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베타효과

Search Result 25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f Apparatus and Methods for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the Western Boundary Current (서안경계류 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실험 장치 및 방법 개발)

  • Jang, Swung-Hwan;Shin, Jung-Sun;Moon, Byung-Kw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1
    • /
    • pp.88-94
    • /
    • 2010
  • A simple laboratory device and methodology are developed for deep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boundary current (WBC). The apparatus consists of a rotating (count-clockwise) rectangular tank with a sloping bottom in order to simulate the beta effect, the variation of the Coriolis parameter with latitude. We also used a clockwise rotating disk at the surface water to mimic the wind stress forcing in mid-latitude oceans. Fou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some combination of a bottom type and a rotation of the tank. Experiment with the beta effect clearly demonstrated the WBClike flow as well as the Sverdrup interior. However, the water in a tank gave rise to an inertial motion under the influence of a constant Coriolis force alone. We also discussed a stiffening of the rotating fluid on the basis of the Taylor-Proudman effect. We believe that the apparatus and methods developed in this study help to understand the WBC due to the beta effect.

서안경계류 발생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실험 장치 및 방법 개발

  • Jang, Seung-Hwan;Sin, Jeong-Seon;Mun, Byeong-Gw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48-50
    • /
    • 2010
  • Stommel(1948)은 서안경계류의 원인이 베타효과($\beta$-effect)라 일컫는 코리올리 파라미터(f)의 위도 변화 때문인 것을 밝혔다. 서안경계류는 고등학교나 대학 교양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학생들은 보통 이론 수업만으로 서안경계류의 발생 과정, 이에 관련된 코리올리 힘, 베타효과 등을 이해해야 한다. 때문에 서안경계류와 관련된 실험이 있다면 이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연구에서 검토한 6종의 고등학교 지구과학 2 교과서는 서안경계류를 본문과 더불어 삽화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중 3종의 교과서 삽화에서는 서안경계류의 발생 원인을 코리올리 힘만으로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일부 학생은 서안경계류의 원인을 코리올리 힘으로 오해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우리는 서안경계류가 코리올리 힘의 작용과 베타효과에 의해 나타나는 것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실험 장치와 다양한 실험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실험 장치는 직육면체의 수조와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로 구성된다. (Fig. 1) 이와 같은 회전수조는 대기와 해양의 움직임을 실험실에서 모사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었다(Beardsely 1969, 소선섭 등 1995; 1997). 우리의 수조는 경사진 바닥과 평평한 바닥으로 두종류를 제작하였다. 바닥이 경사진 수조는 베타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테이블은 중위도 어떤 위도에 접하는 가상의 평면이 지구 자전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수조 상부에는 회전원판을 물에 접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원판은 북반구 중위도 해양에 작용하는 바람 응력을 나타낸다. 우리는 테이블의 회전유무와 바닥의 경사유무에 따라 4개 실험을 수행하였다(Table. 1). 각 실험에서 물을 채운 수조를 원판에 올려놓고, 회전원판을 작동시킨 후 20분 동안 그대로 두어 수조안의 미세규모의 운동을 최소화 시킨 후 잉크를 떨어뜨리고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SB_f1은 베타효과와 코리올리 힘이 존재하여 서쪽 경계에서 좁고 빠른 흐름을 만들고 수조의 중간 부근에서 경계를 벗어나 동쪽으로 향하고 있다. 이 모습은 실제 해양의 서안경계류의 분리 현상과 비슷하다. FB_f1은 코리올리 힘만 존재하여 서쪽 경계에서 좁고 빠른 순환과 경계를 벗어나 동쪽으로 분리되는 흐름이 나타나지 않으며 전반적으로 크게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다. SB_f0은 바람의 응력만 존재하는 경우로 잉크가 확산하는 모습을 보이며 나선팔의 모양으로 회전하면서 넓게 퍼져나간다. FB_f0의 모양도 이와 비슷하게 나타난다. 실험 SB_f1과 FB_f1을 비교하여 서안경계류는 코리올리 힘의 위도변화 효과인 베타효과가 있을 때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Fig. 2). 이 결과는 "단순히 코리올리 효과에 의해 서안경계류가 발생한다"는 생각을 바꾸게 할 것이다. 덧붙여 서안경계류 분리와 수조 바닥의 경사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경사가 더 급하면 ($\alpha=20^{\circ}$) 서쪽 경계를 벗어나는 지점이 좀 더 북쪽에 나타났다. 현재 서안경계류는 개발한 실험 장치와 방법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교육적 활용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PDF

Effect of $\beta$-cyclodextrin on decreasing body weight, body fat, abdominal size in obesity (베타-사이클로텍스트린의 체중, 체지방, 복부비만 감소효과)

