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범람

Search Result 99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GSI) promotion system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그린빗물인프라(GSI) 조성 추진체계 구축 연구)

  • Hyo Jung Lee;Hyun Suk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37-437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발생되는 폭우, 강풍 등의 기상현상으로 인해 하천범람, 내수침수, 해수범람 등 특히 해안도시지역에서의 물 문제는 날로 심화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사업 및 친환경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 GI) 기술요소의 적용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환경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그린인프라 제도/정책 및 재원관리의 선진화(2021)' 연구용역을 통해 관련 추진체계 구축, 제도 개선방안 등을 모색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기존의 LID 및 GI 관련 정책·제도 개선, 강우유출수 관리목표 설정방안, 투수/불투수도 제작 지침 마련, 시민인식조사 등을 통해 그린인프라 확대를 위한 과학적 근거 및 통합관리제도를 마련하였다. 이와 더불어 2013년부터 도시지역의 우수유출 저감, 물순환 구조 개선,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 '그린빗물인프라(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 GSI) 조성 사업'을 추진하여 국비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GSI 조성사업'은 2014년 공공청사 중심에서 학교, 도서관, 체육시설, 공원 등 적용 범위를 확대 하고 있는 추세이나, 수도권지역과 물순환선도도시 조성사업이 진행중인 5개 지역(김해시, 광주시, 안동시, 울산시, 대전시)을 제외한 각 지자체에서는 실효성 있는 추진체계 및 가이드라인 부존 등의 문제로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경상남도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GSI 조성 추진체계 마련을 목표로 본 연구용역을 추진하였으며, GSI 관련 국내외 현황조사, GSI 조성을 위한 공공청사의 우선순위 선정, 지형적(토지피복, 토양형 등), 기상학적 현황을 토대로 한 우선순위 선정, 이를 통합한 경남형 GSI 조성 추진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pedestrian path search based on the shortest distance algorithm using Map API (Map API를 활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연구)

  • Jeon, Sung-woo;Kim, Yunbae;Kim, Junyoung;Park, Seonyoung;Jung, Heo-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219-221
    • /
    • 2022
  • In recent summer, as it is concentrated, even in mountainous areas, flooding and flooding cause casualties in pedestrian evacuation situations. To compensate for this, a system that detects the occurrence of flooding and allows pedestrians to evacuate safely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search on pedestrian path search based on the shortest distance algorithm using Map API. The pedestrian route search system outputs a map using the T Map API, selects nearby buildings as shelters, and stores data. A shelter close to the pedestrian's current location is selected, and the shortest route is output and the distance and time are provided.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urrent route during evacuation, another shelter route is provided from the current locat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pedestrian route search evacuation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will prevent accidents during evacuation.

  • PDF

A Method for Estimating Building Damage by Using Grid Unit Spatial Information (격자단위 공간정보를 활용한 건물피해 산정방법)

  • Lee, Joon Hak;Wang, Won Jun;Seo, Jae Seung;Kim, Sam E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71-171
    • /
    • 2021
  •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가 발생하는 빈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도시화가 발달됨에 따라 재산 피해 금액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홍수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수공 구조물의 보강 및 설치와 같은 효과적인 구조적 대책이 필수적이다. 구조적 대책의 경우 예방차원의 재난관리를 위하여 치수 사업 전/후의 경제성을 평가해야 하는데, 국내에서는 개선법과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법(MD-FDA, 이하 다차원법)을 활용하여 정량적인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다차원법의 경우 공간정보자료인 토지피복도를 활용하기 때문에 침수된 건물을 각각 산정해줌으로서 보다 정확한 경제성 분석을 실시할 수 있지만 산정 절차가 복잡하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선법과 다차원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격자단위 공간정보를 활용한 건물피해 산정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국토정보플랫폼에서는 100m×100m 격자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으며, 각각의 격자에는 단독 주거, 공동 주거의 공간정보 자료가 구축 되어있다. 이러한 격자자료와 홍수범람지도를 중첩하여 격자 단위 홍수 피해액을 산정함으로서 절차를 간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추정된 피해 금액과 비교적 정확한 홍수 피해액을 추정하는 기존 다차원법의 피해 금액을 비교하여 격자단위 공간정보를 활용한 건물피해 산정방법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면 경제성분석 결과가 과대 산정되는 개선법을 보완할 수 있으며, 계산과정이 복잡하여 실무에서의 적용성이 부족한 다차원법의 문제점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신속한 피해액 추정을 통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는데 필요한 치수사업을 빠르게 선정함으로서 후속 피해를 신속히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nveyance Analysis of Downstream of the Soyang Reservoir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Vegetation (소양강 댐 직하류 하천의 식생 영향에 의한 통수능 분석)

