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색방법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1초

의복배색의 시각적 감성 연구 (A study on visual sensibility of color combination for clothing)

  • 은소영;이경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7-172
    • /
    • 1999
  • 본 연구는 의복배색에 의해 표현되는 다양한 감성을 파악하기 위해 여성복을 대상으로 배색(2색배색)에 따른 시각적 감성의 구성요인, 시각적 감성의 차이, 시각적 감성 포지셔닝, 선호도ㆍ구매욕구ㆍ고급감ㆍ쾌감과 시각적 감성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자료수집은 서울ㆍ부산 지역의 20대 여성 8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분석은 SA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그 결과 배색연출, 배색방법, 지역에 따른 시각적 감성의 차이가 현저히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의복 색채기획 및 감성을 바탕으로한 마케팅 전략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표색계를 이용한 실용 색채배색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color schemes based ont the use of color systems)

  • 김학성
    • 디자인학연구
    • /
    • 16호
    • /
    • pp.89-98
    • /
    • 1996
  • 본 연구는 색채조화의 원리연구라기보다 우리 나라에서 채택한 표색 계를 이용한 실용적 색채배색 안을 제시하고 저 한다. 연구대상의 표색 계로는 먼셀 표색 계와 오스트발드 표색 계 그리고 미국의 ISCC-NBS 색명 법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색채조화 론에서는 오스트발드 색채조화 론과 쟈드 색채조화론 등을 통하여 색채조화의 일반적 원리를 정리하였다. 표색 계를 이용한 색채배색 방법으로는 우리 나라에서 색채교육용과 공업규격으로 채택하고 있는 먼셀 표색 계의 10색상환과 ISCC-NBS 색명 법을 사용하여 만든 색조 분류법을 이용하여 색채배색의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이 배색방법은 색채교육을 통하여 보다 쉽게 효율적으로 균형 잡힌 색채배색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 PDF

이중매핑모델에 의한 칼라배색 시뮬레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Color Coordination Simulator based on Dual Mapping Model)

  • 김돈한;정지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57-66
    • /
    • 2003
  • 정보처리기술을 활용한 칼라 감성 시뮬레이션이 상품개발 지원시스템으로서 개발, 활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칼라배색 등을 결정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는 감성평가실험을 통해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배색후보들을 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시스템 이용자(디자이너나 사용자)의 취향이나 선호도, 혹은 이용자 상호간의 감성적차이(gap) 등을 고려하여 최종 배색후보를 결정해 가는 과정까지는 지원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이 초기 배색 후보군을 생성한 다음, 디자이너가 다양한 배색 시뮬레이션을 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최종 배색후보를 결정해 가는 과정을 지원하는 칼라배색시뮬레이터를 제안하였다. 이 시뮬레이터는 디자이너가 시스템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디자이너의 취향과 선호도에 맞는 배색을 탐색할 뿐만 아니라 검색자가 최적이라고 판단하기 용이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이 검색자의 판단을 지원하는 디자인지원시스템의 성격을 가진다. 칼라 배색시뮬레이터는 디자이너의 사고과정을 모델화 한 이중매핑 모델(Dual Mapping Model)에 기초로 두고 구성되었으며, 칼라컨셉설정$\longrightarrow$배색후보군 생성$\longrightarrow$배색 시뮬레이션$\longrightarrow$최종배색 후보의 순위결정 등의 4단계에 걸친 조작으로 칼라 디자인과정을 지원하게 된다.

  • PDF

셔츠와 넥타이의 배색방법에 따른 조화 영역과 부조화 영역 (The Harmony Range and the Disharmony Range According to Types of Coloration in Men's Shirts and Neckties)

  • 임지영
    • 복식
    • /
    • 제57권5호
    • /
    • pp.183-195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armony range and the disharmony range by evaluating the degrees of harmony in terms of types of coloration in men's shirts and neckties. In addition, the study aimed to examine perceptional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towards degrees of harmony affected by types of coloration; tone on tone coloration(64), tone in tone coloration(96), contrast coloration(128), achromatic-chromatic coloration(96), and achromatic-achromatic coloration(16). The 4,032 male and 4,032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five types of coloration, the harmony range and disharmony range were identified. Tone on tone and achromatic-chromatic coloration had a more wide range than tone in tone and contrast coloration from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male students had a more wide range of harmony on all coloration.

