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버스 수요

검색결과 1,571건 처리시간 0.045초

API 기반 동적 버스마크를 이용한 윈도우용 소프트웨어의 효율적인 유사도 측정 기법 (Efficient Similarity Measurement Technique of Windows Software using Dynamic Birthmark based on API)

  • 박대신;지현호;박영수;홍지만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2호
    • /
    • pp.34-45
    • /
    • 2015
  • 윈도우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윈도우용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불법 복제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불법 복제로 인해 소프트웨어 저작권이 침해될 수 있다.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저작권 보호 방법 중 하나인 소프트웨어 버스마크를 사용한다. 소프트웨어 버스마크는 소프트웨어로부터 특정 정보들을 추출하여 소프트웨어간 도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이며 대상 소프트웨어로 부터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따라 정적 버스마크와 동적 버스마크로 구별된다. 정적 버스마크와 동적 버스마크는 서로 장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API 기반 동적 버스마크를 이용한 유사도 측정 기법을 제안하고, 동적 버스마크의 추출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동적 버스마크의 유사도 측정 기법이 신뢰성과 강인성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존 동적 버스마크의 유사도 측정 기법보다 제안하는 동적 버스마크의 성능이 향상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장품 접속을 위한 UART 시리얼 버스 구현에 대한 평가

  • 원주호;조영호;이윤기;김의찬;조영준;이상곤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84.2-184.2
    • /
    • 2012
  • 위성의 전장품은 전기적 접속을 위해서 1:1 연결을 하는 Point-to-Point 버스 방식과 여러개의 Slave (Remote Terminal)을 갖고, 일반적으로 1개의 Master (Controller)에 의해서 연결하게 되는 버스 구조를 갖는 접속 채널을 통해서 연결이 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인 MIL-STD-1553B는 데이터 전송속도가 1Mbps이고, Transformer에 의해서 완전하게 버스와 각 전장품이 완전하게 절연이 되는 구조로, 전기적 고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지만, 설계의 난이도가 높다. 고속 버스는 SpaceWire를 사용하고, 100Mbps이상의 속도를 지원할 수가 있지만, LVDS등의 고속 채널 설계 및 노이즈에 민감한 특성 때문에, 저속의 통신채널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저속의 데이터 채널을 위해서는 UART 방식이 사용된다. UART 방식은 RS-422 방식과 RS-485 방식이 사용되지만, 1553B 또는 SpaceWire 등과 같이 프로토콜이 정해지지 않아서, 사용자가 직접 프로토콜을 지정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RS-422은 1:1 방식의 Point-to-Point UART를 위해서 사용되고, RS-485는 버스 방식의 연결을 지원할 수가 있지만, 동시에 여러개의 TX가 enable되는 경우에는 TX사이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어서, 1번에 TX가 1개만 사용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RS-485방식의 버스를 구현할 경우에는 1553B처럼 와전하게 절연이 불가능하므로, 전기적이나 기능적으로 485버스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절연과 같은 기능이 지원되도록 구현이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안정적인 485 UART버스 구현을 위한 기술에 대해서 평가하고 분석하도록 하겠다.

  • PDF

버스관광 서비스 제공을 위한 버스정류소 기반 콘텐츠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s Platform for Bus Tour Service based on the bus stop)

  • 김민교;김상훈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091-1096
    • /
    • 2018
  • 본 논문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은 국내 FIT(Free Independent Tour) 버스관광객에게 보다 편리한 버스이용 방법과 버스관광에 적합한 관광콘텐츠를 통합된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버스 이용 환경 개선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대중교통을 이용한 휴양 목적의 FIT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관광객 수요에 부합하는 관광 플랫폼이 필요하다. 상세하게는 버스정보 제공 시스템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버스정보 공공API를 활용하여 버스정보 제공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관광정보와 버스정보의 연계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자 이용행태 데이터 수집모듈과 데이터마이닝 모듈을 구현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FIT 관광객을 대상으로 버스관광 서비스 제공을 위한 버스정류소 기반 콘텐츠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이다.

동적 재구성이 가능한 SoC 3중 버스 구조 (Dynamically Reconfigurable SoC 3-Layer Bus Structure)

  • 김규철;서병현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01-107
    • /
    • 2009
  • 집적회로의 공정기술 및 설계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IP가 하나의 반도체 칩에 집적되어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SoC 설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IP 간에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버스 상의 전송 특성에 따라 버스모드를 동적으로 재구성하는 SoC 3중 버스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버스는 다중-단일버스 모드, 단일-다중버스 모드로 재구성이 가능하며 따라서 단일버스 모드와 다중버스 모드의 장점을 모두 갖는다. 실험결과 제안된 버스구조는 기존의 고정된 버스구조보다 독립적이며 데이터 전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버스구조를 JPEG 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다중버스구조보다 평균 22%의 전송시간 단축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interview - 그림책버스 '뚜뚜' 대표 조준영을 만나다

  • 심효정
    • 도서관문화
    • /
    • 제45권7호통권350호
    • /
    • pp.62-65
    • /
    • 2004
  • 그림책버스 '뚜뚜'. 버스를 개조해서 아이들이 이용할 수 있는 도서관으로 만든 움직이는 그림책문화버스... 이번 도서관문화 7월호에서는 뚜뚜의 대표인 조준영씨를 만나보았다.

