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운산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히어리(Corylopsis coreana)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Corylopsis coreana Population in Korea)

  • 장형태;김남춘;김무열;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09-615
    • /
    • 2008
  • 본 연구는 경기도 백운산, 전남 지리산, 백운산, 조계산, 경남 금산 지역 등에 분포하고 있는 히어리개체군을 대상으로 2005년 8월부터 2006년 9월까지 20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분류한 결과 히어리개체군은 피나무우점개체군, 소나무우점개체군, 비목나무우점개체군으로 구분되었다. Ordination 분석 결과 피나무우점개체군은 해발고가 높으며, 전질소, 유효인산, CEC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우점개체군은 해발고가 낮고 전질소, CEC, 유효인산의 함량이 적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목나무우점개체군은 해발고가 높고, 전질소, 유효인산, CEC의 함량이 중간인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북도 백운산 일대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Baekwoon in Chungcheongbuk-do)

  • 유주한;진연희;장혜원;이동우;윤희빈;이귀용;이철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0-223
    • /
    • 2003
  • 본 연구는 백운산의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기간은 2000년 10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충북 백운산(1,087m)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0과 273속 411종 1아종 49변종 7품종 등 총 468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대상지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을 조사한 결과 천마. 말나리, 금강제비꽃, 매미꽃. 도깨비부채, 쥐방울덩굴, 개족도리, 태백제비꽃, 미치광이풀. 토현삼 등 총 10종류로 나타났으며. 한국 특산식물은 개족도리. 가는장구채, 할미밀망, 진범, 매미꽃, 흰털괭이눈, 조팝나무, 가시딸기, 광릉갈퀴, 뽕잎피나무, 서울제비꽃, 금강제비꽃, 자란초, 토현삼, 병꽃나무, 털잔대, 고려엉겅퀴, 각시서덜취, 분취 등 19종류로 조사되었다.

강원도 정선군 백운산 High 1 스키장 슬로프 개발 지역의 주목 생육현황 조사 (A Study on the Growing State of Taxus cuspidata in Baekwoonsan the High 1 Ski Slope Construction Area in Jeungsun-gun, Gangwon-do)

  • 김갑태;엄태원;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2-308
    • /
    • 2009
  • 합리적 주목 관리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강원도 정선군 하이원 스키장 건설지역에 분포하는 주목 323개체(이식된 57 체 포함)에 대하여 수고, 근원경, 흉고직경, 줄기상태, 동공의 크기, 초두부 상태, 가지고사율, 엽생육상태, 신초생장, 2년생엽 탈락율, 뿌리상태 및 수형을 조사하였다. 조사항목들을 생육상태가 나쁠수록 높은 점수가 되도록 등급화하였다. 조사대상지에 생육 중인 주목은 주로 해발고가 높은 능선부나 북사면에서 자라고 있었다. 백운산 주목의 생육상태는 국내 다른 아고산지대의 주목과 구상나무의 생육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피해주목들은 이식작업에서 뿌리제거, 잔존 목으로 슬로프 공사 시 복토, 터파기로 인한 뿌리 손상 등이 대부분이었다. 주목보존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백운산 지역내 중소형 양어장에 의한 계류수의 이화학적 요인의 변화 (Changes on the Physicochemical Factor of Stream Water by Medium and Small type Fish Farm in Mt. Baegun Area)

  • 박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43-52
    • /
    • 2005
  • Evaluations of the fish farm influences on stream water quality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s on watershed management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 due to fish farm development and to conserve stream water quality in forested watershed area. In this research influent, effluent water in the fish farm and stream water qualities around Mt. Baegun area were monitored seasonally for six year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Due to the increase of pH in effluent water from the fish farm it was believed that alkalization of stream water can be accelerated by large scale development of fish farms in the forested watershed area. Also, effluent water from the fish farm increase of EC higher than influent and stream water.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es, pH, EC, DO, water temperature, total amount of cation and anion in influent and effluent water of fish farm show high significance.

