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밭토양

Search Result 75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omparison of Soil Chemical Properties between Plastic-House and Upland in Hoengsung Area (횡성지방에서 시설재배지와 일반 밭토양의 화학성 비교)

  • Go, Chang-Du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9 no.4
    • /
    • pp.385-388
    • /
    • 1996
  • Accumulation of soil chemical components in plastic-house is serious problem in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olve the problem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plastic-house with that of upland field.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_2O_5($ in plastic-house soil were higher than that of upland field. Particularly, organic matter content in plastic-house soil (43g/kg) was 1.7times higher than that of upland soil (26g/kg), and content of available $P_2O_5($ (893mg/kg) in plastic-house: soil was 4.9 times higher than that of upland soil(183mg/kg). The content of exchangeable K, Ca and Mg in plastic-house soil were 0.5, 6.8 and 1.6cmol/kg and that of upland field soil were 0.5, 2.3 and 2.5cmol/kg, respectively.

  • PDF

A pilot study on attenuation of nitrate in a paddy rice field: preliminary results

  • 최병영;윤성택;김강주;김동승;전종욱;윤성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93-96
    • /
    • 2004
  • 국내 대부분의 경작지를 차지하고 있는 논농사 지역에서의 질산성 질소의 자연저감을 고찰하기 위하여, 세 유형의 수조 환경을 조성하고 mesocosm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개의 mesocosm에는 논토양을, 그리고 비교를 위하여 다른 하나에는 밭토양(황토)을 사용하였으며, 하나의 논토양 mesocosm과 밭토양(황토) mesocosm에는 벼를 재배하였다. 인위적으로 질산성 질소 성분을 용해한 지하수를 주입수로 사용하였으며, mesocosm을 통과한 물 시료를 41일 동안 12시간 또는 24시간 간격으로 채취하고 화학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논토양에서는 실험 시작과 동시에 급격한 환원환경이 형성되었으며, 그 결과 탈질반응에 의해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현저히 저감되었다. 분석 자료의 해석 결과, 논토양 mesocosm에서는 유기물이, 밭토양 mesocosm에서는 철이온(Fe2+)이 질산성 질소의 탈질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Phosphate-solubilizing Microorganisms in Upland and Plastic Film House Soils (밭과 시설재배지 토양의 인산가용화 미생물의 특성)

  • Suh, Jang-Sun;Kwon, Jang-Si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1 no.5
    • /
    • pp.348-353
    • /
    • 2008
  • With the aim to explore the possible role of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in soil, we conducted a survey of phosphate-solubilizing microorganisms colonizing in upland and plastic film house soils. Soil EC, pH,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cation such as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and total P of plastic film house soils were higher than those of upland soils.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population was higher in plastic film house soils than upland soils, but species of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was more diverse in the upland soils than the plastic film house soils.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osphate solubilization and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in soils. Bacillus, Cedecea, Brevibacillus, Paenibacillus, Pseudomonas, Serratia spp. were isolated from upland soils and Bacillus and Cellulomonas spp. were from plastic film house soils.

