.5, 2.7, 3.0 및 6.0(대조구)의 인공산성비를 10mm씩 2일 간격으로 10회 처리한 후 잎의 피해율과 모용(Trichome) 및 기공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성비 처리에 의한 작물별 가시적 피해는 콩 > 무 > 벼 > 보리의 순으로 외떡잎 식물인 벼와 보리가 쌍떡잎 식물보다 적게 나타났다. 2. pH 2.0의 인공산성비를 처리한 작물의 잎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살펴본 결과, 콩과 무는 잎의 모용이 변형되었으나 벼 잎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3. pH 2.5 인공산성비 처리로 벼를 제외한 콩, 보리 및 무의 기공에 피해가 나타났다.

  • PDF

벼에 발생하는 목 도열병 및 이삭 도열병 검정을 위한 실험방법 개발 (Development of Virulence Test Methods for Neck and Panicle Blast Disease)

  • 지명환;박숙영
    • 식물병연구
    • /
    • 제21권2호
    • /
    • pp.103-106
    • /
    • 2015
  • 벼 도열병은 벼의 조직에 따라서 잎, 마디, 목, 그리고 이삭의 병징에 의해 특성화된다. 심각한 수량 손실이 잎 도열병 보다는 목도열병과 이삭도열병이 원인이 됨에도 불구하고, 분리된 균주의 병원력 검정은 목과 이삭 대신 잎에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목과 이삭 도열병을 위한 병원성 검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병원력 검정을 위해, 잎, 목, 그리고 이삭 도열병으로 부터 각각 3개의 대표균주를 선발하였다. 벼에 도열병균을 접종한 후 48시간 동안 고습도생장상에서 두었을 때, 24시간보다 목과 이삭에서 높은 발병률을 보였다. 잎 도열병 검정과 다르게, 목과 이삭에서의 전형적인 병반은 접종 14일 후 나타났다. 이 연구방법은 앞으로 벼 도열병의 벼 조직 별 병원성 검정방법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eta$선에 의한 식물잎의 수분함량측정 (Determination of Leaf Water Content by Beta Ray Transmission)

  • 이충열;원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492-496
    • /
    • 1998
  • $eta$선투과율을 이용하여 식물잎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1/5000a 와그너 폿트에 생육시킨 벼와 콩및을 대상으로, 정상적으로 생육한 개체만을 선별하였다. $^{99}$Tc(100 $\mu$ci)과 G-M detector사이를 10cm로 두고 그 사이에 잎을 놓아 잎을 통과한 $eta$선량(I)과 잎을 제외시켰을 때의 $eta$선량(Io)을 각각 측정하여 $eta$선투과율(I/Io)를 구하였고, 잎의 생체중과 건물중, 비엽면적을 측정하여 잎의 함수량과 $\beta$선 투과율(I/Io)과의 관계를 구하였다. 1. 잎 절단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eta$선투과율(I/Io)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토양수분결핍후 수분공급에 의해 $eta$선투과율(I/Io)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잎의 함수량과 $eta$선투과율(I/Io)과의 직선회귀관계식은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잎의 함수량이 감소할수록 $eta$선투과율(I/Io)은 증가하였다. 3. 잎의 함수량을 종속변수로, 비엽면적(SLA)과 $eta$선투과율(I/Io)을 각각 독립변수로하여 다중회귀를 분석한 결과, 편회귀계수가 SLA는 벼 0.007, 콩 0.004이었고, I/Io는 벼 -0.863, 콩 -0.904로 수분함량에는 $eta$선투과율(I/Io)의 영향이 지배적이어서, $\beta$선투과율(I/Io)에 의한 식물잎의 수분함량이 측정이 가능하였다.

  • PDF

수도 매끄러운엽 품종과 껄끄러운엽 품종에 있어서의 벼멸구 저항성, 수량성 및 제현비율의 비교 (Influence of Glabrousness on the Insect Resistance and Some Agronomic Characters in Rice Plant)

  • 허문회;박순직;이은웅;최승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
    • /
    • 1980
  • 수도에 있어서 원활엽형질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껄끄러운 잎의 품종과 매끄러운 잎의 품종에서 벼멸구저항성이 있는 것, 없는 것을 공시하여 원활엽형질이 벼멸구의 식이선호성과 우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매끄러운 잎을 가친 품종과 껄끄러운 잎을 가진 품종의 수량 및 제현비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멸구의 식이선호성, 우해율 및 항충성은 찰과메에 껄끄러운 형질 및 찰과메에 따라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지엽중의 SiO_2/N 비율과 수량은 여리 N시용수준에 있어서 잎의 매끄러운 형질과 절끄러운 형질에 따라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매끄러운 잎을 가진 계통은 껄끄러운 잎을 가진 계통보다 우해율이 높았는데 메에 있어서만 유의하였다. 4. 매끄러운 잎을 가진 품종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우리나라 벼 흰빛잎마름병균 (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의 혈청학적 분류 및 진단 (Serovars of Xanthomonas campetris pv. oryzae Collected from Korea and Serological Diagnosis of Bacterial leaf Blight)

  • 최재을;이두구;서재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1-66
    • /
    • 1985
  • 벼 흰빛잎마름병균주 Q7472와 Q7502의 항혈청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에서 수집한 벼 흰빛잎마름병균의 혈청형을 한천gel내 확산법에 의해 분류한 결과, 71균주중 65균주가 혈정형 A형, 5균주가 B-I, 1균주가 B-II형에 속하였다. 혈청형A에 속하는 균주는 $0.1-1\%$$CaCl_2$용액에서 자기의집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혈청형 B-I과 B-II에 속하는 균주는 심한 자기의집이 일어나 혈청형과 자기의집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흰빛잎마름병균은 혈청학적 방법에 의해 쉽게 검색될 뿐만 아니라 한천gel내 확산법에 의해 벼 세균성줄무늬병균인 X.campestris pv. olyzicola의 부생세균인 E. herbicola와도 쉽게 구별되었다. 흰빛잎마름병균 검출은 병반을 NaCl용액에 넣은 후에 착압하거나 $100^{\circ}C$에서 1시간 열처리 후 착압한 즙액을 한천gel내 확산법에 의해 항혈청과 반응시킴으로써 가능하였으며, 병반이 적을때는 PSA배지에서 배양한 후 사용하면 효과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