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발아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28초

지황의 현탁배양에서 체세포배 형성에 관여하는 요인분석과 체세포배의 Encapsulation (Studies on Proper Medium for Somatic Embryogenesis in Suspension Culture of Rehmania glutinosa and Encapsulation of Somatic Embryos)

  • 박주현;박상언;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0-106
    • /
    • 1995
  • 현탁배양으로 체세포배를 대량 생산하는데 관여하는 요인 들을 조사분석하고. 생산된 체세포배를 encapsulation시켜 인공종자화가 가능한지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현탁배양에서 LS(Linsmeier-Skoog) 배지가 어뢰형과 자엽기의 체세포배 형성율이 높았다. 2. 현탁배양시 체세포배 형성에 영향하는 탄소원은 sucrose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Gtucose에서도 자엽 기의 체세포배가 형성되었으나 sucrose에서보다는 적었다. Fructose, lactose 및 maltose는 효과가 없었다. 3. 현탁 LS 배지에서 sucrose 농도는 3%가 체세포배 형성에 적합한 농도로 나타났다. 4. 현탁 LS 배지에서 질소원을 달리하여 체세포배 형성율을 조사한 결과 암모니아태 질소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암모니아태 질소와 질산태 질소의 비율을 $413(mg/{\ell})\;:\;1900(mg/{\ell})$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5. 현탁배양에서 계대배양 3회까지는 체세포배형성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불필요하게 계대배양 회수를 증가시킬 필요는 없다고 본다. 6. 고형배지에서 체세포배 형성을과 형성 수에는 BA단독보다는 NAA를 혼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이 효과는 BA 농도가 높은 경우에 크게 나타났다. 7. 고형배지에서 체세포배 형성율과 형성 수에는 kinetin 단독보다는 NAA와 혼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효과는 kinetin의 농도가 높은 경우가 좋았다. 8. 고형배지에서 체세포배 형성율과 형성 수에는polyamines 중에서 spermidine과 spermine이 효과적이었으며 spermine $10mg/{\ell}$처리에서 가장 많은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9. 기내묘에서 발생하는 vitrification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질산은을 처리하더라도 체세포배 형성이나 형성율에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10. 체세포배를 encapsulation 할 때 인공종자의 구형 형성은 sodium alginate 농도를 3%로 인한 경우 가장 좋았으나 인공종자의 발아율은 2.5%에서 100% 발아가 되었고 3%에서는 88%가 발아하였다. 11. 인공종자는 발아하여 정상적으로 생장하면서 shoot와 root를 형성하였다.

  • PDF

ABA 및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에 따른 낙엽송 (Larix kaempferi) 체세포배 유도, 발아 및 식물체 재분화 효과 (Effect of Abscisic Acid, Kinds and Concentrations of Osmoticum on Somatic Embryo Induction, Germination and Plantlet Regeneration in Larix kaempferi)

  • 김용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4호
    • /
    • pp.693-697
    • /
    • 2011
  • 본 연구는 낙엽송 체세포배 유도, 발아 및 식물체 재분화에 영향하는 배지종류, 엡시식산(abscisic acid, ABA)의 농도, 삼투압제의 종류 및 농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체세포배 유도를 위한 배양기간, ABA 및 삼투압제 농도 비교에서 $60{\mu}M$ ABA+0.2 M sucrose에서 4주 배양으로 가장 많은 체세포배(191개/g 조직)가 유도 되었으나, $4{\mu}M$ ABA+0.1 M sucrose에서는 배양 기간에 관계없이 3.5~23.5 개로 아주 저조한 유도 결과를 보였다. 체세포배 발아 비교에서는 $60{\mu}M$ ABA+0.2 M sucrose 처리구에서 5 주간 배양으로 유도된 체세포배가 자엽(90.9%), 하배축(95.8%) 및 뿌리발생율(96.5%)이 가장 높았으나, $4{\mu}M$ ABA+0.1 M sucrose 처리구 유래 체세포배의 발아정도는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투압제 농도 및 종류에 따른 체세포배 발아 및 식물체 재분화 비교에서는 0.2M sucrose 처리구의 체세포배의 자엽(98.3%), 하배축(78.4%), 뿌리(57.5%) 발생율 및 식물체 재분화율(5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감나무의 배 배양법에 의한 기내 증식 (In Vitro Propagation of Persimmon(Diospyros kaki) by Embryo Culture)

  • 박시원
    • KSBB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15-22
    • /
    • 1995
  • 감나무의 배를 대상으로 인공배지내에서 배배양을 시행하여 발아 및 생장을 시켰다$.$ Murashige­S Skoog(MS), Woody Plant Medium(WPM), C Campbell and Durzen(CD), Lictvay's Medium (LM), Kao-Michaluk(KM), Wolter-Skoog(WS), N Nitsch, White, Heller 배지 중에서 식물생장조절제 없이 배양을 시켰을 때 MS배지와 WPM배지에서 배양이 성공되어 발아와 생장이 잘 되어 $5.4{\pm}1.2 cm$의 신장과 5-6장의 잎을 가진 유묘가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식물생장조절제의 효과는 aUXin, c cytokinin, gibberllin류 중에 서 특히 gibberellin ($GA_3$)을 LM배지와 KM배지에 첨가했을 때 우수한 배양의 결과를 나타냈으며 최척농도는 $1~2{\mu}moles/\ell$ 이었다. 아울러 배배양과 자연파종에 의한 발아와 생장의 생리적 차이를 규명하고자 그 일환으로 식물 잎의 특정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SOD) 활 성을 비교했을 때 특히 발아시기에 자연파종된 식물체의 SOD활성이 배양에 의한 식물체의 SOD활성보다 약 4배 이상 더 높았다.

