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범람

Search Result 99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termination of Flood Inundation Area using HEC-GeoRAS (HEC-GeoRAS를 이용한 홍수범람 지역 결정)

  • Kim, Gi-Suk;Ahn, Sang-Jin;Jun, Kye-Won;Seo, J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31-1134
    • /
    • 2006
  • 우리나라는 최근 기상변동에 따른 집중호우와 태풍의 영향으로 풍수해 피해지역 및 재산피해액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풍수해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많은 연구와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에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시간적, 공간적 분석을 통해 홍수범람지도 등을 작성하여 홍수 피해를 최소화 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홍수범람 수심의 분포 및 범람면적 등을 산정하기 위해 HEC-GeoRAS와 HEC-RAS를 연계하여 IHP 대표시험유역으로 운영중인 금강수계 보청천유역내 삼가천 지류인 적암천에 적용하였다. 유역의 유출분석 후 ArcView와 HEC-GeoRAS를 통하여 지형학적인 인자와 요소들을 추출하고 실측자료와 비교하였으며, 빈도별 홍수량에 대한 하천의 빈도분석 후 홍수위 및 빈도별 홍수 위에 따른 피해 면적 산정 후 GIS System을 이용하여 홍수범람위험 지역을 결정하였으며 산정된 기본자료는 유역의 홍수발생시 인명과 재산 피해에 대비한 홍수범람 지도 및 홍수재해 지도 제작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Flood Inundation Analysis of Dam Downstream Area by Using Mike Flood (Mike Flood를 이용한 댐 하류하천 홍수범람 분석)

  • Choi, Byung-Kyu;Kang, Tae-Ho;Choi, Kyung-Lok;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9-114
    • /
    • 2006
  •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 및 이상기후 등 기상이변으로 인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이상홍수에 대한 댐의 적극적인 대응을 위하여 댐 지역의 가능최대강수량(PMP) 및 가능최대홍수량(PMF)을 산정 수문학적 안정성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댐의 치수능력 확보를 위해 구조적, 비구조적 계획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상호우로 인한 댐 붕괴 혹은 댐 하류하천 홍수범람 영향을 검토하여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침수예상지역의 비상대피계획(EAP)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홍수에 있어서 댐 치수능력 증대에 따른 댐 방류시 하류하천의 홍수범람 양상을 모의하기 위하여 1차원, 2차원 결합모형인 Mike Flood 모형을 이용하여 댐 하류하천의 홍수범람 분석을 실시하였다. Mike Flood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1998년 8월 홍수시 서울시 우이천유역의 홍수범람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Mike Flood 모형을 모의를 수행한 결과 실제 조사된 홍수범람지역과 대체로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댐 치수능력 증대에 따른 하류하천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Mike Flood 모형을 이용 수어댐에 적용하여 이상홍수시 하류하천 침수예상지역을 예측함으로써 이 지역의 비상대피계획 수립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Numerical Simulations of Flood Inundations with FLUMEN (FLUMEN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모의)

  • Bae, Yong-Hoon;Koh, Deuk-Koo;Cho, Yong-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5 s.154
    • /
    • pp.355-364
    • /
    • 2005
  • In this study, flood inundations have been simulated by using the numerical model FLUMEN solving the shallow-water equations with a finite volume method. Before applying to a real problem, the numerical model is first applied to simplified problems. Obtained numerical results are verified by comparing with available analytical solutions and laboratory measurements. Reasonable agreements are observed. The model is then applied to a simulation of flood events with real geome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make a flood inundation map.

3-D Numerical Simulations of Gradual Progress of Levee Break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점진적 제방붕괴 수치모의)

