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설량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4초

Phytase 첨가가 임신돈과 포유돈의 분뇨 배설량 및 질소와 인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Phytase on Nitrogen and Phosphorus Excretion of Gestating and Lactating Sows)

  • 황보종;홍의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4호
    • /
    • pp.291-297
    • /
    • 2012
  • 본 시험은 임신돈과 포유돈의 phytase 첨가 유무에 따른 섭취량, 분뇨 배설량 및 질소와 인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3원 교잡종(Yorkshire ${\times}$ Landrace ${\times}$ Duroc) 임신돈 12두와 포유돈 12두를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phytase의 첨가 유무(0, 750 FTU/kg)에 따라 임신돈 2 처리구, 번식돈 2처리구로 나누고, 처리구당 6반복, 반복당 1두씩 나누어 각각 12두씩 총 7일 동안 수행하였다. 시험개시시 임신돈과 포유돈의 체중은 각각 $208.9{\pm}13.8$ kg과 $190.5{\pm}22.9$ kg 이었다. 임신돈의 경우, 사료의 섭취량은 phytase 첨가구에서 높았으며(P<0.05), 음수량과 총 배설량은 phytase 첨가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포유돈의 경우, 사료 섭취량과 음수량 및 총 배설량은 임신돈과 마찬가지로 처리구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다. 임신돈의 질소 섭취량은 phytase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질소 배설율은 phytase 첨가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P>0.05). 포유돈의 경우, 질소의 섭취량과 배설량, 배설율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임신돈의 인 배설량과 배설율은 phytase 첨가구에서 크게 감소하였다(P<0.05). 포유돈의 경우, 인의 섭취량과 배설량 phytase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P>0.05), 인 배설율은 phytase 첨가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낮았다(P<0.05). 따라서 임신돈과 포유돈 사료에 phytase 첨가는 인 배설량 감소에 효과가 있다.

일부 산업체 근로자의 Potassium 섭취에 관한 연구 (Potassium Intakes of Some Industrial Workers)

  • 윤영옥;김을상;노희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4호
    • /
    • pp.344-349
    • /
    • 1991
  • 산업체 근로자의 potassium 섭취상태와 배설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H타이어 공장에 근무하는 건강한 성인남자 40명을 대상으로 3일간 식사 분석과 뇨 분석을 행하였다. 대상자들의 3일동안 평균 potassium 섭취량은 $54.5\pm16.7mEq/day(2.13\pm0.64g)$이었고, 24시간동안 뇨 중의 potassium 배설량은 $45.9\pm10.5mEq/day(1.77\pm0.41g)$로 소변중 배설은 83%정도였다. Na와 K의 섭취비율은 $4.15\pm0.58$인 반면에, 뇨 중 배설비율은 $5.20\pm1.11$이었다. 1일 섭취하는 potassium의 주요 급원은 밥 중에서 콩 밥, 국 종류에서는 감자된장국, 반찬류에서는 삼치무조림과 묵야채무침이었다. 단백질 섭취량과 K 섭취랑, N 배설량과 K 배설량, N 배설량과 Na 배설량, K 섭취량과 Na 섭취량, 그리고 K 배설량과 Na 배설량간에 모두 유의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 PDF

착유우의 사료섭취량과 음수량이 산유량과 분뇨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 Intake and Water Consumption on Milk Yield and Manure Production in Milking Cows)

  • 최동윤;곽정훈;박치호;정광화;김재환;유용희;양창범;최홍림;안희권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8
    • /
    • 2007
  • 본 실험은 우리나라에서 사육되고 있는 홀스타인 젖소 착유우의 사료 섭취량과 음수량이 산유량과 분뇨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은 착유우 10두를 공시하여 수원의 축산연구소 낙농우사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4계절에 걸처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에 공시된 착유우의 건물섭취량은 평균 19.5kg으로 봄과 가을이 각각 23.9, 22.1kg으로 높았고, 여름과 겨울이 각각 17.0, 15.3 kg으로 낮은 섭취량을 보였다. 2. 착유우의 음수량은 평균 $77.2\ell$로, 여름이 $85.5\ell$로 가장 많았고 겨울이 $62.2\ell$로 가장 낮았으나 계절별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3. 착유우의 산유량은 평균 26.0kg으로 봄, 여름, 가을 및 겨울이 각각 30.8, 24.0, 25.4, 23.7kg으로 봄의 산유량이 가장 높았다(p<0.05). 4. 착유우의 분뇨 배설량을 계절별로 조사한 결과, 봄 64.4kg, 여름 63.5kg, 가을 60.4kg, 겨울 51.0kg으로 계절 간에 차이를 보였으며(p<0.05), 전체 평균 분뇨 배설량은 59.8kg이었다. 5. 착유우의 사료섭취량, 음수량, 산유량 및 분뇨 배설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산유량과 음수량$(R^2=0.7742)$, 산유량과 사료 섭취량$(R^2=0.7459)$, 음수량과 뇨 배설량 $(R^2=0.7422)$, 사료 섭취량과 분 배설량$(R^2=0.6044)$, 산유량과 분 배설량$(R^2=0.692)$의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았으나, 음수량과 분 배설량$(R^2=0.2950)$, 사료 섭취량과 뇨 배설량$(R^2=0.1985)$, 산유량과 뇨 배설량$(R^2=0.2335)$의 상관관계는 낮게 나타났다. 6. 따라서 산유량과 음수량, 산유량과 사료 섭취량의 상관관계식은 $Y=0.1919X_1+11.181(R^2=0.7742),\;Y=0.8568X_2+9.3067(R^2=0.7459)$(Y=milk yield $X_1=water$ consumption, $X_2=feed$ intake)로 추정할 수 있다.