최근 한국 토양의 유황함량

  • Yoon J.H;Jung B.G;Kim Y.H;Shin J.S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25-35
    • /
    • 1996
  • 유황은 작물에는 양적으로 인산만큼 요구되고 자연계에서 질소와 비슷하게 순환한다. 한국 토양에서 유황의 결핍은 예측이 가능한데 이는 농민이 현재까지 함유황비료의 사용을 등한히 한데 기인된다. 그러나 최근 담배, 채소, 과수 등 경제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함유황 비료의 수량 증수와 품질 개선을 이해하고 선호하게 되었다. 더욱이 주요 도시의 아황산가스 배출이 점차 감소하는 것도 한 이유가 된다. 최근 논 토양 1,155점, 밭토양 498점, 시설 재배지 114점을 채취 분석 유효 유황함량을 조사하였다. '88년 1차 유황 심포지엄 성적과 비교하면 작물에 유효한 제일인산칼슘 침출유황은 논과 시설재배지토양에서 뚜렷이 감소되었으며 밭토양에서는 증가하였다. 유효 유황함량인 10mg S/kg 이하인 비율은 논 8.2, 밭 $5.2\%$이었다. 논 토양의 토성속, 배수, 퇴적양식, 지형 등이 논 토양의 유황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나 밭에서는 이 관계가 뚜렷하지 못했다. 조립질이고 배수가 양호하며 잔적층에서 발달된 토양에서는 유황함량이 낮아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토양중 시용유황의 행동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Spectr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Heavy Metal Concentration and Mineral Composition in Cropland and Rice Field Soils from Downstream of an Abandoned Coal Mine (폐석탄광 하류 밭토양 및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과 광물조성에 따른 분광학적 특성)

  • Seo, Jihee;Yu, Jaehyung;Koh, Sang-Mo;Lee, Bum Ha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3 no.6
    • /
    • pp.743-753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heavy metal concentration, mineral composition,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samples of cropland and rice field located in downstream of abandoned Okdong coal mine. X-ray fluorescence analysis detected heavy metal elements including cadmium, copper, arsenic, lead, zinc and nickel in the soils. Both cropland and rice field samples were severely contaminated with arsenic showing higher concentration over the concerned standard. The pollution index of cropland samples was higher than that of rice field samples. X-ray powder diffraction analysis identified that the mineral composition of cropland and rice field samples is similar with quartz, calcite, kaolinite, illite, smectite, magnetite and hematite. The range of organic matter content were more widely distributed in cropland samples. The spectral analysis showed that the reflectance spectra and the absorption features of cropland and rice field samples were alike. The absorption features that appeared near 490nm and 900nm were attributed to the ferric iron, and clay minerals such as kaolinite and smectite caused the absorption features at 1410nm, 1910nm and 2200nm. The reflectance of the soil spectral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organic content. The absorption depths of both types of soil samples decreased with higher organic matter content at 490nm and 1916nm as well as higher heavy metal concentration.

Assessing the Climate Change Impacts on Future Upland Drought using the Soil Moisture Model and CMIP5 GCMs (CMIP5 GCMs와 토양수분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밭가뭄 평가)

  • Jeon, Min-Gi;Nam, Won-Ho;Hong, Eun-Mi;Hwang, Seon-A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6-66
    • /
    • 2020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전 세계적인 기온상승이 야기되고 있으며, 농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상학적 및 수문학적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7년 동안 지역별로 극심한 가뭄이 매년 발생하고 있고, 가뭄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밭의 경우 농업용 저수지 등 수리시설물로부터 관개용수를 공급받는 논 작물과 달리 자연 강우를 통해 필요한 용수량을 공급받는 천수답이 대부분이고 관개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의 취약성이 높다. 밭작물은 작물의 생육 시기와 기후 환경, 수자원 환경에 민감하고 토양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생육하기 때문에 이러한 밭작물의 소비수량 및 관개용수량은 증발산량 뿐만 아니라 토양내 수분의 이동을 고려하여 수분 부족량을 산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후변화에 의한 밭가뭄 평가를 위하여 밭 작물별 소비수량 및 관개용수량을 추정하기 위한 밭 토양수분 물수지 모형 (Soil Moisture Model)을 구성하였다. 또한 대표농도경로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시나리오 기반의 제5차 결합기후모델상호비교사업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CMIP5)에서 제공하는 RCP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전지구 기후모델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의 기후예측결과를 적용함으로써 미래 밭 가뭄 평가를 수행하였다. 과거 기상자료 및 미래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와 작물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과거 및 미래 작물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토양수분 물수지 모형에 적용하여 밭작물의 토양수분 변화를 모의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별/생육시기별 소비수량 및 관개용수량을 추정하였다.