Ordination 과 Classification에 의한 백운산의 산림 군락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An Analysis of Vegetation -Environment Relationships of Forest Community in Mt. Baekun by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 정진철;장규관;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4-253
    • /
    • 1999
  • 백운산의 산림군락과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TWINSPAN과 CCA Ordination을 이용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WINSPAN에 의해서 서어나무 군락, 고로쇠나무 군락, 신갈나무 군락 및 굴참나무 군락의 4 group으로 구분되었다. 주요 군락과 환경 용인과의 상관을 보면 서어나무 군락과 굴참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중간이고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의 양료가 중간인 곳에 주로 분포하고 신갈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의 양료가 많은 곳에 주로 분포하며 고로쇠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K+$,$Ca{++}$,및 $Mg^{++}$등의 양료가 많은 곳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주요 수종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해발고가 높고 유기물 함량과 $P_2O_5$ 많은 곳에 신갈나무, 노리재나무, 물푸레나무, 해발고가 중간기고 양료가 중간인 곳에 서어나무, 비목, 단당풍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때죽나무, 해발고가 낮고, 습하며$K+$,$Ca{++}$,및 $Mg^{++}$ 등의 양료가 많은 계곡부타 까치박달나무 층층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들메나무, 나도밤나무 및 산뽕나무가 분포하고 있다.

  • PDF

한국에서 새롭게 기록되는 배줄벌레과 3종 (Three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family Biphyllidae (Coleoptera) in Korea)

  • 김상수;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95-499
    • /
    • 2016
  • 전남 백운산 지역의 논실 및 한재 지점에서 2015년 5월부터 8월까지 깔데기트랩(Lindgren funnel trap)을 이용하여 배줄벌레과(Biphyllidae) 곤충을 채집하였다. 그 결과 배줄벌레속(Biphyllus) 7종이 채집되었고, 그 중 3종인 둥근배줄벌레(B. aequalis (Reitter)), 담갈무늬배줄벌레(B. flexuosus (Reitter)), 애배줄벌레(B. kuzurius Sasaji)가 국내에서 처음 기록되는 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을 동정하기 위한 검색표와 진단형질들을 도식하였다.

포천 백운산 히어리 군락의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community at Mt. Baegun in Pocheon)

  • 오영주;방정호;백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47-455
    • /
    • 2012
  • The phytosoci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community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soil environment of Mt. Baegun in Pochen. The vegetation data of total 9 relev$\acute{e}$s were analyzed by the Z$\ddot{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Three communities of Mt. Baegun were recognized :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typical community. The reanalysis to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community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south area classified 8 communities by literature. PCA analysis of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community distributed in the middle and southern area showed that the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community of the Mt. Jiri in the southern area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one of Mt. Baegun in the middle area.

낙엽 활엽수림 대 주연부식생구조 발달과정 모니 터 링(II) -서울대학교 백운산연습림지역을 중심으로- (Monito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I ) -Focused on the Case Study from the Baekwoonsan Research Forest, Seoul National University-)

  • 오구균;지용기;심항용;김성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8-268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대학교 백운산연습림 낙엽활엽수림에서 벌채 후 주연부 식생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벌채 후 8년,10년이 경과한 시점 인 4차 조사(2001년)와 5차 조사(2003년) 결과에서 주연부식생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산림주연부에서 경쟁력 이 우수한수종은 비목나무, 병꽃나무,조록싸리, 생강나무,두릅나무 등이 었고,산림주연부와 인접한조사구에서 경쟁력이 우수한수종은 비목나무, 병꽃나무,고추나무 등이 었다. 벌채지 산림내부에서 경쟁력 이 우수한수종은 비목나무,생강나무 등으로 나타났다. 산림주연부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는 수종은 방위,광량, 고도, 기존 특정종의 성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양사면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는 수종은 비목나무와 병꽃나무이 었다. 조릿대는산림 벌채 후 초기 에 왕성한 생장력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수관층이 형성되면서 감소세를 보였으며, 피복율은 남서향 사면보다 북동향 사면에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조사기간별 유사도지수는 벌채시 산림주연부에서 산림내부로 거 리가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백운산향사(白雲山向斜) 서단부(西端部)의 구조계층(構造階層)과 습곡작용(褶曲作用)의 과정(過程) (Structural Layers and History of Folding in the Western Part of the Baegunsan Syncline, Samcheog Coalfield, South Korea)