  • Jo, Hwan-Beom;Yeo, Chang-Geon;Lee, Seung-Oh;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34-738
    • /
    • 2010
  • 현재 우리나라는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하여 계획홍수위를 초과하는 극한홍수에 의한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심지역에서 제방이 붕괴된다면 범람홍수파에 의해 적지 않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해를 줄이려면 제방붕괴시 범람홍수파의 수리학적 거동특성을 명확히 규명하고 이에 따른 대피체계가 수립되어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3차원 수치모형인 FLOW-3D를 통한 범람홍수파 특성연구에 조도계수 및 GMO(General Moving Object)를 추가하여 점진적인 제방붕괴로 인한 제내지에서 범람홍수파의 수리학적 거통 특성을 모의하였다. 높이 0.6m의 제방붕괴 단면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넓어지면서 제내지로 홍수파가 유입되어 들어오도록 모의하였다. 수치모의 된 결과를 선행연구의 수리실험결과와 비교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치모형 값에 조도계수를 입력하여 기존연구와 비교분석하였다. GMO를 이용하여 붕괴속도($v_0$)에 변화를 준 경우, 유속($v_{max}$) 및 수위($h_{max}$)변화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초기 월류수심($h_0$) 변화에 따른 범람홍수파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붕괴속도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으로 제방붕괴시 홍수범람에 의한 비상대처계획(EAP)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for Applicability Medium and Small Streams of Distributed Flood Inundation Model Based on GIS (GIS기반 분포형 홍수범람모형의 중소하천 적용성 평가)

  • Jeong, Gil-Seob;Choi, Seung-Yong;Cheong, T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04-404
    • /
    • 2012
  •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상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집중호우와 같은 강우양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집중호우의 빈도 및 규모 또한 커지면서 이에 따른 인명 및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국지성 호우의 형태로 집중될 경우 중소천에서는 범람이 순식간에 일어나 피해가 가중될 수 있다. 하지만 소하천에서의 홍수발생특성을 고려한 홍수방재시스템의 구축과 같은 대책 수립은 국가하천이나 지방하천에 비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실제 상황에서 효과적인 홍수범람 예측평가 및 실시간 경보발령을 기반으로 한 방재시스템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소하천 유역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이나 시스템에 대한 정리와 적절한 대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하천에 적용하기 위한 GIS기반 분포형 홍수범람모형을 개발하고 연구대상지역의 지형자료(수치고도모델, 토지이용도, 토양도)와 기상자료(강우, 기온)를 입력자료로 하여 홍수범람모형을 모의 한 후 일강우(200mm/day, 300mm/day)시 발생 가능한 침수예상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모의 결과 침수예상도와 개발 모형의 침수해석 결과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향후 소하천정비사업 지구 우선선정을 위한 기준제시 및 피해예상지역의 선정을 통해 재해예방효과를 거두기 위한 선정 기준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f River Flood Area Informationization Technique Using RS and GIS (RS/GIS를 이용한 하천 침수 지역 정보화 기법 연구)

  • Shin, Hyung-Jin;Chae, Hyo-Sok;Hwang, Eui-Ho;Park,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56-256
    • /
    • 2012
  • 2011년 태국 차오프라야 강 유역($160,813km^2$)에서 발생한 홍수에 의해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 태국 홍수는 2011년 7월 말부터 3개월간 내린 집중호우로 중부지방에 50년 만에 최악의 자연재해를 맞이하였다. 태국 북쪽 지역에서 난 강과 핑 강의 범람을 시작으로 태국 중앙 지역을 흐르는 차오프라야 강의 수위는 상류의 홍수가 하류로 내려옴에 따라 범람하여 수도 방콕까지 침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범람시 시공간적 침수상황이 파악 가능한 Terra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영상을 이용하여 태국 차오프라야 강 유역의 홍수에 의한 침수지역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2011년 7월 29일에서 2012년 1월 9일까지의 500 m 해상도인 MODIS product MOD09 (Surface Reflectance) 8일 합성 영상을 수집하고 식생지수 (EVI; Enhanced Vegetation Index), 지표수분지수 (LSWI; Land Surface Water Index))와 DVEL지수 (Difference Value between EVI and LSWI)를 이용하여 홍수범람 지역과 수역관련지역을 정보화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홍수 범람지역의 자료를 정보화하고 그 결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MODIS 자료의 이용은 시공간적 하천 홍수범람지역 탐지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 PDF

Applications of Channel Auto-Design System to flood inundation and bed change simulations in a small stream (소하천 홍수범람 및 하상변동 분석에 Channel Auto-Design System의 적용)