  • Noh, Joonwoo;Shin, Hyunho;Kim, Hoj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6B
    • /
    • pp.533-540
    • /
    • 2010
  • Recently management of vegetation distributed in the watercourse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safety but also for river restoration. In general, vegetations in the watercourse increase hydraulic resistance and accordingly decrease conveyance capacity which may yield levee overflow. This paper simulates water level rise using 1D and 2D hydro dynamic model to check the possibility of overflow in downstream of the Soyang Reservoir by assigning different roughness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different types of vegetation. In this study, 3 different vegetation types of tree, shrub, and main channel were considered and corresponding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n was assigned based on the vegetation map generated from the site investigation. As results, the water level raised about 0.1 to 0.7 m comparing with the case without considering vegetation and a proper measurements is necessary where overflow occurs due to low level levee.

Analysis of Inundation Area in Namgang According to Flood Return Period Using HEC-geoRAS (HEC-geoRAS를 이용한 빈도 별 홍수에 따른 남강 침수면적 분석)

  • Lee, Sun Mi;Kim, Jin Hyuck;Park, I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9-239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패턴 변화로 인해 침수피해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20년에는 기록적인 장기간 폭우로 인해 댐 하류 지역의 수몰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예상을 벗어난 이상 홍수 발생 시 댐 방류로 인한 하류 지역 피해예측 및 주민 안전을 위해 침수범위를 예측하고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남강댐은 인공방수로 운영을 통해 홍수량을 가화천과 분담하는 운영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나 댐 직하류에는 진주시가 위치하여 홍수방류에 따른 지역 침수구간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현기간 별 남강댐 홍수 방류량에 대해 남강댐하류~낙동강 합류부 구간의 홍수위 변화 분석 및 침수면적 계산을 수행했다. HEC-RAS를 이용한 남강 본류 수리해석을 위해 2013년 하천기본계획 단면을 이용하였으며, HEC-geoRAS를 이용한 침수면적 계산을 위해 2020년 수치지형도를 이용했다. HEC-RAS 모의를 위한 상류 경계조건은 남강댐 홍수 방류량을 적용하였으며, 하류 경계조건은 빈도 별 홍수위를 적용한 정상상태 모의를 수행했다. 빈도 별 남강댐 홍수 방류량은 남강댐 상류로 유입되는 빈도 별 홍수량에서 남강댐 저류 가능 홍수량을 제외한 유량을 방류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결정했다. 50년, 80년, 100년, 200년 빈도 홍수량에 대한 홍수위 모의 결과, 우안 지역은 제방고를 초과하는 홍수위가 발생하지 않은 반면 좌안에서는 농경지를 중심으로 하천범람이 발생했다. 특히 80년 빈도 이상 홍수량에 대해 범람지점이 50년 빈도 홍수량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또한 침수면적을 계산한 결과, 만곡부와 지류 합류부 주변에서 주로 침수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빈도 별 침수면적을 비교해보면 50년 빈도의 침수면적을 기준으로 80년, 100년, 200년 빈도에서 각각 9.4%, 18.7%, 53.1% 증가한 침수면적을 나타냈다.