  • PDF

Effects on soil microbial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the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materials in upland soil (유기물 장기연용에 의한 밭토양 미생물의 변화)

  • An, Nan-Hee;Suh, Jang-Sun;Yoo, Jae-Hong;Lee, Mi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302-302
    • /
    • 2009
  • 유기농업에서 유기물은 양분의 공급, 토양의 이화학성 개선, 토양의 생물학적 건전성 유지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토양의 생물학적 건전성은 토양의 생태계적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토양미생물이 관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기물의 장기연용에 따른 밭토양 미생물의 다양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여러 가지 유기자원을 동일한 기준으로 매년 동일 장소에 처리하였다. 사용된 유기자원은 가축분퇴비, 채종유박인 유기질비료, 볏짚으로만 퇴비화한 볏짚퇴비와 겨울철 휴한기에 헤어리베치를 재배하여 이듬해 봄에 예취한 후 토양에 환원한 녹비처리구, NPK구, 가축분퇴비를 혼용처리한 NPK퇴비군, 양분을 전혀 시용하지 않은 무비구 등 총 7처리구였다. 각각의 처리구에서 토양(0-20 cm)을 채취하여 배양성 토양미생물은 희석평판법으로 해당 선백배지에 시료를 도말 하여 조사하였고 비배양성 미생물은 토양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세균의 16S rDNA를 증폭시킨 후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를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밭토양에 서식하는 토양미생물의 균수는 처리별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유기물처리구가 화학비료처리구보다 높았다. DGGE 분석을 통해 유기물 처리에 따른 군집의 다양성을 살펴본 결과 Fig. 1에서 보는바와 같이 Gel 상에서 다양한 위치의 밴드를 확인할 수 있었고 처리별로 특이 밴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에서 얻은 DGGE profile상의 밴드 강도와 수를 비교하여 Fig 2와 같은 dendrogram을 나타낼 수 있었다.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the Management groups of Upland Soils in Korea (밭유형(類型)에 따른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

  • Rim, Sang-Kyu;Hur, Bong-Koo;Jung, Sug-Jae;Hyeon, Geun-Soo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0 no.1
    • /
    • pp.67-71
    • /
    • 1997
  • To grasp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the management groups of upland soil, the data obtained from the detailed soil survey which conducted from 1964 to 1979 by Agricultural sciences Institute,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The clay content in A horizon soil was low in sandy textured and well adapted types and high in heavy clayey type, and that in B horizon was lowest in volcanic ash type and highest in heavy clayey type. High organic matter content was found in the volcanic ash and plateau type. The correlations among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significant. Especially canon exchange capacity of B horizon soil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ontent of available water, clay, silt and organic matter positively.

  • PDF

Soil Classification by Soil Taxonomy and Soil Properties of Korea (Soil Taxonomy 토양분류체계와 우리나라의 토양특성)

