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우자태도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3초

배우자 사별여성들의 경험: Q 방법론 적용 - 2년 미만의 사별여성을 중심으로 - (Experience in Widow's Bereavement: Q Methodology - Widow Below 2 Years Bereavement -)

  • 양수;홍진의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2호
    • /
    • pp.80-87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Q-방법을 적용하여 배우자 사별여성들의 경험에 대한 주관성 유형을 확인하고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Q-모집단은 문헌고찰과 사별한지 2년 미만의 배우자 사별 여성 5인의 면담을 통하여 209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여 구성되었다. Q-표본은 Q-모집단 진술문들을 통합, 범주화한 후 자문을 거쳐 46개의 진술문으로 선정되었다. P-표본은 사별한지 2년 미만의 배우자 사별 여성 13인을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2004년 10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연구자가 개인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들 P-표본 대상자들은 Q-표본 진술문을 강제정규분포 방식으로 Q-분류하였다. 자료는 Quanl PC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배우자를 사별한 여성들의 경험은 2개의 유형 즉, 상실고통형과 수용적응형으로 분류되었다. 상실고통형은 비교적 젊은 나이의 남편과 예측하지 못한 사별을 한 후 얼마 되지 않는 여성들로, 이들은 남편의 빈자리를 정서적, 가정적, 사회경제적 영역에서 크게 느끼면서 불안감, 외로움, 죄책감 등이 높은 특성을 지녔다. 수용적응형은 어느 정도 예측된 고인의 죽음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며, 어려움을 신앙과 성숙으로 극복하여, 긍정적으로 세상을 대하며, 새로운 삶에 재적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 배우자를 사별한 여성들은 공통적으로는 모두 사별로 인한 슬픔과 고통을 느끼고 있었으나 죽음의 성격, 사별기간, 개인 성격과 영적상태에 따라 상실고통형과 수용적응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별가족관리 전문가들은 배우자를 사별한 여성들의 유형을 파악하여 각 유형에 맞는 사별돌봄 전략을 개발하여 섬세한 돌봄을 제공하여야 하겠다.

  • PDF

한국 민담에 나타난 대극의 합일 - <구렁덩덩 신 선비> 중심으로 - (Coniunctio Oppositorum in Korean Fairytale - <Gurungdungdung Sin Seonbi> -)

  • 李裕瓊
    • 심성연구
    • /
    • 제27권1_2호
    • /
    • pp.1-27
    • /
    • 2012
  •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민담에서 대극의 합일(coniunctio oppositorum, Vereinigung der Gegensötze), 신성혼(hieros gamos, göttliche Hochzeit) 주제를 다루어보는 것이다. 한국 민담 <구렁덩덩 신 선비>는 동물형상의 배우자를 맞이하는 민담 중의 하나이다. 특히 여성주인공이 남성의 동물 배우자를 맞이하는 민담이다. 이 민담은 아플레이우스(Apuleius)가 소개한 그리스 민담 <아모르와 프쉬케>와 그림 형제 모음 민담 <노래하며 날아오르는 종달새>와 비교할 수 있다. 민담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신성(神性)과 통한다. 동물들은 본능에 충실한 삶을 살기 때문에, 종(種)의 집단무의식의 법칙성을 고스란히 실현하고 있다. 1) 동물성은 자아중심적 태도가 배제되어 있어서 인간 이하의 본능적 측면뿐 아니라, 인간성을 초월한 신성도 함께 나타낸다. 민담에서 주인공이 동물이 되는 경우 개별적으로 지나치게 강조된 일방적 의식의 태도를 교정하고, 보편적 인간성을 획득할 기회가 된다. 동물이 되어 지내는 동안 주인공은 자연계의 다른 생명체의 의미와 가치를 알아차릴 수 있는 경험을 하기 때문에, 신이한 자연의 지혜를 획득하게 된다. 결국 동물 형상은 상징적으로 집단적, 보편적 삶의 가치를 실현하는 존재이므로, 자아의식에 치유적으로 작용하고, 전체성에 이르도록 기여한다. 민담의 동물 형상들은 모두 무의식의 보상적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 동물의 형상으로 등장하는 무의식의 내용들은 자아의식에 수용되기 어려운 본능적 충동으로 이해될 것이기 때문에 그 자체 의식에 대극적이다. 민담에서 다루는 대극의 합일은 자아의식에 의하여 어떻게 무의식적 정신이 수용되고 이해될 것인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주인공이 동물이 되는 것은 물론이고, 동물 배우자를 만나게 되는 것도 심한 의식 수준의 저하를 가져오는 심적 사건이다. 동물이었던 주인공이 인간성을 회복하는 것이나, 동물 배우자를 인간으로 변환하게 하는 일은 모두 의식 수준을 회복하는 작업에 해당한다. 동물에서 인간성의 회복이나 인간 수준으로 끌어올리게 될 때, 무의식의 보상적 내용이 의식의 삶에 반영될 수 있다. 민담 <구렁덩덩 신 선비>는 남성 배우자가 구렁이 형상을 하고 있다. 여성주인공이 구렁이를 신랑으로 맞이하여 혼인을 함으로써, 구렁이의 허물을 벗게 한다. 그리고 여러 시련을 겪어내고, 어려운 과제를 완수함으로써 진정한 남녀의 만남을 성공적으로 실현한다. 결과적으로 여성주인공이 신성을 획득하는 것이고, 동물 배우자와의 결합은 신성혼을 의미한다. 우리는 이 민담을 통하여 여성의 자아의식이 무의식과 관계하여 어떻게 대극의 합일 및 전(全)인격적 실현을 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다중역할 경험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ual-Earner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and Work-family Experience on Marrital Satisfaction)