  • PDF

벼의 수화겔 인공종자 생산 (Production of Artificial Seeds by Alginate-encapsulation of Rice Somatic Embryos)

  • 정원중;민성란;송남희;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3-186
    • /
    • 1994
  • 태백벼의 현탁배양세포주로부터 유도된 체세포배를 낱개로 알진산 캡슐화하여 인공종자화하였다. 인공종자는 1/2 MS 고체배지에서 73%의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며 알진산 캡슐은 체세포배의 발아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멸균되지 않은 여과지에서는 발아율이 60%로 낮아졌다. 캡슐화된 진정종자는 무균상태여부에 관계없이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무균상태가 유지되지 않을 때 인공종자 발아율이 낮아지는 것은 체세포배가 진정종자의 접합자배보다 오염을 견디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개갑 인삼종자의 발아 적정 저온감응기간 (Optimum Chilling Terms for Germination of the Dehisced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Seed)

  • 권우생;이장호;이명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167-170
    • /
    • 2001
  • 개갑 인삼종자의 생리적 휴면타파를 위한 적정 저온감응기간을 조사하였다. 채종하여 3개월간 모래로 층적저장하여 개갑이 완료된 종자의 배는 배유의 1/2정도의 크기를 보였다. 인삼종자는 채종 당시의 미숙한 배가 형태적으로 거의 완전한 발달을 보이기까지는 6개월 정도가 소요되었으며, 배의 신장의 실외보다는 실내에 저장하였던 종자가 더 빨리 자랐다. 배 신장이 완료된 종자라 할지라도 60일 이하의 저온처리된 종자는 발아가 되지 않았으며, 발아에 필요한 저온감응기간은 실외의 자연상태에서는 75일 정도이며, 냉장온도(4$^{\circ}C$)에서는 90일 정도가 적정하였다. 그러나 적정의 저온감응을 받은 종자라 할지라도 상온데 지속적으로 방치하게 되면 그 효과는 현저히 감소되었다.

  • PDF

키토산 처리 콩나물의 성장특성

  • 박인경;장경호;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00-100
    • /
    • 2003
  • 키토산처리가 콩나물의 성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콩에 0.05% 키토산(493kDa, 금호화성, 한국)을 함유하는 0.05% 초산 용액 4배량을 가하여 8시간 침지한 후 2$0^{\circ}C$에서 2시간 간격으로 5일간 주수하면서 발아율, 수율, 배축과 자엽의 중량변화, 수분함량, 배축의 길이와 두께 등을 조사하였다. 발아율은 키토산처리구(88-94%)가 대조구(69-85%) 보다 높았다. 5일간 재배한 콩나물의 생체중량은 처리구(70.28 g/10 g-pot)가 대조구(63.86 g/10 g-pot) 보다 18% 높았다. 재배중의 수분함량은 대조구(59.53-73.33%) 보다 처리구(64.66-84.45%)가 5.13-11.12%가 높았다. 재배중의 자엽의 중량은 대조구(25.06-27.21 g/10 g-pot)가 처리구(23.42-25.55 g/10 g-pot) 보다 높았으며 배축의 중량은 대조구(9.27-36.25 g/10 g-pot)보다 처리구(15.19-44.73 g/10 g-pot)가 높았다. 재배중 배축의 길이와 두께는 대조구(6.51-19.87 cm)보다 처리구(7.67-22.38 cm)가 길었으며, 두께는 대조구(2.08-2.12 mm)가 처리구(203-2.08 mm)보다 약간 두꺼웠다. 이상의 결과 키토산처리는 콩나물의 발아율을 높이며, 콩나물의 수분함량이 높고, 배축의 길이가 기나 두께는 다소 가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천궁 (Cnidium officinale M.)의 화기절편으로부터 형성된 체세포배의 자엽구조와 발아 (Cotyledon Structure and Germinability of Somatic Embryos Formed from Inflorescence Explants of Cnidium officinale M.)