  • 박태준;이은석;강환구;박병성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05a
    • /
    • pp.139-140
    • /
    • 2003
  •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은 7개의 글루코스 단위가 $\alpha$-1,4 결합으로 연결된 환상고리형 올리고당으로서 전분을 효소처리하여 추출한 물질이다.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은 혈액내 지질 함량을 현저하게 떨어뜨릴 수 있는 hypolipdemic, hypotriacylglyceridemic 그리고 hypocholesterolemic 효과를 가지므로 비만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하여 조제된 펠렛 형태의 식이가 비만인의 체중, 체지방, 복부비만 감소 및 혈액 지질함량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중략)

  • PDF

Bayesian Analysis of a Stochastic Beta Model in Korean Stock Markets (확률베타모형의 베이지안 분석)

  • Kho, Bong-Chan;Yae, Seung-Mi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2 no.2
    • /
    • pp.43-69
    • /
    • 2005
  •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the stochastic beta model based on Bayesian analysis outperforms the existing conditional beta model and GARCH model in terms of the estimation accuracy and the explanatory power in the cross-section of stock returns in Korea. Betas estimated by the stochastic beta model explain $30{\sim}50%$ of the cross-sectional variation in stock-returns, whereas other time-varying beta models account for less than 3%. Such a difference in explanatory power across models turns out to come from the fact that the stochastic beta model absorbs the variation due to the market anomalies such as size, BE/ME, and idiosyncratic volatility. These results support the rational asset pricing model in that market anomal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variation of expected returns generated by time-varying betas.

  • PDF

체계적위험과 비정상성에 관한 연구

  • Lee, Jin-Ge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4 no.1
    • /
    • pp.233-258
    • /
    • 1998
  • 본 연구는 비정상성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이 베타위험과 추가설명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무시한 검증방법의 오류를 지적한다. 그 상관관계를 고려한 포트폴리오 구성방법을 선택한 후, 비정상성에 관한 좀 더 정밀한 검증을 실시하여 규모효과와 EP효과를 검토한다. 더 나아가 CAPM의 두 가지 주장, 즉, 베타위험의 유일성과 이 위험과 그 자산의 수익률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두 가지 주장을 세밀히 검토하게 된다. 또한 이 모든 검증에서 등가중지수(Equal-Weighted Index: EWI)와 가치가중지수(Value-Weighted Index: VWI)의 적용에 대한 차이도 동시에 검토하였다. 1980년 1월부터 1993년 6월까지의 월별수익률과 한국신용평가주식회사의 주식수익률 데이터베이스(KIS-SMAT), 재무제표 데이터베이스(KIS-FAS)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한국중권시장에서는 규모효과만 존재하였고, EP효과가 존재한다는 증거는 얻지 못하였다. 또한 EWI와 VWI의 지수에 대한 차이는 아주 미미하였다. 특히 CAPM에서 주장하는 베타위험의 유일성과 베타위험과 그 자산의 수익률의 양의 상관관계에 대한 두 가지 사실에 대해서는 오히려 상반된 증거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Bleaching Effects of Potato Lipoxygenase Isoenzymes on ${\beta}-Carotene$ (감자 Lipoxygenase Isoenzymes의 베타-카로텐 탈색효과)

  • 문정원;조순영;서명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2 no.6
    • /
    • pp.777-784
    • /
    • 1993
  • The bleaching effect of potato lipoxygenase Isoenzymes on ${\beta}-carotene$ was studied. Two lipoxygenase Isoenzymes(LOX-1, LOX-2) from potato tuber were purified by CM-cellulose,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LOX-1 and LOX-2 seemed to have bleaching effect on ${\beta}-carotene$ in the presence of linoleic acid, which the decrease in the formation of conjugated dienes. LOX-2 was founded to have a greater pigment bleaching activity than that of LOX-1.

  • PDF

Effect of ${\beta}$-glucan Originated from Aureobasidium on the Dermal Wound Repair in Vitro Model (생체외 모델에서 아우레오바지디움 유래 베타 글루칸이 피부창상 치유에 미치는 영향)

  • Lee, Jung-Woo;Kwon, Young-Sam;Jang, Kwang-Ho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30 no.6
    • /
    • pp.403-40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ct the effect of ${\beta}$-glucan originated from Aureobasidium on the proliferation and collagen product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 cells with wound repopulation in vitro. The proliferative effects were assessed using a MTT assay as well as cell counts at 24 and 48 hr after treatment. Hydroxyproline was measured as an index of procollagen production with reverse-phase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Oncostatin M was used as a reference agent. In glucagon treated group, dose-dependent and significant increase of optical density or fibroblast cell numbers was demonstrated, when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from 0.1 mg/ml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 numbers of cells which had migrated into the wound defects were more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increased than those of non-treated control. However, no meaningful effects on the procollagen production were observed.