  • PDF

플라잉 브릿지 버스 아키텍처 (Flying Bridge Bus Architecture)

  • 이국표;윤영섭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12호
    • /
    • pp.15-21
    • /
    • 2008
  • SoC와 같이 많은 컴포넌트로 구성된 버스 토폴로지(topology)에서는 여러 버스가 계층적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버스간에는 브릿지로 연결되어 있다. 브릿지 토폴로지는 버스 내에서 컴포넌트의 동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버스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버스간의 데이터 전송이 발생할 때, 브릿지 블록에서 레이턴시가 증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브릿지 토폴로지에 대해 살펴보고,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해 보았으며, 성능, IP의 재사용, 타이밍 마진, 게이트 수, 설계 마진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는 플라잉 브릿지 토폴로지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기존 버스 브릿지는 단지 버스간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역할을 하지만, 플라잉 브릿지는 버스와 슬레이브 간에 직접 통신을 통해 데이터 전송하는 특징을 갖는다. 위와 같은 직접 통신방법은 공용버스의 트래픽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고성능의 브릿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탑승 예약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w-Floor Bus Reservation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Weak)

  • 허성수;최영곤;박유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39-46
    • /
    • 2018
  • 국내 저상버스 서비스는 2004년부터 최근까지 이동이 불편하고 휠체어를 탑승한 교통약자를 위해 전국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저상버스 운행 정보가 미비하여 교통약자가 이를 이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휠체어를 탑승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률을 증가하기 위해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이용 서비스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휠체어를 탑승한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저상버스의 운행 정보와 탑승하고자 하는 저상버스에 탑승예약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저상버스 탑승예약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의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저상버스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들에게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상버스 노선선정 방안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Low-Floor Bus Routes Selection - Focused on the Case of Jeollabuk-Do -)

  • 이창현;김상엽;최재성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73-85
    • /
    • 2014
  • 초고령사회에 근접함에 따라 교통약자의 수는 더불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여러 국가들은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위해 저상버스를 도입을 적극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 저상버스는 도입은 시내버스 중 30%를 도입하려 하고 있지만 저상버스 노선 운영에 대한 계획은 부재한 상황이다. 실제 저상버스 이용 실태조사에서는 이용효율이 높지 않게 나타나고 있어 저상버스 노선선정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통약자의 통행특성을 분석하고 저상버스 도입에 따른 노선선정 방안을 검토하였다. 전라북도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교통약자의 통행목적은 복지와 의료가 주를 이루며, 일주일에 6회 이상 통행하는 비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동을 위한 주 교통수단은 37.6%가 버스로 분석되어 교통약자의 편의증진을 위해서는 버스의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집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교통약자 O-D를 구축하고 저상버스가 우선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노선을 선정한 결과 교통약자 밀집지역을 시종점으로 하는 버스노선이 가장 우선적으로 도입되어야 하며, 다음은 시내를 순환하는 노선, 마지막으로 그 외노선 순서로 저상버스를 도입하는 것이 교통약자의 저상버스 이용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인구 200,000명을 기준으로 이상일 경우 고정된 노선을, 이하일 경우 수요응답형 노선을 제공하는 것이 효율과 경제적 측면에서 가장 적절한 저상버스의 도입방안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교통약자의 편의증진을 위한 교통계획 수립의 기반 연구 및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버스 공유 다중마스터 시스템의 모델링과 설계 (The Design and Modeling of Shared bus Multimaster System)

  • 홍재명;신준호;김용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45-1148
    • /
    • 1999
  • 본 논문은 다중마스터 시스템의 버스 공유를 큐잉이론으로 모델링하여 정량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화 된 실시간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그 결과를 실측 실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다중마스터 모드와 슬레이브 모드를 지원하는 마스터를 이용한 다중 마스터 시스템에서 버스의 공유로 인한 지연과 각 작업의 대기 시간은 각각에 대한 모델링을 통해 정량화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는 VMEbus 상에서 3개의 마스터와 그에 종속된 4개의 슬레이브 시스템을 구성하여 각 마스터들의 버스 요구율과 서비스 시간에 따라 버스를 점유하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개선된 시스템은 각 작업의 버스 상에서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으로 버스를 공유하므로써 작업 시간 오차와 오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비콘 기반의 저상 버스 예약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w-Floor Bus Reservation Application based on Beacon)

  • 이원주;차민재;김응빈;박규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229-23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 폰의 Bluetooth 센서와 Open API 기반의 저상 버스 예약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Bluetooth 센서를 이용하여 Beacon과 단방향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50m 안의 버스정류장을 확인할 수 있고, Open API를 통해 확인된 버스정류장을 경유하는 노선별 저상 버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그리고 저상 버스 탑승 예약 기능과 버스 기사가 예약자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