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베어링 감쇠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3초

회전체의 진동제어 (Vibration Control of Rotor)

  • 하향태랑
    • 기계저널
    • /
    • 제35권10호
    • /
    • pp.917-923
    • /
    • 1995
  • 회전체 진동은 주로 밸런싱에 의해 줄일수 있지만 위험속도에서 나타나는 회전체 진동은 종종 피할 수 없다. 전자기 베어링은 이러한 회전체 진동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써 사용된다. 비접촉으로 회전체에 힘을 작용하는 동흡진기(dynamic vibration absorber)는 기존의 것에 비해 새로운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아주 간단한 방법이다.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자석 댐퍼는 비접 촉동흡진기의 일종이지만 영구자석만으로는 적절한 감쇠 성능을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영 구자석과 전자석을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석이 넓은 운전영역에서 좋은 진동제어 성능을 자지기 때문에 유용하다. 전력공급의 편리성을 위해서 하이브리드 자석을 합진기쪽에 설치하고 여러 개의 편으로 된 영구자석은 회전체의 주위에 부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직 회전 체(vertical rotor)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전자기력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관성 댐퍼를 개 발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전자석을 이용한 진동제어는 여러 저자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며 자기 베어링은 회전체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형적인 예이다. 그러나 회전체에 능동관성 댐퍼를 직접 적용한 예는 없었다. 이동흡진기는 전자석의 반발력(repulsive force)을 이용하고 흡진기의 운동에 의해 에너지가 감쇠된다. 반면에 자기 베어링에서는 전자석의 흡인력(attractive force)을 이용한다.

  • PDF

면진용 적층고무베어링의 기계적 역학특성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Laminated Rubber Bearings for Seismic Isolation)

  • 구경희;이재한;유봉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79-8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Haringx 이론에 근거하여 면진용 적층고무베어링의 기계적 역학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제안된 수평강성 평가식을 검토하고 점성감쇠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점탄성문제로의 확장을 통해 감쇠증폭을 역학특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적층고무베어링에 대한 좌굴안정성평가를 수행하여 형상계수의 양향을 분석하였다. P-delta 효과를 고려한 적층고무베어링의 수평가성식을 면지구조물의 지진해석에 적용하여 동적잔단변형응답 해석결과를 실제 진동대를 이용한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제안된 단순 수평강성 평가식은 설계수직하중내에서 적용가능하며 점탄성문제로 쉽게 확장이 가능하다. 좌굴안정식 평가로부터 적층고무베어링은 단일 고무판의 두께 증가비에 비하여 총 고무판두께 증가비가 좌굴하중감소에 크게 영향을 준다. 그리고 입력지진에 대한 면진구조물의 해석결과 적층고무베어링의 전단변형응답이 실제 실험결과와 매우 일치한 결과를 얻었다.

  • PDF

철골 구조물의 제진 및 면진성능 (Damping and Isolation Performance of Steel Structure)

  • 윤현도;박완신;한병찬;황선경;이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21-23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지진하중 작용시, 점탄성 감쇠기 및 면진장치를 설치한 다층 철골 모멘트 저항 골조의 동적응답을 해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최대 층간변위 및 최대응력법에 의해 효율적인 점탄성 감쇠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효율적인 진동 제어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점탄성 감쇠기 및 납삽입고무베어링형 면진장치에 의한 제어효과를 부재력, 조합응력, 그리고 구조물의 고유주기 등을 이용하여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원주방향급유홈 프로팅링저어널베어링의 해석

  • 정연민;김경웅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1년도 제13회 학술강연회초록집
    • /
    • pp.63-69
    • /
    • 1991
  • 프로팅링저어널베어링은 저어널과 슬리브 사이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링을 삽입하여 이중의 유막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프로팅링저어널베어링은 이중의 유막을 가짐으로 인해 유량이 많이 필요하여 열적 특성이 좋고 마찰손실이 작으며 외축유막의 진동감쇠작용을 기대할 수 있으나, 링에 의해 내외축유막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내축유막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동베어링에 대한 윤활제의 공급방법으로는 축을 통한 공급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은 두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 링에 내외축유막을 연결하는 급유구를 뚫어 외축유막으로 공급된 윤활제의 일부가 급유구를 통해 내축유막으로도 공급되도록 하는 방법 둘째, 축방향의 일단에서 내외축유막에 직접 가압급유하는 방법 이 가운데 둘째 방법은 축방향의 일단이 윤활제에 완전히 잠겨 있도록 밀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잘 사용되지 않고 첫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첫째 방법에서도 링내외면에 원주방향급유홈을 파면 내외축유막으로의 윤활제공급이 보다 더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본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원주방향급유홈이 있는 베어링을 원주방향급유홈 프로팅링저어널베어링이라 부르기도 하고, 이에 대하여 해석하고자 한다.

