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버튼반응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hildren's ability to manipulate the computer interface (아동의 컴퓨터 인터페이스 조작 능력)

  • Lee, KyungOk;Lee, SangHee;Kim, KyYou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531-532
    • /
    • 2011
  • 본 연구는 아동 51명을 대상으로 키보드의 특정버튼(Enter, 숫자키, 방향키), 마우스 포인터, 마우스 오른쪽버튼과 왼쪽 버튼의 조작 시간을 체크하여 각 인터페이스별 조작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키보드와 마우스 조작시간에는 월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보다는 개인에 따른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별 반응시간을 비교하였을 때, 키보드버튼조작 평균 반응시간2.97초(5.62), 마우스포인터조작 반응 평균 반응시간 58초(.43), 마우스버튼조작 반응 평균 반응시간 3.02초(1.49)로 나타났다. 각 하위영역별로 조작시간 편차가 큼을 고려할 때, 기본인터페이스 조작능력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PDF

The Effect of Response Type on the Accuracy of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반응양식이 P300 숨긴정보검사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 Jeon, Hajung;Sohn, Jin-Hun;Park, Kwangbai;Eom, Jin-Sup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0 no.3
    • /
    • pp.109-118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utton response to probe and irrelevant stimuli on P300 amplitude and lie detection rate in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Participants underwent the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P300 CIT) in two conditions. In one button condition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ress the left mouse button only when the target was present. In two button condition, they were asked to press the left mouse button for target and right button for non-targe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se time to target stimulu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conditions, and the response time to the probe stimulu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irrelevant stimulus. The P300 amplitudes for the probe and irrelevant stimulus were all smaller in one button condition compared to two button condition. However, the P300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the probe stimulus and the irrelevant stimulu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experimental conditions, and the lie detection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condi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ffect of button response on P300 CIT with a short inter-stimulus interval was discussed.

An Event-Related Potential Investigation of Response Inhibition in Psychopathy using Emotional Go/NoGo Tasks : A Preliminary Study (사건관련전위를 이용한 정서 Go/NoGo과제에서 나타난 정신병질집단의 반응억제: 예비 연구)

  • Kim, Young 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61-362
    • /
    • 2011
  • 본 연구는 사건관련전위를 이용하여 정신병질자들이 정서인식에 따른 반응억제의 어려움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교도소에 수용 중인 수형자들을 대상으로 PCL-R(Psychopathy Checklist-Revised)의 점수에 따라 6명의 정신병질 수형자집단과 4명의 정상 수형자집단을 선별하고, 얼굴자극을 이용한 시각 Go/NoGo 과제를 실시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Go 자극에 버튼을 누르고 NoGo 자극에 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지시를 받았으며, 과제를 실시하는 동안 사건관련전위를 측정하였다. 과제 1에서는 공포표정을 NoGo자극으로 사용하고 중성표정을 Go자극으로 사용하였으며, 과제 2에서는 슬픈 표정을 NoGo자극으로 사용하고 중성표정을 Go자극으로 사용하였다. 정신병질 수형자집단은 공포표정의 NoGo P3 진폭이 중성표정의 Go P3 진폭보다 크게 나타난 반면에 정상 수형자집단은 공포표정과 중성표정 간의 P3 요인의 진폭이 유사하거나 공포표정의 NoGo P3 진폭보다 중성표정의 Go P3 진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P3 잠재기를 분석한 결과, 정신병질 수형자집단은 슬픔 표정자극의 NoGo조건에서 중성표정자극의 Go조건보다 느린 P3 잠재기를 나타낸 반면, 정상 수형자집단은 NoGo조건에서 Go조건보다 빠른 P3 잠재기를 나타냈다. 정서인식검사결과, 정신병질 수형자집단은 정상 수형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병질자들이 공포, 슬픔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인식한 후에 반응을 억제하는데 인지적인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EEG Characteristics by Age during Task Performance on True/False Decision Making (연령별 긍/부정 판단 과제시의 뇌파 특성)