  • PDF

사료 내 Phytase 첨가가 산란계의 분뇨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Phytase on the Excreta Excretion of Laying Hens)

  • 홍의철;나승환;유동조;김학규;박미나;정기철;추효준;박희두;정완태;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7-264
    • /
    • 2009
  • 본 시험은 사료 내 phytase 첨가가 산란계의 분뇨 배설량 및 질소와 인의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닭은 1일령 ISA Brown종 산란계(평균체중 $44.7{\pm}1.5\;g$) 360수이며, 65주령에 걸쳐서 분뇨 배설량 및 55주령에서 phytase의 첨가에 따른 총 배설량과 질소와 인의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 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육계 사료를 육성기와 산란기로 분류하고, 육성기는 초생추(0~5주령), 중추(5~12주령), 대추(12~16주령)와 산란 전(16주령~초란), 산란기는 산란 초기(초란~32주령), 전기(32~45주령), 후기(45~55주령), 말기(55주령~)로 나누어 급여했다. Phytase의 첨가에 따른 55주령의 산란계 총 배설량 및 질소와 인의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후기 기초사료에 phytase(0, 300, 600 FTU/kg)를 첨가하여, 총 3처리구, 처리구당 10수씩 대조구와 유사한 체중별로 선별하여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산란계의 전 시험기간 중 평균 체중과 사료 섭취량, 음수량 및 분뇨 배설량은 각각 1,622 과 105.7 g, 187.2 mL 및 124.7 g/수/일로 조사되었다. Phytase의 첨가에 따른 분뇨 배설량은 건물(33.2, 31.2, 30.5 g/일) 및 질소(0.46, 0.42, 0.40 g/일)와 인(0.51, 0.49, 0.48 g/일)으로서 Phytase의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phytase의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건물 분뇨 배설량에서 phytase 무첨가구와 300 FTU/kg phytase 첨가구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을 통하여 산란계의 총 배설량 및 질소와 인의 배설량을 조사하고, 단기간의 phytase 첨가도 산란계의 분뇨 배설량 및 질소와 인의 배설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구 시내 및 근교 농촌지역 노년기 여성의 리보플라빈 배설량 연구 (A Study on Urinary Riboflavin Excretion of Elderly Women in Taegu and Rural Area in the Suburbs of Taegu)

  • 임화재;윤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4-340
    • /
    • 1992
  • 노년기 여성들의 일상적인 활동상황과 그와 관련된 리보플라빈 생화학적 영양상태에 관한 연구하기 위해 일상적인 생활양식이 다른 대구 시내와 근교 농촌지역의 여자노인들의 활동상황 및 영양소 섭취량,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대상노인들의 일일 리보플라빈 평균 섭취량은 0.92mg으로 권장량에 매우 미달되었다. 반면에 소변중 리보플라빈 평균 배설량은 $175.6\mu\textrm{g}/24hr$으로 영양불량 판정 기준치보다 높아 리보플라빈 생화학적 영양상태는 평균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대상노인들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활동강도(p<0.005), 에너지 소비량(p<0.005), 크레아티닌 배설량(p<0.005)은 상당히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연령증가와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은 에너지 소비량 및 활동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리보플라빈 섭취량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도시와 농촌여자노인들간에 리보플라빈 섭취량, 에너지 섭취량, 단백질 섭취량 등 식이섭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에너지 소비량(p<0.005), 활동강도(p<0.005),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p=0.053) 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농촌 여자노인들의 경우 도시 여자노인들보다 에너지 소비량, 활동강도가 유의하게 많았던 반면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은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리보플라빈 생화학적 영양상태는 활동량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활동량이 많을 경우 리보플라빈 섭취량을 증가시켜야함을 시사한다.