  • 손보영;김수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326-333
    • /
    • 2020
  •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대한 이해를 위해 부부 각각의 성역할 태도, 다중역할 수행에서의 갈등과 향상의 경험이 자신과 배우자에게 미치는 상호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맞벌이 부부 95쌍, 총 190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 다중역할 경험 및 결혼만족도에 있어 부부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역할태도 및 다중역할 경험에 있어 부부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결혼만족도에 있어 남편이 아내보다 유의하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상호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부 간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남편의 경우 자신의 성역할태도, 자신의 다중역할 향상이 결혼생활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반면, 아내의 경우는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결혼생활 만족에 있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아내 자신의 다중역할 갈등이 결혼생활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관한 교육 및 프로그램에 있어 남편과 아내 각각의 영향과 상호간의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무배우자 남성의 표현적 성 대처행동이 성매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 '범죄억제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Expressive Sexual Coping Behavior on the Prostitution Attitude of Spouseless Men)

  • 전병주;김건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13-22
    • /
    • 2015
  • 본 연구는 대전, 세종, 충 남북 지역에 거주하는 배우자 없는 남성 286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그들의 표현적 성 대처행동이 성매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이 과정에서 범죄억제에 대한 인식 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성매매에 대한 태도는 보통수준 이상으로 관대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매매 태도는 조사대상자의 거주 지역, 교육수준, 건강상태, 근로활동 여부, 사회 참여 여부에 따라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매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수준, 건강상태, 근로활동 여부, 사회 참여 여부, 표현적 성 대처행동, 범죄억제에서의 공식적 비공식적 억제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범죄억제에서의 공식적 억제는 성 대처행동과 성매매 태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무배우자 남성의 성매매를 억제할 수 있는 통합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이용 결정 연구 : 개인차와 환경의 조절효과 중심 (Moderating Factors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eds and Social Service Utilizat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 한지은;이계승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1호
    • /
    • pp.133-161
    • /
    • 2018
  • 여성결혼이민자와 그 가족을 위해 많은 예산과 자원이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가 실제 도움을 필요로 하는 개인에게 전달되어지는지에 대한 보다 기초적 확인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및 한국생활지원에 대한 욕구를 지닌 여성결혼이민자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조절 요인을 규명하고, 향후 다문화 가족지원센터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2015년에 실시한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구사능력이 좋은 사람은 한국생활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으며, 한국어 구사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이민자는 욕구의 유무와 관계없이 센터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배우자와의 관계에 만족할수록 센터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고, 반면 한국인 배우자의 가부장적 태도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 (A Study on the Attitudes of Women Immigrants toward the Elderly)

  • 박지영;이창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70-5577
    • /
    • 2011
  • 이 연구는 592명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개인적, 한국 가족 및 모국 가족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와 이를 예측하는 변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010년에 진행하였으며, 조사도구는 Sanders 등의 노인에 대한 태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은 평균비교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성결혼 이민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연령, 거주지, 배우자의 교육수준, 가정소득, 모국 부모 부양 희망 및 모국 가족과의 연락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노인에 대한 태도의 설명력은 한국 가족 특성이 가장 높았으며, 예측변인은 연령, 거주지, 가정 소득, 모국 부모 부양 희망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가정소득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산시 초.충 교사들의 영양지식, 식생활 습관 및 영양태도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Attitud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Masan City)

