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향센서

Search Result 1,29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etection of moving direction of a pedestrian using piezoelectric sensor array (압전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보행자의 이동방향 감지 방법)

  • Jung, Dong-Hun;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229-232
    • /
    • 2017
  • 기존의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은 개인의 스마트폰 내부에 있는 센서 중 자이로/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이로/가속도 센서는 외부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정확도가 높다고 볼 수 있지만, 스마트폰의 위치에 따라 정확도가 변한다. 따라서, 기존의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은 개인의 이동방향을 감지하기에는 적합하나 다수의 보행자에 대한 이동방향을 시스템에서 인식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보행자에 대한 이동방향을 인식하기 위해 압전센서 어레이를 이용하여 특정 구역의 바닥에 설치하고 보행자와 압전센서 사이의 접촉형태와 개수를 파악하고, 시간을 측정하여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계산한다.

  • PDF

Polarity Verification of Direction Cosine Matrix of Gyro Sensor Using The Earth Rotational Rate (지구 회전 각속도를 이용한 자이로센서의 방향코사인행렬 극성검증)

  • Oh, Shi-Hwan;Kim, Jin-Hee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0 no.2
    • /
    • pp.49-55
    • /
    • 2011
  • A Direction Cosine Matrix (DCM) of each satellites sensor/actuator which contains an directional information of sensor/actuator is implemented in the on-board flight software. In order to verify the polarity of direction cosine matrix, it is mostly used that an actual sensor/actuator output is compared with the expected output value which responses to the pre-defined external stimulus to the sensor/actuator. For the gyro sensors, the Earth rotational rate can be used as an external input for the polarity verification of DCM, without using an artificial stimulus. In this study, the polarity of gyro DCM is checked and verified using the several test data which have been acquired during the different system level test phases. Finally the polarity of DCM was successfully verified using the Earth rotational rate.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Optimum Spatial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of Photosensor for Daylight Responsive Dimming Systems (광센서 조광제어시스템의 광센서 최적 방향성과 위치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정봉근;최안섭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7 no.5
    • /
    • pp.8-14
    • /
    • 2003
  • The daylight responsive dimming system, which uses daylight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light output of electric light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3.vailable daylight, is an energy saving system Successful performance relies on how photosensor signal can precisely represent workplace illuminance. However, it is not accurately identified due to the dynamic nature of the sun and the sky changed with respect to different seasons or tim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workplace illuminance and photosensor signals, and propose an optimal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hotosensor through experiments, which minimizes the above impacts and improve system performance.

Detection of Moving Direction using PIR Senosrs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PIR 센서와 딥러닝을 활용한 이동 방향 인식)

  • Woo, Jiyoung;Yun, Jae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515-51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수동 적외선 (PIR: passive infrared) 센서를 탑재한 센싱 시스템과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PIR 센싱 소자는 사람의 이동 방향에 따라 구별이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4개의 PIR 센서를 $45^{\circ}$씩 증가하도록 배치한 센싱 시스템을 개발하여 실내 천장에 설치한 뒤 6명의 사용자로부터 인식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 동안 PIR 센서 신호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원시 데이터와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여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인식률을 실험하였으며, 제안한 센싱 시스템과 딥러닝 알고리즘이 사용자의 움직임을 99.2%%로 인식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한 개의 센서만을 이용하였을때에도 98.4%의 정확도로 사용자의 움직임 방향을 탐지하였다.

  • PDF

An User Movement State Identification System using Mobile Multi-sensor (모바일 멀티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이동 상태 인식 시스템)

  • Ha, dong-soo;Park,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87-8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멀티 센서 기반의 사용자 이동 상태 인식 서비스에 대해 제안 한다. 이 서비스는 스마트폰 단말의 가속도 센서, 방향센서, GPS 모듈의 정보를 퍼지 규칙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각의 클라이언트들의 현재 위치 및 이동 상황을 인식 하게 된다. 사용자 이동 상태 인식 알고리즘은 가속도 센서와 방향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운동량과 방향을 측정 한다. 측정된 정보는 GPS모듈을 통하여 얻은 실제 이동속도를 계산하여 규칙 기반 퍼지 추론을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인식 하였다. 이동상태 인식 서비스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동일 구간에서 차량, 도보(걷기, 뛰기, 느리게 걷기 등)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측정 하였다.

