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설(排設)

검색결과 1,085건 처리시간 0.027초

Phytase 첨가가 임신돈과 포유돈의 분뇨 배설량 및 질소와 인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Phytase on Nitrogen and Phosphorus Excretion of Gestating and Lactating Sows)

  • 황보종;홍의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4호
    • /
    • pp.291-297
    • /
    • 2012
  • 본 시험은 임신돈과 포유돈의 phytase 첨가 유무에 따른 섭취량, 분뇨 배설량 및 질소와 인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3원 교잡종(Yorkshire ${\times}$ Landrace ${\times}$ Duroc) 임신돈 12두와 포유돈 12두를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phytase의 첨가 유무(0, 750 FTU/kg)에 따라 임신돈 2 처리구, 번식돈 2처리구로 나누고, 처리구당 6반복, 반복당 1두씩 나누어 각각 12두씩 총 7일 동안 수행하였다. 시험개시시 임신돈과 포유돈의 체중은 각각 $208.9{\pm}13.8$ kg과 $190.5{\pm}22.9$ kg 이었다. 임신돈의 경우, 사료의 섭취량은 phytase 첨가구에서 높았으며(P<0.05), 음수량과 총 배설량은 phytase 첨가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포유돈의 경우, 사료 섭취량과 음수량 및 총 배설량은 임신돈과 마찬가지로 처리구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다. 임신돈의 질소 섭취량은 phytase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질소 배설율은 phytase 첨가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P>0.05). 포유돈의 경우, 질소의 섭취량과 배설량, 배설율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임신돈의 인 배설량과 배설율은 phytase 첨가구에서 크게 감소하였다(P<0.05). 포유돈의 경우, 인의 섭취량과 배설량 phytase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P>0.05), 인 배설율은 phytase 첨가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낮았다(P<0.05). 따라서 임신돈과 포유돈 사료에 phytase 첨가는 인 배설량 감소에 효과가 있다.

염분변화에 따른 황복의 산소소비와 암모니아 질소배설

  • 이정열;김덕배;성용식;송희진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02-102
    • /
    • 2003
  • 황복(Takifugus obscurus)은 주로 황해에 분포하며 봄철에 서해안으로 흐르는 금강, 한강 및 임진강으로 소상하여 강의 중상류에서 산란하는 소하성어류이다. 특히 황복은 바다와 하천을 오고 가는 관계로 해수뿐만 아니라 민물에서도 양식이 가능한 어종으로 다른 소하성어류와 마찬가지로 염분변화에 따른 삼투조절능력이 매우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황복이 급격히 염분을 달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생리적 반응을 산소소비량과 암모니아 질소배설량의 변화로 염분변화에 따른 생리적 적응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황복은 전장 10cm(체중 15~25g) 전후의 치어로서 염분 32, 22, 12, 및 2 ppt로 조절되어 있는 FRP수조(500 L)에서 2개월간 사육 후, 각기 염분을 달리한(32, 22, 12, 2 ppt) 호흡측정 장치에 황복을 수용하여 산소소비량과 암모니아 질소배설량을 측정하였다. 한편, 사육 시스템내에서의 산소소비와 암모니아 질소의 배설경향을 보기 위하여 염분 16ppt에서 산소소비량과 암모니아 질소배설량을 25시간 관찰하였다. 산소소비 경향은 대체로 염분이 낮을수록 높은 산소소비 경향을 보였는데, 실험염분 32ppt에서는 2~32ppt 사육군 모두 다른 실험염분(22, 12, 2 ppt) 사육군보다 안정되고 낮은 산소소비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험염분 22, 12 및 2 ppt에서는 각기 실험염분과 동일한 염분 사육군에서 가장 높은 산소소비량을 나타낸 반면 32 ppt 사육군은 모든 실험염분에서 가장 낮은 산소소비량을 나타내었다. 암모니아 질소의 배설경향은 실험염분 2 ppt를 제외하고는 2 ppt 사육군에서 가장 높은 질소 배설율을 보였으나, 실험염분 2 ppt에서는 오히려 현저히 낮은 암모니아 질소 배설율을 나타내었다. 저 염분(2, 12 ppt)에서 사육한 황복은 22 및 32 ppt에서 사육된 황복에 비해 저염분에 노출될 경우 삼투조절을 위해 암모니아 배설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사육 시스템내에서 조사된 산소소비와 암모니아 질소 배설경향은 섭이와 관련하여 일간리듬을 보였는데, 산소소비는 섭이 3시간 후에 최고를 보였으며 암모니아 질소 배설은 섭이 4시간 후에 각각 최고를 나타내었다.

