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Post Procedur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Voiding Cystourethrography

소아에서 시행한 방광요도 조영술 이후 발생한 합병증에 대한 고찰

  • Kim, Min-Sun (Department of Pediatric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Seung-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Jeong-Hwa (Department of Pediatric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Chang, Young-Bum (Department of Pediatric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Dae-Yeol (Department of Research Institute of Clinic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김민선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승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정화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장영범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대열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연구소)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Purpose : Voiding cystourethrography(VCUG) is a commonly performed diagnostic procedure in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s. Recently, with the widespread use of prenatal ultrasonography, VCUG is performed as part of the postnatal radiological evaluation of asymptomatic infants with prenatally detected hydronephrosis. The procedure is relatively simple but it involves discomfort and some complications. We studied post procedural symptoms and complications in children who underwent VCUG. Methods : This study reviewed 259 patients who underwent VCUG in our hospital between October 2005 and September 2006. We did a chart review and a telephone interview with the patients' parents about symptoms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VCUG. Results : Among 269 children, 217 patients(80.7%) were under 2 years of age and 5 patients (1.9%) were over 8 years of age. Their mean age was $13.1{\pm}22.9$ months. After VCUG, dysuria was found in 49 patients presented with dysuria, and irritability in 36 patients with irritability. Other complications were hematuria, fever, frequency, bladder rupture and urinary tract infection. Mean symptoms duration was $1.4{\pm}0.7$ day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ophylactic antibiotics use and complication rate associated with VCUG. Conclusion : Our study demonstrated that 32.7% of patients showed complications including bladder rupture and urinary tract infection after VCUG. We also found that prophylactic antibiotics use did not prevent urinary tract infection nor decrease the rate of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VCUG.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procedure must be done carefully and aseptically, and we should closely observe the children who undergo VCUG for development of possible complications.

목적 : 요로 감염이나 선천성 수신증, 기타 선천성 신장 질환이 있을 때 방광 요관 역류가 동반되는 수가 많다. 방광요도 조영 검사는 이를 확인하는 비교적 간단한 검사이나 검사 후 여러 불편감이나 합병증이 있어 환아들이 기피하는 검사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방광요도 조영 검사 후에 발생한 합병 증상의 종류와 빈도, 증상 지속 기간 등을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5년 10월에서부터 2006년 9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배뇨성 방광요도 조영술 및 방사선핵종 방광 조영술을 시행하였던 환아를 대상으로 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검사를 시행하게 된 원인 질환과 검사 방법, 검사 성공 여부, 최종 진단을 확인하였고, 1주일 경과 후 전화를 통한 설문 청취 방법으로 합병 증상의 종류와 지속 기간을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270명 중 1례에서는 도뇨관 삽입 실패로 검사를 시행하지 못하여 성공률은 99.6% 이었고, 검사를 받은 평균 연령은 $16.5{\pm}29.9$개월이었으며, 이 중 남아는 190명(70.6%), 여아는 79명(29.4%)이었다. 검사를 시행하게 된 원인 질환으로는 요로 감염 168명, 수신증 55명, 방광요관 역류로 인한 추적 검사 39명, 신무발육증 3명, 다발성 낭성 이형성 신 3명, 중복 요관 1명이었다. 269명의 환아 중 검사 시행 후 88명 (32.7%)에서 검사와 관련된 합병증을 보였고 증상 지속기간은 $1.4{\pm}0.7$일 이었다. 이 중 배뇨곤란의 경우가 49명(55.7%)으로 가장 많았고, 보챔 36명, 발열 11명, 빈뇨 8명, 육안적 혈뇨 4명 순이었다. 이외에도 심한 합병증인 요로 감염과 방광 천공도 각각 1명에서 발생하였다. 이러한 합병 증상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호소 빈도가 증가하였고 (P<0.05), 검사 당시의 항생제 사용이 이러한 합병 증상의 빈도를 감소시키지는 않았다. 결론 : 소아에서 방광 요도술 검사는 간편하고 비교적 안전한 검사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 환아의 약 1/3에서 합병 증상이 발생하였고 요로 감염과 방광 천자 같은 심한 합병증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방광요도 조영술 검사 시 이러한 합병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세심한 주의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에 신속한 처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예방적 항생제 요법은 검사 후 발생하는 요로 감염이나 여러 증상을 줄이지는 못하여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