Effects of $CV_{12}$ and $ST_{36}$ Acupuncture on Glucose Metabolism and Protection of Pancreatic Beta Cells in Neonatal-streptozotocin Model (중완과 족삼리 자침이 Neonatal-streptozotocin모델 실험동물에서 당대사 및 베타세포 보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Kang, Mi-Kyung;Nam, Sang-Su;Lee, Yun-Ho;Kim, Yong-Suk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5 no.2
    • /
    • pp.91-103
    • /
    • 2008
  • 목적 : 중완과 족삼리 자침이 neonatal-streptozotocin 모델 실험동물에서 혈당과 베타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비-비만 제2형 당뇨모델인 neonatal STZ 실험동물을 무처치 대조군, 임의혈 대조군, 중완 자침군, 족삼리 자침군으로 나누어 90일 동안 실험하였다. 체중과 혈당을 3일에 한 번씩 측정하였으며, 90일이 경과 후 혈중 인슐린을 측정하고 당부하 검사를 실시한 후 동물을 희생시켜 이자 조직을 적출하고 표본을 제작하였다. 면역세포화학법을 통하여 이자의 베타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 중완 자침군과 족삼리 자침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혈당 강하 효과가 관찰되었다. 인슐린 농도는 모든 군에서 상승하였으며 당부하 검사에서는 임의혈 자침군과 중완 자침군 및 족삼리 자침군에서 내당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검사에서는 무처치 대조군과 임의혈 대조군에서는 베타세포 손상이 심했으나, 중완 자침군과 족삼리 자침군에서는 베타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가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 중완과 족삼리 자침은 비-비만 제2형 당뇨모델에서 손상된 베타세포를 회복하고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혈당을 강하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비상 베타선량계의 에너지에 따른 피부 선량평가 알고리즘 개발

  • 조천형;이원근;김종수;윤석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63-68
    • /
    • 1996
  • 열형광 선량계(TLD)를 사용한 피부 선량평가는 베타선의 에너지를 구분함으로 정확히 평가된다. 이는 차폐체에 의한 감쇄효과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7개의 두께가 다른 알루미늄 차폐체를 사용하였고, TLD로는 미국 Teledyne Isotopes사의 LiF$_{7}$ 선량계를 채택하였다. 비상 베타 선량계의 베타선에 대한 특성실험을 위해 한국 원자력연구소가 확보 하고 있는 PTB 표준선원인 $^{90}$ Sr/ $^{90}$ Y (E$_{max}$=2.27MeV, E$_{avg}$=0.8MeV), $^{204}$Tl(E$_{max}$=0.76MeV, E$_{avg}$=0.26MeV), $^{147}$ Pm (E$_{max}$= 0.225MeV, E$_{avg}$=0.06MeV)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이런 결과로 비상 베타 선량계의 표준 베타선원에 대한 보정계수와 소자별 반응비를 구할 수 있었고, 이것을 이용하여 미지의 베타선원에 대하여 정확한 선량평가를 하기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PDF

Hypoglycem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Betaine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의 베타인 첨가에 의한 항당뇨 및 간보호 효과)

  • Jeong, Jae-Jun;Kim, Yong-Taek;Seo, Won-Seok;Yang, Hyun-Ju;Lee, Yong-Soo;Cha, Jae-You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6 no.5
    • /
    • pp.767-772
    • /
    • 2006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taine on the hypoglycemia and hepatoprotection of streptozotocin(STZ)-induced diabetic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around 280 g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a healthy normal group and two groups with STZ-induced diabetes and fed either control diet or betaine diet. Betaine given to the STZ-diabetic rats had significant effect in lowering the serum glucose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STZ-diabetic rats. The alanine aminotransferase (AS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ctivities and triglyceride contents in serum were dramatically higher in the STZ-diabetic rats, but these increases in relation to diabetes also decreased in the STZ-diabetic rats fed betaine. However, the total-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STZ-diabetic rats was even increased by betaine. The morphology of the pancreatic islets in the normal rats showed a typical round form, but most of the islets in the STZ-diabetic rats showed severe morphological alterations by being markedly destroyed. However, the islet morphology of STZ-diabetic rats given betaine mostly maintained a normal rounded appearance. The present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the administration of betaine showed a moderate hypoglycemic effect by protecting the pancreatic beta-cells by morphological examination from STZ-induced de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