  • Kim, JongChun;Park, Sangwoo;Jeong,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0-210
    • /
    • 2019
  • 소하천정비종합계획의 핵심은 설계홍수량보다 하천 단면의 통수량이 부족하여 홍수시 범람할 수 있는 구간에 적정 하도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하도계획을 수립하기에 앞서 기존 하천을 대상으로 홍수범람을 분석하여 범람 양상을 먼저 파악해야 하며, 이때 산정되는 예상피해액은 추후 편익-비용비를 바탕으로 소하천의 정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초 자료로도 활용된다. 한편, 장래하상변동을 모의하여 안정하도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역시 중요한데, 수립된 하도계획에서 과도한 하상변동이 발생하면 통수 능력의 변화, 급격한 수위 변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안정하도를 유지할 수 있는 대책이 동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존 하천의 평형상태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하도계획에 반영해야 적절한 종단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소하천정비종합계획의 경우 지자체별로 적게는 수십 개부터 많게는 수백 개의 소하천을 대상으로 과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홍수범람 및 하상변동 분석을 소하천마다 반복해야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설계 편의를 위해 개발된 Channel Auto-Design System(안)은 효율성 증진, 설계의 표준화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고, 이미 지방하천 12개소, 소하천 267개소를 대상으로 강우분석, 설계홍수량 산정, 하도계획 수립 단계에 적용되어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수립 과정 중 홍수범람 분석을 아우른 예상피해액 산정과 하상변동 분석을 통한 안정하도 검토에 초점을 맞춰 Channel Auto-Design System의 적용성을 추가로 검증하였다.

  • PDF

Analysis of large-scale flood inundation area using optimal topographic factors (지형학적 인자를 이용한 광역 홍수범람 위험지역 분석)

  • Lee, Kyoungsang;Lee, Daeeop;Jung, Sungho;Lee, Gih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6
    • /
    • pp.481-490
    • /
    • 2018
  • Recently,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flood disasters have become more complex and unpredictable due to climate change. Flood hazard map including information on flood risk level has been widely used as an unstructured measure against flooding damages. In order to product a high-precision flood hazard map by combination of hydrologic and hydraulic modeling, huge digital information such as topography, geology, climate, landuse and various database related to social economic are required. However, in some area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lood hazard mapping is difficult or impossible and its accuracy is insufficient because such data is lacking or inaccessibl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to delineate large scale flood-prone area based on topographic factors produced by linear binary classifier and ROC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 using globally-available geographic data such as ASTER or SRTM.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ology to five different countries: North Korea Bangladesh, Indonesia, Thailand and Myanmar. The results show that model performances on flood area detection ranges from 38% (Bangladesh) to 78% (Thailand). The flood-prone area detection based on the topographical factors has a great advantage in order to easily distinguish the large-scale inundation-potent area using only digital elevation model (DEM) for ungauged watersheds.

Application of Flumen at Vulnerable Levee of Han River (한강제방의 취약지역에 대한 Flumen의 적용)

  • Park, Sung-Woo;Lee, Jin-Woo;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57.1-57.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한강제방 취약구간인 성산대교와 잠실철교 부근 지역에 대한 홍수범람을 수치모의 하였다. 제방 취약지역은 계획홍수량에 따른 하천설계 기준(2005)에 제시된 내용과 HEC-RAS를 이용한 부등류 해석을 통해 제방의 여유고와 비교하여 산정하였다. 범람모의를 위해 상용 수치모형인 FLUMEN을 이용하여, 한강제방의 취약지역에 대한 범람을 모의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Models using Topographic Feature (지형요소를 이용한 홍수범람해석 모형의 비교)

  • Moon, Changgeon;Lee, Jungsik;Cho, Sunggeun;Shin, Shachu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1
    • /
    • pp.69-77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lood inundation models for small stream basin. HEC-RAS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one dimensional hydraulics and HEC-GeoRAS, Ras Mapper and RiverCAD models were applied for the flood inundation analysis in Gum Chung stream. Flood inundations are to simulate by flood inundation models using observed data and rainfall on each frequency and to compare with inundation area based on the flood plain ma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rea of flood inundations by HEC-GeoRAS model is similar to that of flood plain map and appears in order of RAS Mapper and RiverCAD model. Flood inundation area by RiverCAD model is to estimate lager than that of RAS Mapper and HEC-GeoRAS model in flood area on each frequency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y have a little difference in models of flood inundation analysis at small stream. Comparing the area of flood inundations by flood depth, the results of three models are relatively similar in flood depth as 2.0 m below, and RiverCAD model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lood depth as 2.0 m o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