  • 조덕이;이은경;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7-142
    • /
    • 2000
  • 천궁 (Cnidium officinale)의 잎, 엽병 및 화기 외식편을 재료로 하여 2,4-D가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을때 캘러스 형성은 어느 외식편에서나 비슷한 수준으로 유기되었지만 배형성능 캘러스는 화기유래 캘러스에서만 형성되었다. 체세포배발생의 유도는 2mg/L 2,4-D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잘 일어났으며 2,4-D제거배지에서 계대배양하면 외식편당 78개의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체세포배의 자엽수에 있어서 변이가 빈번하게 관찰되었으나 배지에 1% 활성탄을 첨가하면 비정상적인 자엽수를 갖는 체세포배의 발생률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자엽기 체세포배는 MS 기본배지에서 저조한 발아율을 보이는 반면에 활성탄 첨가배지에서는 현저한 발아 향상을 보였다.

  • PDF

열처리와 한약재 추출물이 발아현미의 GABA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Selected Medicinal Plant Extracts on GABA Content after Germination)

  • 전건욱;이미영;윤재민;장성호;정미리;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54-15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미 발아 시 침지 및 발아 조건에 따른 GABA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GABA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처리조건을 살펴보았다. 발아 현미의 GABA 함량 증가를 위해 침지 전 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한약재로 널리 쓰이는 오미자와 용안육, 구릿대, 천마를 침지수와 발아수로 이용하였을 때의 GABA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45^{\circ}C$에서의 열처리군이 3977.3 nmol/g로 무처리군에 비해 약 1.4배 정도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한약재를 침지 및 발아수로 이용한 결과 용안육은 3% 추출물을 발아수로 이용하였을 경우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여주었으며, 오미자는 5% 추출물을 발아수로 이용한 경우가 대조군보다 2.1배로 가장 높은 GABA 함량을 나타내었다. 천마 추출물의 경우는 5% 추출물을 침지수와 발아수로 이용했을 경우 약 2.5배의 증가율을 보여 실험한 한약재 중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발아현미 연구에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쌀 소비촉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약용버섯을 이용한 도토리화분의 세포 발아 및 항산화 활성 (Germin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Oak Pollen Treated with Medicinal Mushrooms)

  • 홍인표;우순옥;한상미;여주홍;조미란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5-169
    • /
    • 2014
  • 도토리화분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화분배지에 뽕나무버섯(Armillaria mellea) 배양한 발아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표고(Lentinula edodes) 발아액에서 가장 낮았다. 뽕나무버섯을 배양한 발아액 중에서 동결건조 화분의 발아액이 정제화분과 저온초미분쇄화분의 발아액보다 총 폴리페놀함량이 많았다. 또한 동결건조 화분의 뽕나무버섯 발아액은 물추출액보다 총 폴리페놀함량이 1.4배 높았다. 도토리화분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뽕나무버섯 발아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표고 발아액에서 가장 낮았다. 동결건조 화분의 뽕나무버섯 발아액은 DPPH radical 소거능이 물추출보다 2~4배 높았다. 수집된 꿀벌화분은 알갱이 형태이며, 꿀벌의 분비물을 제거한 순수 화분은 분말형태로 크기는 0.1~0.003 mm 정도이다. 화분의 전자현미경 구조는 도토리화분은 단립이며 모양은 장구형(prolate)이고 극면상은 난형이다. 발아구는 3구형이며 비교적 짧고 곧은 주름이 있다. 표면은 과립상(verrucate) 또는 미립상(scabrate)으로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저온초미분쇄한 화분은 세포벽이 파쇄 또는 절단되었으며, 동결건조한 화분에서는 세포벽이 파열되어 세포질이 나출되는 양상을 보였다. 표고를 접종한 도토리 화분의 세포 발아 형태는 공구(pore) 주변에 외피가 없는 다량의 발아세포가 형성되었으며, 뽕나무버섯을 접종한 화분배지에서의 세포 발아 형태는 화분에서 균사속과 유사한 발아관이 형성되고 그 끝에 발아세포가 형성되었다.

芍藥(Paeonia lactiflora Pall.)의 子葉組織 培養시 식물생장조절제가 體細胞胚發생에 미치는 影響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Somatic Embryogenesis from Cotyledon of Herbaceous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 신종희;손재근;김경민;김기재;김재철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5-118
    • /
    • 1998
  • 작약의 종자로부터 절취한 배를 기내 발아시켜 획득한 자엽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발생에 적합한 배지내의 식물생장 조절제 조성을 밝히기 위하여 전배양배지와 배유도배지의 식물생장조절제 조성별 체세포배 발생율과 접합자배의 구조와 동일한 정상 체세포배 발생 정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엽으로부터 체세포배발생을 위한 식물생장조절제로 ABA가 첨가된 배지에서 체세포배 발생율이 높았으며, 특히 ABA가 0.5 mg/L 첨가된 배지에서 59.9%의 높은 체세포배 발생율을 나타내었다. ABA가 첨가된 배지에서 접합자배를 배양할 경우 발아가 저해되고 발아한 식물체가 비정상적인 형태로 발달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이들 비정상적인 형태의 자엽으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이 효과적이었으며, ABA가 0.5 mg/L 첨가된 배지에서 자엽으로부터 발생된 체세포배의 형태는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체세포배가 22.6%, 3개 19.5%, 1개 9.8%로 나타났으며 볼링핀 또는 나팔모양의 비정상적인 배는 1.3%로 낮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