  • PDF

일부 산업체 근로자의 Potassium 섭취에 관한 연구 (Potassium Intakes of Some Industrial Workers)

  • 윤영옥;김을상;노희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4호
    • /
    • pp.344-349
    • /
    • 1991
  • 산업체 근로자의 potassium 섭취상태와 배설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H타이어 공장에 근무하는 건강한 성인남자 40명을 대상으로 3일간 식사 분석과 뇨 분석을 행하였다. 대상자들의 3일동안 평균 potassium 섭취량은 $54.5\pm16.7mEq/day(2.13\pm0.64g)$이었고, 24시간동안 뇨 중의 potassium 배설량은 $45.9\pm10.5mEq/day(1.77\pm0.41g)$로 소변중 배설은 83%정도였다. Na와 K의 섭취비율은 $4.15\pm0.58$인 반면에, 뇨 중 배설비율은 $5.20\pm1.11$이었다. 1일 섭취하는 potassium의 주요 급원은 밥 중에서 콩 밥, 국 종류에서는 감자된장국, 반찬류에서는 삼치무조림과 묵야채무침이었다. 단백질 섭취량과 K 섭취랑, N 배설량과 K 배설량, N 배설량과 Na 배설량, K 섭취량과 Na 섭취량, 그리고 K 배설량과 Na 배설량간에 모두 유의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 PDF

서시천에서 수달(Lutra lutra) 배설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Feces Distribution of Otter(Lutra lutra) Population in Seosi Stream)

  • 김우열;진선덕;빙기창;박치영;이두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118-127
    • /
    • 2010
  • 본 연구는 전남 구례군 서시천에서 수달 배설물의 분포특성과 밀도를 조사한 것이다. 조사는 7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6회에 걸쳐 배설지점수, 구배설물수, 신배설물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전 구간에서 배설지점수 222지점, 구배설물수 662개(60일 환산 718개), 신배설물수 364개가 관찰되었고 이들 모두 1월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500m 거리당 평균밀도는 배설지점수가 26.9지점, 구배설물수가 88.6개, 신배설물수가 44.4개로 나타났다. 이들에 대하여 각각 구간별 비율의 월 변동을 분석한 결과 수달이 연중 특별히 선호하는 구간은 없으며 서시천의 전 구간을 고루 이용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자동배설처리기 기술 및 상품화 현황 (Technical and Commercialization Status of Urine and Feces Disposal Systems)

  • 고은주;박상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69-175
    • /
    • 2015
  • 자동배설처리기는 현재 배뇨 혹은 배변 장애가 있는 노인들에게 사용되고 있는 기저귀를 대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장치들은 소변이나 대변을 감지하고, 본체에서 운반된 세정수로 배설기관들을 씻어주고, 이 배설물을 본체의 오물 저장용기에 흡입하여 보관하였다가 버릴 수 있도록 하며, 배설기관 주위를 본체에서 공급하는 온풍으로 건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치들은 간병인의 수고를 경감시키고 환자의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변과 대변을 감지하는 장치와 자동배설처리기의 주요 구조를 살펴보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동배설처리 장치들을 기기별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자 하였다.