  • 윤현숙;최윤선;이경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60-169
    • /
    • 2002
  • 본 연구는 마산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 227명을 대상으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생각되는 영양지식, 식생활 습관, 영양태도 및 건강에 대한 관심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여 교사들의 건강하고 활기찬 삶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을 두고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고사가 67%, 초등교사가 62.4%이였으며, 연령은 20대가 17.6%로 다소 낮고, 30대 27.3%, 40대 26.9%, 50대 이상은 28.2%로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그리고, 기혼인 교사가 85.4%로 대부분이었으며, 급식 학교 근무 교사가 67.9%, 배우자 직업이 있는 교사가 65.3%로 나타났다. 영양지식에서 인지된 지식은 85.2%, 정확도는 76.2%로 나타나 교사들이 알고 있는 지식의 23.8%는 잘못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영양지식 정답율은 65.5%로 나타났다. 영양지식 점수는 20점 만점에 전체평균이 13.1$\pm$3.3점이며, 여교사(p<0.001), 초등교사(p<0.05), 30대 교사(p<0.01), 급식교 근무교사(p<0.05), 배우자 직업이 있는 교사(p<0.01)의 영양지식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생활습관 점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72.6$\pm$8.9점으로 'good'에 속하였고, 초등교사(p<0.01), 50대 이상의 교사(p<0.001), 기혼인 교사(p<0.01), 급식교 근무 교사(p<0.01),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교사(p<0.05)의 식생활 습관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식생활 습관이 더 좋았으며, 영양상태 점수는 평균 70.8$\pm$7.7 점으로 'good'으로 나타났으며, 여교사(p<0.001), 초등교사(p<0.05), 30대 교사(p<0.001), 배우자 직업이 있는 교사(p<0.01)의 영양태도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영양지식, 식생활 습관, 영양태고간의 상관 관계에서는, 식생활 습관과 영양 태도간의 양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고(r=0.4, p<0.001), 영양지식과 영양 태도간에도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3, p<0.01). 그러나 영양지식과 식생활 습관간에는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교사들의 영양지식 향상에 필요한 교육의 기회 확대가 필요하며, 또한 영양지식이 식생활 습관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교사자신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문화 가정 부모의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s Sex-role Attitude on Parent-child Relationship in Multicultural Familie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71-179
    • /
    • 2017
  •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의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부모의 커플자료 분석을 위해 여성가족부의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대상 중 만 5세 이하 자녀를 두고,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남성으로 구성된 5,531쌍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0.0과 AMO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모형 검증 방법에 기초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평등한 성 역할태도를 가질수록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과 간 크기 비교 결과, 어머니보다는 아버지의 경우 성 역할 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아버지의 성 역할태도는 어머니-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있는 반면, 어머니의 성 역할태도가 아버지-자녀관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상대방효과 보다는 자기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배우자의 성 역할태도 보다는 자신의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다문화 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 교육 시 평등한 성 역할태도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본 연구는 아버지의 경우에도 평등한 성 역할태도가 긍정적 자녀관계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경험과학적 증거를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노화에 대한 태도가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유배우노인과 무배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s Aging on Successful Aging: The Differences between Single and Couple Aged Family)

  • 홍성희;곽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77-9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88 seniors living in the Jeonbuk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s and a path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ir marital status. Second,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ith a spouse was influenced by personal variables, such as their own perception of economic status, gender, education level and physical condition. In contrast,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ithout a spouse was most influenced by social variables, such as family support. Third, the attitude towards aging directly affected successful aging. Various pers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directly affected successful aging via attitudes towards aging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 spouse.

20, 30대 이혼 남녀의 이혼과 이혼 후 적응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Divorce and Post-Divorce Adjustment of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 옥선화;성미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41-160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vorce and post-divorce adjustment of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explored the sex differences. For this empirical analys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30 divorc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liv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Sep. 23rd to Oct. 20th, 2002. Th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dealt with demographic information and other sca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project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en and women experienced a similar level of pre-divorce conflicts, women were more likely to want to divorce. Second, although women had wor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 and more difficult problems than men after divorce, women more readily accepted their divorce reality than men. Divorce was not the best but the second best way to escape from a bad marriage for women. The results of the current research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e-marital preparation and divorce adjustment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