  • 최지연;이경화;정희윤;김기홍;김현빈;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55-25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긍/부정 판단 과제 시 연령간 뇌파 반응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실험 대상의 연령은 10명(20대 5명, 60대 5명)이었으며, 모두 오른손잡이였다. 실험과제는 의미과제와 일화과제로 구분되며 각각 12문항으로 구성된다. 의미기억과제 덧셈문제를, 일화기억 과제는 도형을 이용하였으며, 마우스 버튼을 눌러 긍/부정 판단 반응을 하도록 하였다. 뇌파는 PE1, PF2, F3, F4, O1, O2에서 단극유도법으로 측정되었으며, EOG를 측정하여 뇌파분석 시에 눈 깜박임으로 인하 noise를 제거하도록 하였다. 뇌파 분석은 원자료를 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를 수행하여 각 대역의 상대적인 power를 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반응 시간은 긍/부정판단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두 과제 모두에서 연령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긍/부정판단간의 따른 뇌파 반응은 명확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뇌파반응은 theta파, slow beta, fast beta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A Multi Modal Interface for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의 Multi Modal 인터페이스)

  • Seo, Yong-Won;Lee, Beom-Chan;Lee, Jun-Hun;Kim, Jong-Phil;Ryu, Je-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666-671
    • /
    • 2006
  • 'Multi modal 인터페이스'란 인간과 기계의 통신을 위해 음성, 키보드, 펜을 이용, 인터페이스를 하는 방법을 말한다. 최근 들어 많은 휴대용 단말기가 보급 되고, 단말기가 소형화, 지능화 되어가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도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입력 방법에 기대치가 높아가고 있다. 현재 휴대용 단말기에 가능한 입력장치는 단지 단말기의 버튼이나 터치 패드(PDA 경우)이다. 하지만 장애인의 경우 버튼이나 터치 패드를 사용하기 어렵고, 휴대용 단말기로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도, 어려움이 많으며 새로운 게임이나 어플리케이션 개발에도 많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들은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새로운 Multi Modal 인터페이스를 제시 하였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이용하여 더 낳은 재미와 실감을 줄 수 있는 Multi Modal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손목으로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색다른 입력 장치를 제공 하였다. 향후 음성 인식 기능이 추가 된다면, 인간과 인간 사이의 통신은 음성과 제스처를 이용하듯이 기계에서는 전통적으로 키보드 나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인간처럼 음성과 제스처를 통해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에 진동자를 이용하여 촉감을 부여함으로써, 그 동안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에 소외된 시각 장애인, 노약자들에게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제로 사람은 시각이나 청각보다 촉각에 훨씬 빠르게 반응한다. 이 시스템을 게임을 하는 사용자한테 적용한다면, 능동적으로 게임참여 함으로서 좀더 실감나는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특수한 상황에서는 은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앞으로 개발될 모바일 응용 서비스에 사용될 수 있다.

  • PDF

Improving accessibility and simplicity of mobile user interface for senior people (중장년층 사용자를 위한 휴대폰 인터페이스 개선 -LG 와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개선 사례연구-)

  • Kim, Moon-Ju;Park, Yeon-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024-1029
    • /
    • 2009
  • 중장년층 타겟 휴대폰 개발을 위하여, 타겟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실 사용패턴을 관찰하고 불편사항에 대한 실질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다. 사전조사 및 2 차에 걸친 심층 인터뷰 결과로 도출된 guideline 에서 크게 접근성과 간결성의 두 개 category 를 interface design 시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첫째, 접근성의 경우 물리적, 구조적, 화면 그래픽적 방법을v통하여 지원할 수 있다. 단축버튼 적용, 버튼 및 항목명의 한글 표기, 정보 표시 구조, 정보표시 순서의 조정을 통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간결성의 경우에는 정보의 선별, 강조와 제거 방법을 사용하여 지원 가능하다. 중장년층을 고려하였을 때 가독성을 향상시키는 것 또한 간결성 향상과 큰 관련이 있다. 보조를 위한 별도 기능을 추가하는 것과 정보가(information value)의 차별화, 화면복잡도의 조정을 통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각 guideline 에 대한 사례를 서술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타 보조적 수단으로 중장년층을 사용성을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의 추가, 기타 사용자 오류 패턴 연구를 소개한다. 이러한 일련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특정 계층을 위한 interface 설계를 용이하게 하여 해당 계층이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시장에서의 차별화를 제공하는 휴대폰을 개발할 수 있다.