  • PDF

한국산 선발 계통, 일본산 양식 계통 그리고 이들 두 계통간 잡종 참돔 집단의 암모니아성 질소 배설 및 분 배출

  • 오승용;노충환;홍경표;김종만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00-100
    • /
    • 2003
  • 양식 산업에 있어 사육 생물의 빠른 성장은 가장 요구되는 특성이다. 특히, 선발육종을 통한 성장 개선은 사료의 효율적 이용과 연관되어 있으며, 균형 잡힌 단백질 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경골어류는 단백질 대사의 마지막 부산물로 암모니아를 생성하여 배설하며, 이를 통한 사료 내 단백질의 효율적 이용성을 비교하는 척도로 제시되어 왔다(Ming, 1985).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선발육종 해 온 참돔과 일본 양식산 참돔 및 이들의 교배 자손들을 대상으로 일간 먹이 공급, 절식 그리고 1회 만복 공급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배설률을 조사하였으며, 일간 먹이 공급에 따른 각 교배 자손들의 분 배출 특성을 알아보았다. 실험어는 일본 양식산인 JPN 교배구 자손과 한국해양연구원 선발육종산인 KORDI F4 교배구 자손, 그리고 JPN$\times$KORDI F4♂ 교배구 자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체중이 각각 17.1$\pm$0.1 g (JPN 교배구; 그룹 1), 17.7$\pm$0.1 g (JPN♀$\times$KORDI F4♂; 그룹 2), 21.5$\pm$0.1 g (KORDI F4; 그룹 3)인 참돔 치어를 각각 15마리씩 3반복 수용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어는 지름이 33 cm이고 높이가 34 cm인 둥근 투명 플라스틱 수조에 수용하고 분 수집기인 TUF column (passing effluent water through a special test tube) system을 이용 어체중의 3%에 해당하는 사료 량을 일간 세 번에 나누어 동일량을, 09시부터 17시까지 4시간 간격으로 공급한 14일째에 일간 먹이 공급에 따른 24시간 동안의 참돔 종간 잡종 치어의 총암모니아성 질소(total ammonia nitrogen, TAN) 배설률 및 분 배출률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가 끝난 후 3일간 절식시킨 다음 내인성 암모니아성 질소 배설을 조사하였으며, 이어서 1회 만복 사료 공급한 다음 이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배설 경향을 알아보았다. 일간 먹이 공급에 따른 각 실험구의 암모니아 배설은 세 가지 계통 참돔치어 모두 먹이 섭취 후 암모니아 배설로 인한 TAN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간당 TAN 배설률을 적분한 결과, 그룹 1과 2 그리고 3의 일간 TAN 배설률은 각각 637.3$\pm$36.5 mg/kg fish/day, 684.3$\pm$18.5 mg/kg fish/day 그리고 772.8$\pm$17.3 mg/kg fish/day로 나타나 그룹 3의 일간 TAN 배설률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3일간 절식 후 그룹 1, 2, 그리고 2의 TAN 배설률은 각각 8.08~14.15 mg/kg fish/hr, 6.50~12.20 mg/kg fish/hr, 그리고 6.67~8.60 mg/kg fish/hr의 범위를 보여 거의 일정한 농도로 나타났다. 시간당 TAN 배설률을 적분한 결과, 그룹 1, 2 그리고 3의 일간 TAN 배설률은 각각 286.9$\pm$28.3 mg/kg fish/day, 215.7$\pm$5.5 mg/kg fish/day 그리고 179.3$\pm$7,7 mg/kg fish/day로 나타나 먹이 공급과는 달리 내인성 TAN 배설의 경우 그룹 1의 배설률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1회 만복 먹이 공급에 따른 TAN 배설 경향은 그룹 1과 2의 TAN 배설률은 먹이 공급 6시간 후 가장 높은 값인 44.19$\pm$2.90 mg/kg fish/hr와 41.70$\pm$1.40 mg/kg fish/hr을 보였고, 그룹 3에서는 4시간 후에 가장 높은 값인 31.23$\pm$1.39 mg/kg fish/day로 나타났다. 일간 먹이 공급에 따른 각 실험구의 총 분 배출량은 그룹 1의 경우 총 분 배출량은 2.17$\pm$0.1 g/kg fish와 91.15$\pm$4.53 g/kg feed로 나타났고, 그룹 2에서는 2.26$\pm$0.14 g/kg fish와 95.02$\pm$3.18 g/kg feed, 그룹 3에서는 2.81$\pm$0.73 g/kg fish와 132.85$\pm$34.0 g/kg feed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05), 그룹 3의 배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경과에 따른 분 배출 비율은 그룹 1의 경우 먹이 공급 24시간 후 총 분의 60.6%를 보여 반면, 그룹 2와 3에서는 각각 67.8%와 77.8%를 보여 그룹 1이 다른 그룹에 비해 분 배출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흰쥐와 마우스에서 Ethanol이 요중 트리클로로에틸렌 대사산물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Species Differences in Effect of Ethanol to Urinary Metabolites Excretion of Trichloroethylene in Mice and Rats)

  • 강은용;박정덕;홍연표;장임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4호
    • /
    • pp.680-691
    • /
    • 1998
  • 본 연구는 흰쥐와 마우스에서 TCE 경구투여 후 주대사산물인 TCE-OH와 TCA의 요중 배설량과 시간에 따른 배설량의 변화와 이에 대한 ethanol의 영향 및 종간의 차이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CE 경구 투여 후 요중 TTC 배설양상은 실험동물의 종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흰쥐에서는 TTC 배설량이 투여량에 따라 증가하다가 체중 kg당 1,000 mg 용량 이상에서 포화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마우스에서는 2,000 mg까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투여용량에 따른 TTC 배설 량은 흰쥐보다 마우스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2. TCE 투여 후 경과시간에 따른 대사산물 배설양상은 종이나 투여용량에 관계없이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TCE-OH는 12시간에서 거의 대부분$(82.8\sim87.6%)$이 배설되었으며, TCA는 12 시간 $(39.2\sim41.6%)$과 24시간$(33.4\sim36.6%)$에 최고치를 보였고 그 후 서서히 배설되었다. 3. Ethanol 전처치시 횐쥐에서는 TTC와 TCE-OH 배설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1), TCA 배설량은 증가하지 않았다. 마우스에서는 TTC, TCE-OH 및 TCA 배설량 모두 ethanol 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흰쥐를 이용한 profenofos의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 측정 (Determination of Urinary Metabolite of Profenofos after Oral Administration and Dermal Application to Rats)