모바일 앱을 위한 배색 추천 시스템에 관한 연구 -머티리얼 디자인 컬러 시스템의 색채 추천 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lor Recommendation System for Mobile App -Focused on the Method of Color Recommendation for the Material Design Color System)

  • 황승현;이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53-363
    • /
    • 2019
  • 본 연구는 모바일 앱 배색을 위한 색채 추천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택 색상에 조화되는 색채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머티리얼 시스템과 모바일 웹 앱의 3 배색을 모바일 앱 디자인에 적용하여 배색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방법의 실험에 대한 설문으로 색상 구성과 선택 색상, 결과물의 만족도에 관한 정도를 리커트 7점 척도로 알아보았고, 결과물에 따른 배색 특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머티리얼 컬러 팔레트는 정해진 색상의 규칙적인 색조 단계를 자동으로 시스템화하여 색상 선택을 쉽게 하였지만, 모바일 웹 앱 3 배색인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에 대한 색상 구성과 색상 범위가 다르며, 프라이머리 컬러와 세컨더리 컬러만 선택 가능하여 디자인에 따라 강조색의 선택 기능이 필요했다. 또한 머티리얼 시스템은 색상 범위와 배색 범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유채색의 사용이 많았고, 대비가 큰 색조나 보색을 선택해도 배색 범위에 따라 배색 결과물의 이미지가 달라져서 배색 범위에 따른 색상 구성의 역할이 중요했다.

대학도서관 웹 페이지의 색채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lor Image of the Web Pages of University Libraries)

  • 이철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9-106
    • /
    • 2007
  • 이미 운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국립대학 도서관 웹 페이지의 색채이미지를 분석하여, 웹 페이지를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배색이미지와 형용사이미지에 관한 정보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방법은 색채감성척도를 사용하여 분석대상 사이트에 대한 RGB값을 찾아내어 Color Chip을 추출하였으며, 배색이미지와 형용사이미지로 구분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우리나라 국립대학도서관협의회에 가입되어 있는 41개 국립대학 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 많은 대학이 흰색이나 회색의 배색 바탕에다, 연한 청색계열의 색조와 녹색계열의 배색이 주를 이루었고, 형용사 이미지는 경쾌한 이미지와 밝은 이미지가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은은한 이미지, 우아한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 PDF

헤어 컬러디자인 기법 중 그라데이션 기법을 응용한 헤어 컬러디자인 작품연구: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Hair Color Design Works using the Gradient Technique among Hair Color Design Techniques: Focusing on Women)

  • 이승주;박기원
    • 산업과 과학
    • /
    • 제2권3호
    • /
    • pp.29-3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헤어컬러디자인 기법 중 그라데이션 기법 분석을 통해 디자이너의 헤어컬러디자인 제작물을 일관되게 제작할 수 있는 헤어 컬러 작업 계획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한다. 연구 방법은 2022년부터 2023년 9월 15일까지 대중 매체에 나타난 여성의 사진 10개를 선정하여, Adobe Photoshop CS6의 Eyedropper Tool로 컬러 칩과 RGB 값을 추출하여 컬러 칩의 RGB 값을 Munsell Conversion(version 12.1.13a)의 HV/C 값으로 데이터화하였다. 추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배색 스케일에 데이터를 표기하여 여자 대중 스타들의 그라데이션 헤어컬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I.R.I 배색 이미지 스케일에서 여성 대중 스타의 배색 스케일은 부드러움보다 딱딱함의 이미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동적임 보다는 정적임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헤어 컬러에 따른 배색 이미지로는 고상한, 점잖은, 우아한, 은은한 과 같은 형용사로 추출되었다. 이를 적용한 주제로 3점의 헤어스타일을 제작하였다.

배색방법이 한복 착용자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톤 인 톤 배색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loration Type on the Image of Korean Dress's Wearer - on the Tone-in-Tone Coloration -)

  • 강경자;최수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13권6호통권59호
    • /
    • pp.977-98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ree clothing cues(jacket color, skirt color, and tone of dress) on female impressions.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are a set of stimuli and response scales. The Stimuli are If color pictures manipulated with three clothing cues by drawing. The 7-point scale designed for visual evaluation of female impression formation includes 24 bipolar adjectives. The subjects were 192 undergraduate female students in Jinju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As analyzing the impression of female figure by the jacket color, skirt color, and tone, three factors including youth${\cdot}$activity, attractiveness, and visibility were identified. Among these factors, youth${\cdot}$activity and attractiveness were proved to be more important. Some interaction effects of clothing cues were found. Jacket color and ton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pression of visibility. The combination of skirt color and tone had significant effects on youth${\cdot}$activity, attractiveness, and visibility.

  • PDF

아파트 환경색채의 배색 조화 방법 -익산시를 중심으로- (The Methods of Harmony in Color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Color for Apartment -Focused on Iksan City-)

  • 김주미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329-34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경관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환경색채의 배색조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지역은 익산시 22개 아파트단지이며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색체계에 기초한 하드와 시빅의 배색모델을 준거의 틀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환경색채 지각과 색채미학에서 새롭게 제시된 다양한 이론들을 검토하였으며 환경 색채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미학적 특성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색채조화 원리는 뉘앙스와 톤에 기초한다. 그러므로 뉘앙스와 관계된 명도와 채도의 조절이 배색에 중요하게 작용된다. 둘째, 색채지각에 있어 미적경험은 색채 속성들의 유사성과 차이성의 상호결합에 의한 효과로 정의되었다. 셋째, 색채조화이론은 더욱 통합적인 학제 간 연구를 통해 발전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험적 자료는 환경색채디자인과 평가를 위한 기초적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