  • PDF

Analysis on Vegetation Effect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of Non-Uniform Flow at Downstream of Hapcheon Dam (합천댐 직하류에서 부등류 수치모의를 통한 식생의 영향 분석)

  • Park, Su Hwan;Kang, Tae Un;Jang, Chang-Lae;Kim, Zoo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8-238
    • /
    • 2022
  • 합천댐의 건설 이후, 댐직하류 구간에서는 10년 동안의 방류량 감소와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패턴의 변화로 하도식생의 활착이 발생하여 식생이 증식하고 밀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식생밀도의 증가는 흐름에 대한 항력을 증가시켜 유속을 감소시키고 수심을 증가시킨다. 이는 통수능 저하를 초래하며, 홍수 시 수위증가에 따른 홍수범람의 위험성 증가시킨다. 따라서 식생영향에 대한 심화적인 이해를 제고하여 적절한 식생관리대책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맞추어 식생대 영향에 따른 흐름의 변화를 예측모의하여 흐름과 식생대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차원 흐름모형인 Nays2D를 이용하여 합천댐 직하류 구간을 대상으로 식생밀도의 변화에 따른 흐름의 변화를 부등류를 기반으로 모의하였다. 상류단의 경계조건은 162.99 m3/s(실운영 방류량), 995 m3/s(2년빈도 댐 조절 방류량), 2670 m3/s(100년빈도 댐 조절 방류량)로 3개의 유량으로 구분하여 모의하였다. 식생의 특성은 현장조사를 통해 밀도를 산정하여 수치모의에 적용하였다. 식생밀도는 4가지로 구분하여 모의시나리오를 구축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산정된 2021년도 식생밀도를 기준으로 식생밀도를 증감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조건은 2021년 식생현황, 식생개선, 식생존치, 전벌채로서 식생개선의 경우, 2021년 식생밀도의 0.5배로, 식생존치의 경우, 식생밀도를 2배로 적용하였다. 전벌채는 식생이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식생개선이 2021년 식생현황과 식생존치보다 상대적으로 수심이 낮게 나타났다. 식생을 전벌채한 경우, 식생이 존재하는 조건보다 수심이 낮고 유속이 빠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만곡부의 외측에서는 2차류의 발달로 흐름이 집중되었다. 이를 통해 식생개선의 경우, 식생현황과 식생존치보다 홍수범람의 가능성이 적을 것으로 판단되며 전벌채의 경우, 만곡부 외측에서 2차류 발달에 의한 세굴을 야기하여 제방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댐 직하류에 식생대 밀도변화가 흐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수치모의 사례로서 이는 추후 식생을 고려하는 하천관리방안을 수립 시, 식생관리방법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Grain Size Distribution of River Flooding Sediments in Ibang-myeon, Changnyeong and their Meaning (창녕 이방면 하천범람 퇴적물 입도분포 특성 및 그 의미)

  • Han, Min;Yang, Dong-Yoon;Lim, Jaesoo;Nahm, Wook-Hyu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7 no.3
    • /
    • pp.13-24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the sediments obtained from the flooding in Ibang-myeon, Changnyeong-gun, which was caused by the collapse of a embarkment on the Nakdong River on August 9, 2020.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ean grain size decreases and the sorting becomes poorer as the distance from the embarkment collapse point increases. This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transport energy of the river decreases when flooding occurs, ensuring that coarse-grained sediments are deposited first. Further, as the transport energy further reduces and becomes dispersed, the sorting for the fine-grained sediments becomes poo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sediments along the farm road showed the properties of floodplain deposits that transport to natural levee and back swamp due to river flooding. On the other hand, sediments along the irrigation ditch exhibited the properties of the deposits that are carried by the flow backward of ditch from the river after the collapse of the embark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because characteristics of flood sediments were elucidated for major rivers where flooding rarely occurs due to the recently built artificial structures. In addition, by applying the grain siz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resent river flood sediments,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clarifying the sedimentary environments of the paleo river flood deposits.

