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벅 컨버터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omparison & Analysis of The Permanent Magnet DC Motor Control Method (영구자석 직류기 (PMDC motor)의 제어 방식 비교 분석)

  • Oh, Kyu Taek;Kim, Katherine 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401-402
    • /
    • 2017
  • 넓은 범위의 토크-속도 특성을 가지는 직류기는 소형에서부터 대형까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직류기 중 영구자석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 직류기 (Permanent magnet dc motor, PMDC motor)의 제어방식에 대해 비교 분석했다.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진폭 변조 방식 (PWM, Pulse Width Modulation)과 벅-부스트 컨버터 (Buck-Boost converter)를 이용한 직류기 제어 방식에 대해 비교했다. PWM 방식은 인버터를 이용하여 펄스폭을 변조하였고, 벅-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하는 방식은 스위치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직류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벅-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한 방식이 PWM 방식보다 5 rad/s 까지 정착 시간은 54.4 % 단축되었지만, 전력 소모는 194 %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 PDF

Design and Analysis of Analog Controller for Bi-directional Buck-Boost Converter with Wide Input/Output Range (넓은 입·출력범위를 가진 양방향 벅-부스트 컨버터용 아날로그 제어기 설계 및 분석)

  • Woo, Tae-Gyoo;Choi, Gi-Ho;Chae, Hun-Gyoo;Ahn, Hyo-Min;Lee, B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125-12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ESS (Energy Storage System)용 양방향 벅-부스트 컨버터가 부하 변화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전압제어를 하기 위한 아날로그 제어기를 설계한다. 양방향 벅-부스트 컨버터의 소신호 모델을 이용하여 일반화된 전달 함수를 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입 출력 부하 변화와 충 방전 모드 변화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전압제어를 위한 제어기를 설계한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제어기 설계 과정의 타당성을 밝히고 설계한 제어기의 성능을 분석한다.

  • PDF

Synchronous Buck Driver Ie Using Adaptive Delay (Adaptive 지연을 이용한 싱크로너스 벅 구동 IC)

  • Song, Ki-Nam;Kim, Soon-Tae;Han, Seok-B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6a
    • /
    • pp.122-122
    • /
    • 2009
  • 최근 PC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고성능의 전원공급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CPU에 대전력을 공급하는 싱크로너스 벅 컨버터는 파워 MOSFET을 구동하기 위해 별도의 구동 IC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adaptive 지연을 이용하여 파워 MOSFET을 구동하는 싱크로너스 벅 구동 IC를 설계하였다. 고정밀도의 밴드캡 기준회로와 비교기를 이용하여 30 ns의 adaptive 지연을 생성하며,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저전압에서 동작하는 UVLO(under voltage lock out)를 설계하였다. 또한 상단 파워 MOSFET을 구동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랩 방식을 이용하며, 부트스트랩 다이오드를 IC 내부에 내장하여 컨버터의 설계비용을 줄였다. 설계한 구동 IC의 동작 전압 범위는 8 V - 15 V이며, 출력 전류는 최대 2A이다. 싱크로너스 벅 구동 IC는 $0.5\;{\mu}m$ BiCMOS(Bipolar-CMOS) 공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설계되었으며, 시뮬레이션은 Cadence사의 Spectre를 이용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25kW Bi-directional Converter using SiC MOSFET for DC Nano-grid (SiC MOSFET을 이용한 DC Nano-grid용 25kW급 양방향 컨버터 개발)

  • Kim, Yeonwoo;Han, Byeonggill;Kim, Minjae;Choi, Sewan;Yang, Daeki;Kim, Minkook;Oh,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44-4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DC Nano-grid를 위한 25kW급 고효율 양방향 컨버터를 개발하였다. 제안하는 양방향 컨버터는 넓은 입력전압 범위를 만족하기 위하여 Cascade 부스트-벅 컨버터의 구조로 하였으며 상용화된 SiC MosFET기반 3레그 IPM을 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2상 인터리빙 부스트 컨버터와 단상 벅 컨버터로 하였다. 또한 승 강압 모드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치 개수를 감소시켜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 하였다. 25kW 시작품을 통해 14kW에서 효율 98.9%를 달성하였다.

  • PDF

Switch Design of TM Type SIDO DC-DC Buck Converter for Camera Module (카메라 모듈용 TM 방식 SIDO DC-DC 벅 컨버터의 스위치 설계)

  • Choi, Hun;Lee, Dong-Keon;Jeong, Hang-Ge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9 no.1
    • /
    • pp.57-63
    • /
    • 2012
  • In this paper, a switch sizing method is proposed in order to prevent the cross-regulation in the TM type SIDO DC-DC buck converter. In TM type SIDO DC-DC buck converter, a DCM operation is required. In the DCM operation, the inductor peak current is larger than that in the CCM. Because of the larger inductor peak current and the added switch resistance, the voltage drop is increased, resulting in possible cross-regulation. To solve this problem, the switch resistance must be considered in sizing the switch. To simplify the calculation of the resistance, the inductor current was replaced by the average load current. Using the proposed method, TM type SIDO DC-DC buck converter for camera module was designed to provide two independent supply voltage(2.8 V and 1.8 V). The designed circuit was fabricated in a standard $0.35{\mu}m$ CMOS process. At a switching frequency of 1 MHz and a load current of 200 mA, a power effciency of 80.7% was achieved.