  • PDF

SNS Marketing System by Using Video Play Button (동영상 재생버튼을 활용한 SNS 마케팅 시스템)

  • Kim, Seong-Kwon;Lee, Gwang-O;Kwon, Soon-Ka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7 no.2
    • /
    • pp.218-225
    • /
    • 2014
  • The marketing which uses SNS, which has the most biggest growth since appearance of Facebook, is proved to be effective, then many companies make variable attempts of marketing by using Facebook.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 of marketing using videos, that has a major part in Facebook, and the method to raise their ratings. By using the video play button it registers information of the videos in Facebook then shares them to other people in real-time through inner News Feed. Therefore, we can maximize effect of marketing through viral marketing to use other users responses.

Usefulness of Six emoticon newly adapted to facebook (페이스북 새로 도입된 6가지 감정의 유용성)

  • Park, Jung-Hoon;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9
    • /
    • pp.417-422
    • /
    • 2016
  • Rapid growth of internet utilization consequences in an expansion of individual's social networks via SNS. Recently, Facebook has added six different emotion buttons reflecting suggestions claiming that "Like" button is limited, and thus must be improved. Regarding to how well newly updated six different emotion buttons were utilized, a survey that inquires the usefulness and usability of buttons for further improvement in service was conducted to 35 Facebook users of 20's and 30's, the most active ages with frequent usages. As a result, users responded with negative attitudes considering expression of six different emotions in Facebook, and exhibited less frequent usages of the service. According to respondents, the emotion expression service would lead better approachability if Facebook suggests simpler emotion expression, for example, two emotion buttons rather than current six buttons.

Study of Game Level Design Controled by Artificial Emotion (인공감정을 적용한 게임 난이도 조절에 관한 연구)

  • Park, Jun-Hyoung;Hyun, Hye-Jung;Yeo, Ji-Hye;Ko, Il-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181-183
    • /
    • 2011
  • 최근 게임 산업에서는 게임을 인공지능적인 측면으로 접근하는 방식 중 하나로 인공감정을 주목하고 있다. 인공감정은 감정자극과 감정, 그리고 감정의 표현 방식이라는 총 3가지 기본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감정을 사람들에게 꾸준하게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는 캐주얼 게임에 적용시켜 보았다. 캐주얼 게임은 다른 게임들에 비해 게임 속에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환경요소가 한정적이고, 표현할 수 있는 감정이 적어 인공감정에 대한 플레이어의 반응을 실험하기에 적합한 게임 장르이다. 본 연구에서는 쉽게 제작 가능한 버튼 클릭 방식의 캐주얼 게임을 만들었다. 그리고 게임에 플레이어의 행동을 통해 감정적 영향을 받는 인공감정이 적용된 게임 에이전트를 제작했다.

  • PDF

Exploration of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Action Performance Changes caused by Semantic Congruency between Perceived Action Verbs and Current Actions (지각된 행위동사와 현재 행위의 의미 일치성에 따른 행위 수행 변화의 신경생리학적 기전 탐색)

  • Rha, Younghyoun;Jeong, Myung Yung;Kwak, Jarang;Lee, Donghoo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7 no.4
    • /
    • pp.573-597
    • /
    • 2016
  • Recent fMRI and EEG research for neural representations of action concepts insist that processing of action concepts evoke the simulation of sensory-motor information. Moreover, there are several behavioral studies showing that understanding of action verbs or sentences describing actions interfere or facilitate current action performance. However, it is unclear that online interaction between processing of action concepts and current action is based on the simulation of sensory-motor information, or other neural mechanisms.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underlying neural mechanism that how the perception of action language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current action using high-spacial temporal resolution EEG and multiple source analysis techniques. For this,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a cued-motor reaction task in which button-pressing hand action and pedal-stepping foot action were require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cue, and we presented auditorily action verbs describing the responding actions (i.e., /press/, /step/, /stop/) just before the color cue and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 from the semantic congruency between the action verbs and the current action. Behavioral results revealed consistently a facilitatory effect when action verbs and responding actions were semantically congruent in both button-pressing and pedal-stepping actions, and an inhibitory effect when semantically incongruent in the button-pressing action condition. In the results of EEG source waveform analysis, the semantic congruency effects between action verbs and the responding actions were observed in the Wernicke's area during the perception of action verbs, in the anterior cingulate gyrus and the supplementary motor area (SMA) at the time when the motor-cue was presented, and in the SMA and primary motor cortex (M1) during action execution stage. Based on the current findings, we argue that perceived action verbs evoke the facilitation/inhibition effect by influencing the expectation and preparation stage of following actions rather than the directly activating the particular motor cortex.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on the neural representation of action concepts and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