  • 민경진;조영주;이인선;차춘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25
    • /
    • 2002
  • 흰쥐를 이용하여 profenofos의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과 뇨 중 대사물질의 시간별 배설량을 GC/MS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rofenofos를 경구투여 후 뇨 중 대사물질은 4-bromo-2-chloropheno이며, GC/MS로 분석한 결과 4-bromo-2-chlorophenol는 m/z=208에서 분자이온을 추정하였다. Profenofos를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은 경구투여와 동일한 대사물질인 4-bromo-2-chloropheno이었다. 모 화합물이나 4-bromo-2-chlorophenol외 다른 대사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Profenofos를 경구투여 후 뇨 중 대사물질인 4-bromo-2-chlorophenol의 시간별 배설량은 12시간에 가장 많은 양이 배설되었다. 또한 48시간 내 95%가 배설되었고 72시간 이후는 대사물질이 배설되지 않았다. 한편 profenofos를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인 4-bromo-2-chlorophenol의 시간별 배설량은 12시간에 가장 많은 양이 배설되었으며, 48시간 내 87%가 배설되었고 96시간 이후는 대사물질이 배설되지 않았다. Profenofos 의 뇨 중 대사물질인 4-bromo-2-chlorophenol는 profenofos의 생체모니터링 지표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뇨 중 4-bromo-2-chlorophenol의 시간별 배설량을 측정한 결과 경구투여보다 피부도포 후 배설이 지연된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매패의 질소배설 2. 굴 (NITROGEN EXCRETION IN THE BIVALVE MOLLUSCS)

  • 진평;이복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93-296
    • /
    • 1979
  • 굴(Crassostrea gigas)의 질소배설과 산소소비에 미치는 수온 및 염분의 상호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굴은 수온과 염분변화에 따라 질소배설율과 배설암모니아 및 아미노산간의 배설비에 현저한 변동을 보였으며 산소소비량에도 역시 많은 변동을 보였다. 2. 질소배설율과 산소소비율은 염분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고염분일 때 고수온$(29^{\circ}C)$의 경우에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저온분에서는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것은 생리적 내성의 고온단계와 저염분에 대한 포상작용에 기인한 결과라고 생가된다. 3. 암모니아를 주로 배설하였으나 상당한 량의 아미노-질소도 배설하였으며, 특히 상염분-온난온도대$(32.5\%_{\circ}-22^{\circ}C$에서는 아미노산의 배설량이 우세하였다. 그리고 어느 실험온도에서나 고염분에서 아미노-질소의 배설량은 감소하였고 저염분에서는 증가하였다. 4. 배설암모니아-질소에 대한 소비산소의 원자비 (O: N비)는 저온$(15^{\circ}C)$에서는 현저히 낮고 상온 및 고온($22^{\circ}$$29^{\circ}C$)에서는 높았다. 그러나 저온분의 경우 고온에서는 현저히 감소되었다.

  • PDF

스파르가눔 분비배설항원의 단백질 봉성 및 단백질분해효소 활성 (Component Proteins and Protease Activities in Excretory-Secretory Product of Sparganum)

  • 조승열;정영배;공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3호
    • /
    • pp.227-230
    • /
    • 1992
  • 스파르가눔증의 항체검사에서 항원으로 사용하는 스파르가눔 충체추출액의 구성 단백질 중, 환자혈청과 반응 시켜 관찰한 바, 분자량 36 및 31 kDa인 단백질이 항원성이 높았다. 또한 이 두가지 단백질은 스파르가눔 충체의 표피와 표피세포에 분포하여 충체 외부로 분비되는 항원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 연구단보에서는 이들 두가지 단백질이 분비배설항원에 나타남을 증명하고자 스파르가눔을 $4^{\circ}C{\;}및{\;}37^{\circ}C$ 생리식염수에 30분~100시간 동안 배양하여 분비배설항원을 만들고, 분비배설항원내 단백질 분비량, 단백질의 조성 미치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각각 관찰하였다. 충체 g당 분비배설항원의 단백질량은 관찰 범위안에서 배양온도에 관계없이 평균 7.7 mg이었다. SDS-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상 분비배설항원의 단백질 구성은 분자량 66 kDa 이상인 단백질에서 차이가 있을 뿐 충체추출액의 것과 거의 유사하였다. 물론 분자량 36 및 31 kDa인 단백질도 분비배설항원의 주 구성성분이었다. 분비배설항원의 단백질분해효소 비활성도(比活性度)는 2.9~5.3 units/mg으로 충체추출액의 것과 차이가 없었다. 이미 보고된 스파르가눔의 cysteine protease가 체외로 분비되는 효소라는 것이 사실이라고 추정하게 하는 결과로 생각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