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뇨 불편감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배뇨중재 프로그램이 뇌졸중 재활대상자의 잔뇨량, 도뇨횟수, 배뇨불편감, 요로감염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Urinary Elimination Facilita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During Rehabilitation: Residual Urine, the Number of Urinary Catheterization, Urinary Discomfort, and Urinary Tract Infections)

  • 송영애;이정희;정지영;김난지;양이은;신채원;조문숙
    • 임상간호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2-141
    • /
    • 2016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apply the urinary elimination facilita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with urinary disorders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included 23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and 22 in the experimenta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Nov. 25, 2013 to Nov. 25, 2014 in acute rehabilitation inpatient wards. For the final analysis, 35 patients' data were utilized 17 in the control group and 18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eveloped urinary elimination facilitation program was continued for 7 days and the program consisted of logging urination, monitoring timely voiding, assisting urinary elimination, and stimulating urination using sound. The data were analyized using the SPSS-win (version 21). Results: The number of urinary catheterization and the urinary discomfor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residual urine and the occurrence of urinary tract infec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urinary elimination interven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with urination disorder could be useful in decreasing the number of urinary catheterization and the urinary discomfort.

대장암환자 치료와 신체기능과의 관련 요인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Function and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 Patients)

  • 이성란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915-918
    • /
    • 2010
  • 본 연구는 대장암환자 치료와 신체기능과의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2009년 12월 15일부터 2010년 1월 30일까지 한 종합병원 외과에 내원한 대장암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분석은 치료시점과 신체기능과의 관련요인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방사선치료 시기 및 장루유무 등과 신체기능과의 요인은 t-test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치료시점은 성기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482, p<0.05), 둘째, 오심구토, 식욕저하, 치료부작용은 복원수술 전, 성기능은 복원수술 후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셋째, 장루유무의 경우 성적만족은 장루가 없는 경우가 63.40점으로 장루가 있는 경우의 45.69점 보다 높은 반면 배뇨문제에서는 장루가 있는 경우가 28.17점으로 장루가 없는 경우의 14.69점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편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t=1.548, p<0.05). 결론적으로 대장암 환자 치료의 신체기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기능상태와 증상불편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남성 방광암환자와 전립성비대증 환자에서 배뇨증상, 배뇨 불편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of Urinary Symptom, Urinary Discomfort and Quality of Life in Bladder Cancer and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of Male Patients)

  • 김금순;최은숙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8-87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of urinary symptom, urinary discomfort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bladder cancer patients and benign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and to contribute health promotion of such patients and nursing intervention development based on this results. Method: Study sample recruited bladder cancer patents(n=49) and benign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who admit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2002 to June, 2003. Both group patients were operated, and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mean 67.8 years old) were older than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60.82 years old). Instruments was compo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urinary symptom scale(19 items), urinary discomfort scale(19 items) and quality of life scale(21 items). Data was analysed SPSS PC + 10.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as follow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ccupation between two groups (p=.027). Hypertrophy patients group's age was more older than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 2. The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had the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urinary symptom (p=000) and nighttime urination frequenc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ontinence symptoms and the symptoms associated bladder cancer between two groups. 3. The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urinary discomfort (p=000) than the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continence discomfort and the discomfort associated bladder cancer between two groups. 4. The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suffered more urinary discomfort than the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 did. The quality of life the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was lower than the quality of life the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 Quality of lif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0). 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rinary symptoms and urinary discomfort.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urination symptoms and discomfort. Conclusions: The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urinary symptom and urinary discomfort (p=000) than the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 The quality of life the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was lower than the quality of life the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 This means that urinary symptom and urinary discomfort in prostate hypertrophy patient group is more important problem. So, prostate hypertrophy patient group need to control the symptom. Therefore, nurses will be provide th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bladder function after prostate hypertrophy surgery.

  • PDF

족욕요법이 50대 여성의 갱년기 증상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t Bath Therapy on Menopausal Symptoms and Sleep in Women in Their 50s)

  • 전계삼;전요원;김원빈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7-61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갱년기 증상이 있는 50대 여성 대상자들이 족욕을 하였을 때 갱년기 증상 및 수면장애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12주간 주 3회 족욕요법을 실시한 후에 갱년기 증상의 사전 및 사후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안면홍조, 심장 불편감, 수면 문제, 우울감, 과민성, 불안감, 신체 및 정신적 피로, 성적인 문제, 배뇨문제, 질 건조감, 관절 및 근육 불편감이 있는 대상자는 사전보다 사후에 모두 유의성이 있게 개선되었다(p < .001). 족욕 후에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 잠복기, 수면 기간, 수면 방해점수, 수면 약물 이용 및 수면 기능장애는 사전보다 사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1). 습관적 수면 효율성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대상자들이 족욕 후에 갱년기 증상과 수면의 질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족욕요법은 갱년기 증상 및 수면 개선에 적합한 자연치유적 요법이라 평가한다.