  • PDF

사료내 Phytase 첨가가 육성비육돈의 생산성과 분뇨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Phytase on Growth Performance and Excreta Excretion of Growing-Finishing Pigs)

  • 황보종;홍의철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sup호
    • /
    • pp.35-42
    • /
    • 2011
  • 본 시험은 사료내 phytase 첨가가 육성비육돈의 생산량과 분뇨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3원 교잡종 (Yorkshire ${\times}$ Landrace ${\times}$ Duroc) 육성비육돈 80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는 phytase 첨가 유무에 따른 2처리구,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8수씩을 육성비육돈의 체중 (50, 80, 110 kg)에 따라 3단계로 나누어 phytase 첨가 유무 (0, 500 FTU/kg)와 육성 비육돈 성장 3단계 (육성I기, 육성II기, 비육기)의 $2{\times}3$ 복합요인으로 7일간씩 수행하였다. 육성비육돈의 성장 단계에 따른 개시체중은 각각 $58.6{\pm}3.9$, $83.2{\pm}3.8$$111.4{\pm}5.4kg$ 이었다. 증체량은 phytase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높았으며 (P<0.01), 성장 단계별로 보면 육성II기의 증체량이 가장 높고, 비육기의 증체량이 가장 낮았다(P<0.05). 사료요구율은 phytase 무첨가구가 첨가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비육기의 사료요구율이 가장 높았다 (P<0.05). 사료섭취량과 음수량은 성장 단계와 phytase 첨가 유무에 따른 섭취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분의 배설량은 성장 단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p<0.05), phytase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p<0.01). 뇨의 배설량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질소와 인의 섭취량은 phytase 첨가 유무와 성장 단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질소의 배설량은 phytase와 성장 단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인의 배설량은 phytase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 질소와 인의 배설율은 phytase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P<0.05).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이 난소절제한 흰쥐에서 Daidzein과 Genistein의 뇨와 변 중 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 Isoflavone Intake on Urinary and Fecal Excretion of Daidzein and Genistein in Ovariectomized Rats)

  • 남혜경;김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7-3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16주령 암컷 흰쥐를 대상으로 이소플라본의 함량이 다른 세 종류의 식이를 6주간 공급한 후 뇨와 변에서 daidzein과 genistein의 배설량을 측정하여 생체 이용성을 살펴보고 난소절제 여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식이 내 이소플라본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변 중 daidzein 배설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섭취량에 따른 반응의존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난소절제여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변 중 genistein의 배설량도 이 소플라본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HI군에서 비교해보면 난소절제시 sham수술보다 변 중 배설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변 중 회수율의 경우에는 배설량과 같은 섭취량에 비례적인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난소절제 여부에 따른 차이도 뚜렷하지 않았다. 뇨 중 daidzein의 배설량은 변 중 배설량과 마찬가지로 sham과 난소절제 모두에서 이소플라본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난소절제 여부에 따른 뇨 중 이소플라본의 배설량을 보면 LI, MI, HI군에서 daidEein의 배설량은 sham에 비해 난소절제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genistein의 배설량도 LI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뇨 중 회수율을 보면 sham에서 LI군에 비해 Ml와 Hl군에서 회수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는데, 난소절제의 경우에는 이소플라본의 수준에 따른 회수율의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회수율은 난소절제에서 sham에 비해 LI와 MI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그러므로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이 증가하면 뇨와 변을 통한 이소플라본의 배설은 한국인의 일상적 섭취수준의 10배 범위에서는 섭취량에 의존적임을 알 수 있으며, 난소절제를 하였을 경우 뇨와 변을 통한 배설량을 감소시켜서 더 많이 체내에서 이용함을 알 수 있었다. 섭취량이 증가하면 sham수술의 경우에는 뇨 중 회수율이 감소함에 비해 난소절제에서는 회수율이 동일하고 LI와 MI군에서는 유의적으로 sham에 비해 회수율이 낮으므로 난소절제모델에서는 이소플라본의 생체이용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볼 때 난소호르몬의 분비가 없는 폐경 후 여성에게는 이소플라본의 섭취가 호르몬으로서의 효과가 뚜렷할 것으로 짐작되며 이소플라본의 보충섭취를 권장한다.