Boost converters including PV system with Differential power processor applying Isolated type buck converter (절연형 벅 컨버터가 적용된 승압형 태양광 피드백 차동전력조절기)

  • Lee, Chun-Gu;Park, Joung-H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347-34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차동전력조절기회로가 적용된 승압형 태양광 차지펌프 플라이백 전하 균등화 회로를 사용하여 연속 모드로 동작하는 전하 균등화 방법을 제안한다. 이 컨버터는 차동전력조절기회로의 입력부에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포워드 컨버터가 아닌 벅 컨버터로 동작을 한다. 이로 인하여 기존 포워드 컨버터가 갖고 있는 동작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즉 차동전력조절기회로의 듀티 비가 부스트 회로의 듀티 비 보다 작을 필요가 없다. 또한 실제 현장에 적용할 때 문제가 되는 긴 라인으로 인한 기생 인덕턴스 발생 시 차동전력조절기회로의 스위치에 큰 스파이크가 발생 할 수 있는데 이를 커패시터가 흡수하는 장정을 갖는다.

  • PDF

Single-Phase Z-Source Electronic Transformer with AC and DC Output Voltages (직류출력과 교류출력을 갖는 단상 Z-소스 전자변압기)

  • Yoo, Dae-Hyun;Eom, Jun-Hyun;Jung, Young-Gook;Lim,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11a
    • /
    • pp.25-2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직류출력과 교류출력을 갖는 단상 Z-소스 전자변압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입력은 병렬로, 츨력은 직렬로 연결된 2대의 Quasi Z-소스 AC-AC 컨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교류 입력 전압에 대하여 Quasi Z-소스 AC-A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은 동상의 강압과 승압 고정 주파수 가변 전압 VVCF(Variable Voltage Constant Frequency)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Quasi Z-소스 AC-AC 컨버터의 Active 스위치 단에 벅-컨버터를 연결하여 48V 직류 전압도 동시에 출력 할 수 있다. 끝으로 PI제어된 직류 벅 컨버터에 의하여 일정한 직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음을 PSIM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Control Method of Bi-Directional ZVS Three-Phase Isolated Interleaved DC-DC Converter (전 영역 ZVS가 가능한 양방향 3상 절연형 인터리브드 DC-DC 컨버터의 제어방법)

  • Lee, Ilyong;Lee, Byungha;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337-33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전 영역 ZVS가 가능한 양방향 3상 절연형 인터리브드 DC-DC 컨버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3상 절연형 인터리브드 DC-DC 컨버터는 모든 스위치가 ZVS동작을 하여 높은 효율을 갖고 3상 구조를 채택하여 전류경로의 분산을 통한 전력전달 능력의 증대 효과 및 입력전류 리플 크기를 줄여주는 인터리브드 효과를 갖는다. 승압/강압 능력이 있는 부스트/벅 컨버터의 구조는 낮은 권선비의 변압기로 높은 승압/강압 전력변환, 에너지원과 부하 사이에 절연이 가능한 구조이며, 인터리브 동작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3상을 각각 제어하지 않고 배터리의 전압전류와 출력전압만을 입력받아 벅모드와 부스트 모드 모두 전압, 전류제어를 수행함으로서 시스템의 간략화가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DC-DC컨버터의 제어기를 구성하고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Differential Mode Noise through High frequency Equivalent Model of DC-DC converter (DC-DC 컨버터의 고주파 등가모델을 통한 차동 노이즈 분석)

  • Shin, Juhyun;Kim, Woojung;Jo, Jongmin;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199-201
    • /
    • 2020
  • 본 논문은 DC-DC 컨버터 스위칭 동작 시 입력 단에 영향을 미치는 차동 노이즈 분석을 위한 고주파 등가모델을 제안하였으며, DC-DC 벅 컨버터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고주파 등가모델에는 DC 부스바, IGBT 및 PCB 등에 포함되는 기생 임피던스 성분들을 모두 고려하였으며, DC-DC 컨버터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따른 차동모드 노이즈 영향 분석을 위한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실험구성은 벅 컨버터, 스펙트럼 분석기, 네트워크 분석기 및 LISN 장비로 구성하였으며, 150kHz ~ 30MHz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측정된 공진주파수가 제안된 고주파 등가 모델의 분석결과와 실험결과가 일치함을 도출함으로써 제안된 등가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Sensorless MPPT control using a buck-boost converter in the grid-connected small wind power system (벅-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한 계통연계형 소형풍력발전시스템의 센서리스 MPPT 제어)

  • Lee, Hyun-Hee;Choi, Dae-Keun;Lee, Kyo-Beum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59-260
    • /
    • 2011
  • 본 논문은 벅-부스트 컨버터의 듀티비 제어를 통해 풍력발전시스템이 최대 효율을 갖도록 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발전된 전력을 계통으로 전달하기 위한 인버터 제어방법 및 시스템 구성을 제안한다. 특히 풍속정보와 발전기 속도를 제거하여 센서로 인한 단점들을 배제하였고, 제안한 풍력발전시스템과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