  • 이재영;박봉순
    • 자원환경지질
    • /
    • 제15권1호
    • /
    • pp.41-47
    • /
    • 1982
  • 삼척탄전서부지역(三陟炭田西部地域)의 양단부(兩端部)에 해당하는 본연구지역(本硏究地域)은 태백산통(太白山統)을 기저(基底)로 하여 "조선-평안계(朝鮮-平安系)"의 층서(層序)가 해방전(解放前)에 수립(樹立)되었고 정창희(鄭昌熙)에 의하여 "평안계(平安系)"는 대폭 수정(修正)되었다. 특히 이 지역의 지질구조(地質構造)는 층서확립(層序確立)과 함께 "백운산대향사(白雲山大向斜)"구조(構造)가 이미 오래전에 인지(認知)되었으나 동서성(東西性)의 대습곡구조(大褶曲構造)와 남북성(南北性)의 교차습곡구조(交叉褶曲構造)와의 생성시기(生成時期)의 선후관계(先後關係)에 대해서는 다른 견해(見解)가 대립(對立)되어 왔다. 이 지역(地域)을 대향사(大向斜)의 남익부(南翼部)인 녹전구(碌田區), 북익부(北翼部)인 문곡구(文曲區), 비부(鼻部)인 예미구(禮美區)로 나누어 구조요소(構造要素)를 관측해석(觀測解析)하였던 바, 세 지역의 층이면(層理面)에 대한 ${\pi}$도(圖)에서 얻은 대원(大圓)의 극(極)과 선구조(線構造)의 최대치(最大値)는 비교적 잘 일치하는데 남북성(南北性) 교차습곡(交叉褶曲)의 경향(傾向)과 같다. 이는 남북성교차습곡(南北性交叉褶曲)의 형성과정(形成過程)에서 제구조요소(諸構造要素)가 생성(生成)되었고 동서성대향사(東西性大向斜) 구조(構造)와는 무관(無關)하다는 것을 입증(立證)하므로 선남북성교차습곡후동서성대향사(先南北性交叉褶曲後東西性大向斜)의 습곡작용(褶曲作用)이 있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본역(本域)에 발달(發達)하는 소구조요소(小構造要素)는 대체로 교차습곡(交叉褶曲)에 수반(隨伴)된 것으로 후기(後期)의 백운산향사(白雲山向斜)에 의해서 담란(擔亂)되고 있다. 기반암층(基盤岩層)에는 동사습곡(同斜褶曲)이, 하부고생층(下部古生層) 중의 규암층중(硅岩層中)에는 심한 단열(斷裂)이, 니질암층(泥質岩層) 중에는 각상습곡(角狀褶曲)이, 탄산염암층(炭酸鹽岩層)중에는 조합벽개(組合劈開)가, 상부고생층(上部古生層)중에는 평행습곡(平行褶曲)이 우세하여 층서(層序)에 따른 변형양식(變形樣式)의 차이(差異)를 보이고 있어 구조계층(構造階層)이 성립(成立)한다.

  • PDF

아고산 침엽수림 분포 면적의 20년간 변화 분석 (Change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Area over the Last 20 Years)

  • 김은숙;이지선;박고은;임종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10-20
    • /
    • 2019
  •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점차 취약해지고 있는 아고산 산림생태계의 변화 및 쇠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 아고산 지역 침엽수림의 장기 면적 변화를 파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 20년간의 침엽수림 면적 변화 탐지를 위해 시계열 Landsat 위성영상을 분석하였고, 침엽수림 면적과 기후정보의 장기적 변화를 함께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체 분석대상지에서 침엽수림의 면적은 20년 동안 약 25 %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면적과 변화율의 측면에서 큰 변화가 있었던 지역은 설악산, 백운산-함백산-장산, 지리산, 한라산 등이었다. 이 중 감소면적이 가장 큰 지역은 백운산 지역이었으며(감소면적 542 ha), 침엽수림이 대면적으로 집단화되어 있으면서 감소율이 가장 큰 지역은 한라산이었다(감소율 33.3 %). 제주 지역은 타 지역보다 온도상승이 가장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어 한라산이 기후변화 압력에 의한 산림생태계 취약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결과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아고산대 산림지역의 임상이 침엽수림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그 추세는 각 지역별로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전국적이고 장기적인 아고산 지역 침엽수림 변화 정보는 향후 지역별로 수행될 상세한 멸종위기 아고산 침엽수 정밀실태조사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