일반인구에서 유전자 다형성이 요중 1-hydroxy-pyrene 및 2-naphthol의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 황문영;조병만;문성배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5년도 봄 학술발표회지 제14권(제1호)
    • /
    • pp.276-277
    • /
    • 2005
  • PHAs와 같은 유해유기화학물질의 환경노출에 따른 건강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요중대사산물의 배설량, 유전적감수성 등의 생체지표분석법을 동시에 측정하여 정확한 노출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업적, 비직업적 노출인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흡연, 음주, 식이 등의 생활습관과의 상호관련성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비교적 소량의 PAHs에 노출되는 일반인구에서 요중 1-OHP 및 2-naphthol의 배설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흡연이었으며 요중 1-OHP의 배설량은 음주여부, GSTM1 유전자의 다형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흰쥐와 마우스에서 Ethanol이 요중 트리클로로에틸렌 대사산물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Species Differences in Effect of Ethanol to Urinary Metabolites Excretion of Trichloroethylene in Mice and Rats)

  • 강은용;박정덕;홍연표;장임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4호
    • /
    • pp.680-691
    • /
    • 1998
  • 본 연구는 흰쥐와 마우스에서 TCE 경구투여 후 주대사산물인 TCE-OH와 TCA의 요중 배설량과 시간에 따른 배설량의 변화와 이에 대한 ethanol의 영향 및 종간의 차이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CE 경구 투여 후 요중 TTC 배설양상은 실험동물의 종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흰쥐에서는 TTC 배설량이 투여량에 따라 증가하다가 체중 kg당 1,000 mg 용량 이상에서 포화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마우스에서는 2,000 mg까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투여용량에 따른 TTC 배설 량은 흰쥐보다 마우스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2. TCE 투여 후 경과시간에 따른 대사산물 배설양상은 종이나 투여용량에 관계없이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TCE-OH는 12시간에서 거의 대부분$(82.8\sim87.6%)$이 배설되었으며, TCA는 12 시간 $(39.2\sim41.6%)$과 24시간$(33.4\sim36.6%)$에 최고치를 보였고 그 후 서서히 배설되었다. 3. Ethanol 전처치시 횐쥐에서는 TTC와 TCE-OH 배설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1), TCA 배설량은 증가하지 않았다. 마우스에서는 TTC, TCE-OH 및 TCA 배설량 모두 ethanol 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에스트로겐/칼슘 혼합요법이 난소절제 쥐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II. 칼슘, 인 및 질소대사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Combined Estrogen/calcium Therapy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II. A Study on Metabolism of calcium, Phosphorus and Nitrogen in Ovariectomized Rats)

  • 이경화;오승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06-1015
    • /
    • 1996
  •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에게 식이 칼슘염 형태, 에스트로겐 및 에스트로겐/칼슘 혼합요법이 칼슘, 인 및 질소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난소절제쥐를 이용한 총 9군으로 분류하여 6주간 사육한 후,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였고, 이로부터 흡수율과 평형상태를 구하였다.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의 칼슘 섭취량은 비슷하였으나 소변으로의 칼슘 배설이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난소절제 후 estrogen투여 및 estrogen/칼슘 혼합 투여군에서의 소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대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난소절제 후 estrogen을 투여한 결과 대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은 감소하였다. 고칼슘을 투여한 군들 모두에서 대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이 현저히 높았다. 칼슘의 외견적 흡수율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 비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난소절제 후 고칼슘을 투여한 군들에 비해 난소절제 후 estrogen을 투여한 군이 난소절제 군에 비해 외견적 흡수율이 증가하였다. 칼슘 평형은 난소절제 후 고칼슘을 투여한 군들에서 난소를 절제한 군 보다 유의하게 높은 양의 칼슘 평형상태를 보였다.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의 소변으로의 인 배설은 난소를 절제한 군이 다소 증가하였다. 난소절제 후에 고칼슘 투여, estrogen 투여, estrogen/칼슘 혼합 투여군에서의 소변으로의 인 배설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의 대변으로 인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이 많았으며 난소절제 후 estrogen 투여군에서는 대변으로의 인 배설량이 다른 군 보다 적었다. 난소절제 후 고칼슘 투여군에서는 대변으로의 인 배설이 다소 증가한 경향이었다. 인의 평형상태도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난소절제 후 고칼슘 투여, estrogen 투여, estrogen/칼슘 혼합 투여 및 estrogen점진적 감소와 고칼슘 투여에 의한 효과로는 인의 평형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 비해서는 평형이 현저히 낮았다.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 소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유의 하게 높았으며 난소절제 후 estrogen, estrogen/칼슘 혼합 투여, estrogen 점진적 감소와 칼슘 점진적 증가군에서 각각 배설량이 감소하였다. 대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Estrogen투여에 의해 대변으로의 질소 배설이 감소하였다. 고칼슘 투여군들은 대변으로의 질소배설이 높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난소절제로 인해 칼슘, 인, 질소 평형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낮아졌다. 난소를 절제한 군에 비해 난소절제 후 고칼슘 투여, estrogen/칼슘 혼합, estrogen 점진적 감소와 칼슘 점진적 증가군에서 칼슘 평형을 증가 시켰다. 그러나 인과 질소 평형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