대장암환자 수술치료가 신체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Effect of Physical Function on Operative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 Patients)

  • 이성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412-341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장암환자 수술치료가 신체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서울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에 내원한 대장암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2009년 12월 15일부터 2010년 1월 30일까지 설문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수술치료 부작용은 복원술 후 보다 복원술 전 환자들에서 유의하게 높았다(t=5.284, p<0.001). 둘째, 성적만족은 수술 전이 수술 후 방사선 치료 환자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1.946, p<0.05). 셋째, 배뇨문제는 장루가 있는 경우가 장루가 없는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편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t=1.537, p<0.05). 결론적으로 대장암환자 수술치료의 신체기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기능상태 및 증상 불편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근치적자궁절제술을 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배뇨장애 빈도, 강도 및 일상생활 불편감 (Frequency, Intensity and Daily Life Distress of Urinary Dysfunction in Women with Cervical Cancer after Radical Hysterectomy)

  • 전나미;노기옥;송현주;김상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00-408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frequency, intensity of urinary dysfunction and daily life distress in women after a radical hysterectomy for cervical cancer. Methods: One hundred and fifty seven women who had undergone a radical hysterectomy and one hundred and sixty five women as healthy control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intensity of urinary dysfunction and daily life distress caused by urinary dysfunction. Results: Women with cervical cancer showed higher frequency of urinary dysfunction than healthy controls. Major urinary dysfunction for women with cervical cancer in order of frequency were night-time incontinence (odds ratio=10.39, p<.001), difficulty in starting urination, weak urine stream and sense of incomplete emptying of bladder. The highest score on intensity was difficulty in starting urination, followed by urgency, weak urine stream, daytime frequency and sense of incomplete emptying. Night-time incontinence was the urinary symptom causing the most daily life distress for cervical cancer women followed by difficulty in starting urination, urgency, sense of incomplete emptying, and night-time frequency.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nurses should address the potential postoperative urinary complications and develop long term interventions to decrease urinary dysfunction and daily life distress for women who have had a radical hysterectomy for cervical cancer.

국제 전립선 증상 점수(I-PSS)를 이용한 하부요로증상의 유병률 및 고혈압과의 관계 (Prevalence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Association of Hypertension with I-PSS)

  • 하지영;조동영;양상국;장성훈;이건세;이원진;유병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265-273
    • /
    • 2000
  • 농촌 지역 사회의 40대 이상의 남성 300명을 대상으로, 번역의 타당성과 신뢰도가 검증된 국문 I-PSS를 이용하여, 하부요로 증상의 유병률, I-PSS와 혈압의 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I-PSS를 이용한 증상접수 8이상인 하부 요로증상의 유병률은 40, 50, 60 및 70대에서 각각 20.5, 32.2, 40.6 및 72.0%로 관찰되었으며 증상점수 20 이상의 중증군은 각각 0.82, 5.6, 11.0%로 미국, 일본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2. 평균 I-PSS와 연령과의 관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r=0.29, p=0.0001), 무학인 군이 전문대 이상인 군에 비하여 I-PSS가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p<0.05). 3. 평균 I-PSS와 배뇨만족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r=0.63, p=0.0001)를 보였으나 I-PSS(평균 8.2)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편감이 없는 배뇨만족도(평균 1.9)를 나타내었다. 4. 고혈압군의 평균 I-PSS는 7.85이었으며 정상혈압군의 평균 I-PSS는 8.39이었으나 I-PSS와 혈압과의 관계는 고혈압군과 정상 혈압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

소아에서 시행한 방광요도 조영술 이후 발생한 합병증에 대한 고찰 (Study of Post Procedur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Voiding Cystourethrography)

  • 김민선;이승현;김정화;장영범;이대열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1호
    • /
    • pp.65-73
    • /
    • 2007
  • 목적 : 요로 감염이나 선천성 수신증, 기타 선천성 신장 질환이 있을 때 방광 요관 역류가 동반되는 수가 많다. 방광요도 조영 검사는 이를 확인하는 비교적 간단한 검사이나 검사 후 여러 불편감이나 합병증이 있어 환아들이 기피하는 검사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방광요도 조영 검사 후에 발생한 합병 증상의 종류와 빈도, 증상 지속 기간 등을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5년 10월에서부터 2006년 9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배뇨성 방광요도 조영술 및 방사선핵종 방광 조영술을 시행하였던 환아를 대상으로 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검사를 시행하게 된 원인 질환과 검사 방법, 검사 성공 여부, 최종 진단을 확인하였고, 1주일 경과 후 전화를 통한 설문 청취 방법으로 합병 증상의 종류와 지속 기간을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270명 중 1례에서는 도뇨관 삽입 실패로 검사를 시행하지 못하여 성공률은 99.6% 이었고, 검사를 받은 평균 연령은 $16.5{\pm}29.9$개월이었으며, 이 중 남아는 190명(70.6%), 여아는 79명(29.4%)이었다. 검사를 시행하게 된 원인 질환으로는 요로 감염 168명, 수신증 55명, 방광요관 역류로 인한 추적 검사 39명, 신무발육증 3명, 다발성 낭성 이형성 신 3명, 중복 요관 1명이었다. 269명의 환아 중 검사 시행 후 88명 (32.7%)에서 검사와 관련된 합병증을 보였고 증상 지속기간은 $1.4{\pm}0.7$일 이었다. 이 중 배뇨곤란의 경우가 49명(55.7%)으로 가장 많았고, 보챔 36명, 발열 11명, 빈뇨 8명, 육안적 혈뇨 4명 순이었다. 이외에도 심한 합병증인 요로 감염과 방광 천공도 각각 1명에서 발생하였다. 이러한 합병 증상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호소 빈도가 증가하였고 (P<0.05), 검사 당시의 항생제 사용이 이러한 합병 증상의 빈도를 감소시키지는 않았다. 결론 : 소아에서 방광 요도술 검사는 간편하고 비교적 안전한 검사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 환아의 약 1/3에서 합병 증상이 발생하였고 요로 감염과 방광 천자 같은 심한 합병증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방광요도 조영술 검사 시 이러한 합병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세심한 주의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에 신속한 처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예방적 항생제 요법은 검사 후 발생하는 요로 감염이나 여러 증상을 줄이지는 못하여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