Formation Environment of Quaternary deposits and Palynology of Jangheung-ri Archaeological Site (Jiphyeon County, Jinju City), Korea (진주 집현 장흥리 유적 제4기 퇴적층 형성 및 식생환경 연구)

  • 김주용;박영철;양동윤;봉필윤;서영남;이윤수;김진관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6 no.2
    • /
    • pp.9-21
    • /
    • 2002
  • In Korea, many open-air upper palaeolithic sites are located at the river valley, particularly exposed in gently rotting terrain along the river course. They are situated at an altitude less trail 30 m above present river bottom, and covered with the blankets of slope deposits of several meters in thickn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luridate depositional and vegetational environment of the alluvial upper palaeolithic Jangheung-ri sites on the basis of analytical properties of grain size population, chronology, palynology, soil chemistry and clay mineralogy and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Jangheung-ri Quaternary formations. The lithostratograpy of Jangheung-ri sit is subdivided into 3 layers based on the depositional sequence and radiocarbon ages. From bottom to top, they are composed of slope deposits with lower paleosol layers, young fluvial sand and gravel with backswamp organic muds, and upper paleosol layers. The upper paleosol was formed under rather dry climatic condition between each flooding period. Dessication cracks were prevalent in the soil solum which was filled with secondarily minuted fragments due to pedogenetic process. The soil structure shows typical braided-typed cracks in the root part of cracking texture, and more diversified pattern of crackings downward. The young fluvial sand gravel were formed by rather perennial streams after LGM. The main part of organic muds was particularly formed after 15Ka. Local backswamp were flourished with organic muds and graded suspension materials in the flooding muds were intermittently accumulated in the organic muds until ca. 11Ka. This episode was associated with migration of Nam River toward present course. Organic muds were formed in backswamp or local pond. Abies/Picea-Betula with Ranunculaceae, Compositae, Cyperaceae were prevalent. This period is characterized with B$\Phi$lling, Older Dryas, Allerod, and Younger Dryas (MIS-1). Stone artefacts were found in the lower paleosol layers formed as old as 18Ka-22Ka. Based on the artefacts and landscape settings of the Jangheung-ri site, it is presumed that settlement grounds of old people were buried by frequent floodings of old Nam River, the river-beds of which were heavily fluctuated laterally and river-bed erosions were activated from south to north in Jangheung-ri site until the terminal of LGM9ca 17Ka).

  • PDF

A Study of Inundation Mapping by Imagination Tsunami Simulation (가상 지진해일 시뮬레이션을 통한 최대범람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 Um, Dae-Yong;Yoon, Hee-Cheon;Park, Joon-Kyu;Kim, Mi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7.04a
    • /
    • pp.261-264
    • /
    • 2007
  • In this study, I wished to forecast damage district by tsunami's occurrence. For this, analyzed tsunami that can happen in our country's neighborhood sea area using past data, and established tsunami's scenario by imagination with analysis result. I created 3D topographical model about study area and analyzed inundation area by achieving simulation by scenario. Also, result of simulation does overlay with digital map and manufactured imagination inundation map. This study result may offer as basic data for operation of tsunami's forecast/alarm system and making of disaster prevention policy.

  • PDF

Human-Vehicle Interaction: Technology Trends in Drivers' Driving Workload Management (Human-Vehicle Interaction을 위한 운전부하 관리 기술개발 동향)

  • Hwang, Y.S.;Kim, K.H.;Yoon, D.S.;Sohn, J.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5
    • /
    • pp.1-8
    • /
    • 2014
  • 최근 차량 내부와 외부 교통환경으로부터 운전자에게 다양한 다량의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가 범람하는 교통환경에서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가 '적절한 시기'에, '쉽게 지각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인간-자동차 인터랙션(HVI: Human-Vehicle Interaction) 기술이라 할 수 있으며, 진정한 의미 의미에서의 HVI 기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에 있어 사용하고 있는 자원에 대한 관리, 즉 운전부하 관리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 운전자의 운전부하 관리에 대한 정의와 기술개발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