  • PDF

Sensorless Control Algorithm of a PM Synchronous Motor Under Naturally Rotating by Load (외부부하에 의해 회전중인 영구자석동기전동기의 센서리스 제어 알고리즘)

  • Lee, Han Sol;Cho, Kwan Yuhl;Kim, Hag Wone;Cha, Youn Cheu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72-73
    • /
    • 2017
  • 자동차 라디에이터용 팬과 에어컨 실외기 팬의 경우 영구자석동기 전동기는 자연 상태에서 외부 바람에 의해 임의의 방향과 임의의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런 응용분야에서 회전자 위치검출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방향 및 속도를 비교적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자 위치검출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센서리스 제어의 경우 외부부하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중일 때는 회전자의 위치정보가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부하에 의해 회전자가 임의의 방향 및 임의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 원하는 회전방향으로 원하는 속도로 제어하기 위한 센서리스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회전자가 역방향 및 정방향 저속으로 회전중인 경우와 정방향 고속으로 회전중인 경우에 대해 회전자를 정방향의 주어진 속도로 제어하기 위한 회전자 위치검출 및 센서리스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으로 검증한다.

  • PDF

A Falling Direction Detection Method Using Smartphone Accelerometer and Deep Learning Multiple Layers (스마트폰 가속도 센서와 딥러닝 다중 레이어를 이용한 넘어짐 방향 판단 방법)

  • Song, Teuk-Seob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8
    • /
    • pp.1165-1171
    • /
    • 2022
  • Human behavior recognition using an accelerometer has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As smartphones have become used commonly, a method for human behavior recognition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built into the smartphone is being studied. In the case of the elderly, falling often leads to serious injuries, and falls are one of the major causes of accidents at construction fields. In this article, we proposed recognition method for human falling direction using built-in acceleration sensor and orientation sensor in the smartphone. In the past, it was a common method to use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vector to recognize human behavior. These days, deep learning has been actively studied and applied to various areas.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direction of human falling by applying the deep learning multilayer technique, which has been widely used recently.

Measurement of Transverse Strain Using Polarization Maintaining Fiber Bragg Grating Sensor (편광 유지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이용한 횡방향 변형률 측정)

  • Yoon, Hyuk-Jin;Kim, Dae-Hyun;Hong, Chang-Sun;Kim, Chun-G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6
    • /
    • pp.30-35
    • /
    • 2003
  • In this paper, the transverse strain was measured using polarization maintaining fiber Bragg grating(PMFBG) sensor. PMFBG sensor was fabricated using phase mask and Excidmer laser. The reflected wavelength of PMFBG sensor had dual peaks due to intrinsic birefringence. To find the polarization axes, peak sensitivity was measured under compression test. The signal characteristics of PMFBG sensor were also examined in embedding condition. The embedded PMFBG sensor in epoxy block was loaded for the transverse strain measurement, The wavelength-swept fiber laser(WSFL) was used to construct the PMFBG sensor system. Experiments showed that the PMFBG sensor could successfully measure the transverse strain.

Smart-Phone based User Movement State Identification Algorithm (스마트폰 기반의 사용자 이동상태 판별 알고리즘)

  • Ha, Dong-Soo;Park, Sung-Jun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3
    • /
    • pp.167-174
    • /
    • 2011
  • This paper proposed a smart-phone based user movement state identification algorithm. Then movement state of the user is identified by calculating the location and moving speed using the GPS sensor, and detailed movement methods a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data from the Orientation sensor. In this study, two sensors of the smart-phone were used to implement the user movement status identification algorithm and to perform tests. The reference values of the speed and orientation requir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movement type were defined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vement type of a smart-phone user can be identified using the user movement state identification algorithm.

A Study on Direction Detection in Location-based System without Gyro Sensor (자이로 센서 없는 위치기반 시스템에서 방향 탐지에 관한 연구)

  • Youm,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503-504
    • /
    • 2018
  • 전 세계 스마트폰 보급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고급형 스마트폰 보다는 센서를 제거해 원가를 절감한 보급형 스마트폰이 더 많이 보급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이로 센서가 없을 때의 위치 기반의 방향 탐지 방법으로써 위치를 기반으로 한 벡터를 이용하여 방향을 탐지하고, 높이 축에 대한 제한, 위치 변화 없는 회전에 대한 제한 등의 제약들을 개선할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