  • Hyun, Byung-Keun;Jung, Sug-Jae;Sonn, Yeon-Kyu;Rim, Sang-Kyu;Song, Kwa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4-88
    • /
    • 2007
  • 우리나라의 토양조사는 미농무성(USDA)의 분류방법에 따라 개략토양조사($'65{\sim}'67$년), 정밀토양조사($'68{\sim}'79$년), 논토양배양사업 10개년계획($'80{\sim}'90$년), 그리고 밭토양세부정밀토양조사($'95{\sim}'99$년) 등을 실시하였다. 현지에서의 토양조사는 지형, 배수등급, 토성, 자갈함량, 유효토심, 경사 등 현지의 지형지물 및 환경을 통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국에 대한 토양조사 결과, 토양통 (심토의 특성이 유사한 토양) 390개, 토양구(표토의 토성을 세분) 536개, 토양상(경사도 및 침식등급을 세분) 1,321개로 분류되어 있다. 우리나라 토양형성 발달에 미친 기후인자는 습윤권역(Udic moisture regime)과 토양온도는 mesic과 일부 남해안과 제주지역의 thermic인 토양온도(Soil moisture regime)였으며, 식생인자는 높은 지역의 경우에는 산림이 낮은 저지대 평탄지는 자연초지가 대부분이다. 지형인자는 동고서저지형으로 동부는 산악지, 서부는 경사가 완만한 구릉지며, 한강 등 대부분이 서남방향으로 흐르는 지형이다. 모재는 다양하나 70%이상이 화강암, 화강편마암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시간인자의 경우에는 기간이 매우 오래되었으나, 지형이 복잡하여 토양발달이 약한 Inceptisol과 층위발달이 없는 Entisol이 대부분이며, 다음으로 Ultisol과 Alfisol이 뒤를 이었다. 일부 Andisol, Mollisol, Histosol이 존재하였다. 우리나라의 토양분류는 Soil Taxonomy에 의해 분류되었는데, 이것은 토양의 단면내에 존재하는 감식층위(Diagnostic Horizon)의 유무 및 종류에 따른 분류이다. 토양분류 결과 최고 상위분류 단위인 목(order)이 7개, 아목(suborder) 14개, 대군(great group) 27개, 아군(sub group) 67개, 속(family) 161개로 분류되었으며, 가장 저차단위인 통(series)이 390개 분류되었다. 또한 작물이용측면에서 실용적 분류를 실시하였는데, 논토양의 경우 보통논, 미숙논, 사질논, 습논, 염해논, 특이산성논으로 분류할 경우 각각의 분포면적이 31.9%, 23.0%, 31.9%, 9.1%, 3.9%, 0.2%이었다. 밭토양의 경우에도 보통밭, 사질밭, 미숙밭, 중점밭, 고원밭, 화산회밭으로 6개 유형으로 분류할 경우 각각의 분포면적은 41.9%, 23.3%, 17.5%, 13.9%, 1.1. 2.2% 이었다. 도시화 및 도로확대 등 다양한 토지이용 및 지형개변으로 과거의 토양정보가 많이 변경되었다. 그래서, 앞으로는 인공위성자료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토양조사 방법개발과 기 구축된 토양도의 수정, 보완 작업이 필요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 PDF

Evaluation on national environmental functionality of farming on soil loss using the USLE and replacement cost method (USLE모형과 대체법을 이용한 밭농사의 토양유실 저감기능 계량화 평가)

  • Hyun, Byung-Keun;Kim, Moo-Sung;Eom, Ki-Cheol;Kang, Ki-Kyung;Yun, Hong-Bae;Seo, Myung-Cheol;Sung, Ki-Seo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5 no.6
    • /
    • pp.361-371
    • /
    • 2002
  •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has been an important international issue in terms of environmental benefits and public concerns. We calculated soil loss mass in national basis using the USLE, and attempted to evaluate its economical benefits by replacement cost method. Soil loss mass ranged from 1.4 to $18MT\;ha^{-1}\;yr^{-1}$ was fairly fitted to measured values for 13 cropping systems. In national basis, the factors in USLE were evaluated as: 429.4 for rainfall and runoff factor. R, 0.15 for soil erodibility factor, K, 1.72 for topographic factor, LS, 0.275 for cover and management factor, C, and 0.856 for support practice factor, P. The soil loss estimated from upland farming using the USLE was $26.1MT\;ha^{-1}\;yr^{-1}$, but soil loss from the bare soil was $110.8MT\;ha^{-1}\;yr^{-1}$, the ratio of soil loss from upland farming to bare soil was 23 percents. Function of reducing soil loss in comparison with the bare soil was $84.7MT\;ha^{-1}\;yr^{-1}$, of which national soil loss mass was 62.6 million MT per annum in south Korea. Agriculture economic replacement cost of soil loss reduction was 497 billion Wons(398 million dollars) for the cost of upland soil dressing. For conservational purposes to increase the environmental benefits of upland farming, the agricultural practice including contour, strip cropping, terracing and division ditches should be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