  • PDF

헬리콥터 무베어링 주로터의 동특성 시험 (Dynamic Characteristics of Helicopter Bearingless Main Rotor)

  • 윤철용;송근웅;김덕관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39-446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무베어링 로터의 동특성을 비회전 강성 및 진동수 측정 시험과 회전 훨타워 시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무베어링 로터의 주요 구성품인 블레이드, 유연보, 토크튜브에 대해 강성 및 고유진동수를 측정하여 해석을 위한 물성치를 확보하였고, 훨타워 시험 전에 댐퍼와 스너버를 장착한 무베어링 로터를 조립하여 지상에서 하중이 부가되는 조건하에 기능시험을 수행하여 로터 구성품간의 간섭 여부, 기구학적 거동 등을 확인하였다. 4개의 블레이드를 가지고 회전반경이 5.82m인 무베어링 로터의 회전 동특성시험을 회전면 높이가 9.65m인 훨타워에서 수행하였다. 정지비행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추력과 사용동력을 측정하였으며, 회전시 블레이드의 고유진동수 및 감쇠를 측정하기 위해 유압 가진기를 통하여 사이클릭 가진을 하였다.

Bulk형 고온 초전도체를 사용한 마그네틱 베어링의 특성 연구

  • 유제환;임윤철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8년도 제28회 추계학술대회
    • /
    • pp.337-342
    • /
    • 1998
  • 임계온도가 액체질소의 비등점(77K)보다 높은 산화물 고온 초전도체가 발견된 이후 초전도체를 여러분야에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있어왔다. 이러한 연구중 초전도체의 자기부상특성을 이용한 마그네틱 베어링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특히 최근에 임계전류밀도가 높은 덩어리형 고온 초전도체가 개발되어, 큰 부하지지력을 갖고 마찰계수가 작은 초전도 마그네틱 베어링이 가능하게 되었다. 고온 초전도체를 사용한 반발식 수동형 마그네틱 베어링은 마이스너 효과(Meissner effect)뿐 아니라 자속고정효과(Flux pinning effect)에 의해 자체적으로 외란에 대한 위치안정성을 가지며, 히스테리시스 손실에 의한 에너지 소산을 통해 외란에 대해 강한 감쇠능력을 가진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대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초전도체의 특성에 관한 정량적 수치해석은 초전도 베어링의 설계에 필수적이나 아직 국내에서는 그러한 시도가 없었다. 이러한 여건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Bulk형 초전도체와 자석간의 부상력 변화를 축대칭 모델로 수치해석하여 기존의 실험들과 정량적인 비교를 하여 수치해석 코드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상황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 PDF

헤링본 공기 저널 베어링의 강성 및 감쇠 특성에 관한 연구 (Stiffness and Damping Characteristics of Herringbone Grooved Air Journal Bearings)

  • 박상신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26권5호
    • /
    • pp.283-290
    • /
    • 2010
  • In this study, the stiffness and damping coefficients of herringbone grooved air journal bearings are studied. A generalized coordinate transformation method to handle the complex geometry of incompressible fluid bearing is modified for compressible fluid. The modified equations are discretized by the base of finite difference method. A new computer program using Visual C++ language is developed. The load carrying capacity and stiffness and damping coefficients a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esign parameters like groove depth or the number of grooves and compared to that of plain air journal bearings.

표면마찰 특성이 씨일의 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urface Friction-Factor Characteristics on the Rotordynamics of Seal)

  • 하태웅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종합전시장, 24 Nov. 1995
    • /
    • pp.312-317
    • /
    • 1995
  • 씨일의 표면마찰계수 특성이 씨일의 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씨일내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서 마찰계수가 급상승하는 허니콤 씨일을 대상으로 이론적 해석을 하였다. 그 결과 마찰계수의 급상승 현상은 마찰계수의 급상승 현상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강성계수의 감소를 야기하고 회전축-베어링계의 불안정성과 관계가 있는 연성 강성계수의 큰 감소를 보였다. 또한 회전축-베어링계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감쇠 계수의 증가를 야기함으로써 회전기계의 운전점이 마찰계수의 급상승 범위에 있다면 시스템의 안정성면에서 매우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찰계수의 급상승 현상을 보이는 허니콤 씨일의 동특성에 대한 이론적 해석 결과, 강성계수는 매우 작게 예측되었으나 연성강성계수와 감쇠계수는 비교적 실험결과와 근사함을 보였다.

  • PDF

능동 자기예압 공기베어링 스테이지의 진동감쇠 제어 (Active Damping Control of an Air Bearing Stage with Magnetic Preloads)

  • 노승국;김수현;곽윤근;박천홍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321-1325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ir bearing stage with active magnetic preloads in vertical directions compensating motion errors and attenuating vibrations to improve dynamic characteristics. This preloaded design gives simpler configuration of the stage, and active control of preload can be used for compensating motion errors by feedforward method. To improve dynamic characteristics, vibration of the table is monitored by an accelerometer, and controlled by a DSP based digital controller with integrator and band pass filters for suppressing roll and pitch vibration modes. The mode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frequency response functions, and compared with compensated responses. This showed effective results for suppressing poorly damped regenerative vibration of air bearings.

능동 복합 베어링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ctive Hybrid Bearing)

  • 박정훈;심풍수;박철학;이태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9-275
    • /
    • 2005
  • This article describes the development on a new style active hybrid bearing system including both merits of an aerostatic bearing system and a magnetic bearing system. The developed active hybrid bearing system has several advantages: exact rotation, robust controller against the variation of a disturbance, improvement of stiffness and a damper of the system at a high-speed operation, and constraints of the heat generated by a bias current. In order to measure a rotating error due to the change of a cutting force and the variation of a system parameter, a CCS (Cylindrical Capacity displacement Sensor) was u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