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제적기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6초

적기, 적량 약제가 살포되도록 대농민 지도에 최선 다하겠다. -올해 방역행정의 이모저모-

  • 조태호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5권2호
    • /
    • pp.4-10
    • /
    • 1984
  • 옛부터 눈이 많은 해는 풍년이 든다는 이야기가 있다. 금년에도 틀림없이 대풍을 사전에 약속이나 해주듯 창밖에는 많은 눈이 내리고 있다. 금년 새해를 시작하면서 생각해 보는 이들중의 하나, 병해충과의 싸움에서 전년보다는 더욱 내실있고 알차게 추진되어야 할텐데$\ldots$ 우리나라 농사가 자연에만 의존하던 60년대에 이어 인공풍년을 만들어 가고 있다는 오늘날의 농사, 자연에 순응하면서 이에 적극 대처해 나가고 있는 우리들의 자세는 ''좋은 것은 더욱 좋게''라는 농촌 청소년들의 슬로건과 같이 더욱 노력하여 알찬 결실을 맺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에 금년도에는 취약지 중점 방제로 병충해 일소라는 큰 목표를 내걸고 병해충과의 싸움에 기필코 승리하고자 한다.

  • PDF

초기 부란병 발생이 많았고 후기 해충의 발생이 심했다 - 올 과수 병해충 발생동향을 진단한다 -

  • 김성봉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5권11호
    • /
    • pp.65-74
    • /
    • 1984
  • 이제 1984년의 과수농사도 마무리 되어가는 늦가을의 뒷전에서 언제나처럼 금년에도 또한 어려웠던 농사일의 기억을 되살리며 잘 잘못을 가려볼때가 되었다. 금년의 농사는 년초부터 가뭄, 한파, 이상고온, 홍수등의 기상이변으로 과수병해충의 발생도 다양해서 그 어느해 못지않게 어려웠던 한 해였지만 그래도 농민 여러분의 피와 땀과 노력으로 이 어려움을 극복하여 지난해의 과실생산량에 비하면 적기는 하지만 ''82년에 비하면 $5\sim6\%$의 증수가 예상되며 이를 보더라도 농사에 쏟은 정열이 얼마나 뜨거웠으며 농사기술 또한 많이 향상되었음이 느껴진다. 본고를 통하여 열심으로 농사를 지어주신 여러분들께 감사드리며 금년의 과수 병충해 발생동향을 점검하고 분석하여 내년의 병충해 방제에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PDF

복분자딸기에서 차응애의 발생소장과 천적과 살비제 교호사용의 방제효과 (Seasonal Occurrence of Tetranychus kanzawai and Control Efficacy of Alternate Use of Natural Enemy and Miticide in Rubus coreanus Field)

  • 임주락;유진;정성수;최동칠;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3-239
    • /
    • 2010
  • 복분자딸기에 발생하는 차응애의 발생소장과 방제적기를 조사하고, 천적과 살비제의 교호사용에 의한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익산지역에서 차응애는 5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7월에 밀도가 높았다가 8월 이후에 낮아지는 경향으로 조사기간 동안에 년 2~4회 발생피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비제에 의한 차응애 적정 방제시기는 5월 상순부터 중순까지였으며, 방제방법으로는 차응애 발생 초기에 살비제와 천적을 교호로 처리하였을 때 차응애에 대한 밀도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수량도 무처리(559kg/10a)에 비하여 638kg/10a로 가장 높았다.

시설과채류(오이, 참외)의 뿌리혹선충 종합방제에 관한 연구 (Study on Integrated Control against Root-knot Nematode of Fruit Vegetables (Oriental Melon and Cucumber) in Vinyl House)

  • 박소득;박선도;권태영;최부술;이원식;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5-81
    • /
    • 1995
  • 시설 과채류 재배지의 뿌리혹선충의 피해경감을 위해서 경북도내 시설 오이 재배단지인 칠곡과 참외재배 주산지인 성주에서 1992년부터 1994년까지 3년간 방제시험한 결과 뿌리혹선충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토양개량 적기는 모래산흙인 마사토의 경우에 3년 붉은산흙인 경우 4년마다 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농약과 조합한 오이의 방재시험에서 빗사마드 분제가 78.2%, 카보입제+토양반전+담수가 71.2%, 카보입제+담수가 66.3%이었으며 참외에서 살충제처리후 20일에는 77.7~80.6%의 방제효과를 보였으나 60일 후에는 33.7~49.5%로 방제가 낮아 후기에는 효과가 낮았다. 참외재배 논에서의 작부체계에 따른 뿌리혹선충 밀도 억제효과는 참외 재배후 담수하여 벼를 재배할 때에 벼 수확시 방제효과가 91.1%로 대부분의 선충이 사멸되었다. 각 처리구 공히 처리당시에는 뿌리혹선충 증식을 억제하였으나 생육추기로 갈수록 선충밀도가 증가되었다. 그러나 토양개량은 3년간 효과적이였으며 가장 경제적으로 선충의 증식을 억제하 수 있는 처리는 3년마다 한번씩 벼를 재배하는 것이었다.

  • PDF

벼 무경운(無耕耘) 건답직파재배시(乾畓直播栽培時) 둑새풀 방제적기(防除適期) 구명(究明) (An Optimum Control Time of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Ohwi in No - tillage Dry Seeded Rice)

  • 황정동;박성태;김상열;이기영;김순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2-367
    • /
    • 1997
  • 벼 무경운(無耕耘) 건답직파재배시(乾畓直播栽培時) 둑새풀 방제적기(防除適期) 구명(究明)하기 위해 '96년(年) 3월(月) 15일(日)부터 5월(月) 15일(日)까지 15일(日) 간격(間隔)으로 5회(回) 비선택성(非選擇性) 제초제(除草劑)인 Paraquat dichloridc를 ha당(當) 3000ml를 살포(撒布)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둑새풀 방제시(防除時) 둑새풀 발생량(發生量)은 42-237g/$m^2$으로 둑새풀 방제시기(防除時期)가 늦을수록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다. 2. 파종시(播種時) $m^2$ 당(當) 둑새풀 발생량(發生量)은 3월(月) 15일(日) 및 3월(月) 20일(日) 방제구(防除區)는 각각(各各) 68.3g, 26.3g,이었고 4월(月) 15일(日) 이후(以後)는 0.62g으로 둑새풀 방제가(防除價) 98% 이상(以上) 이었다. 3. 파종후(播種後) 30일(日) 둑새풀 발생량(發生量)은 3월(月) 15일(日) 방제구(防除區)는 35.4g/$m^2$으로 둑새풀 방제가(防除價)가 69.2% 이었으나 3월(月) 30일(日) 이후(以後) 방제구(防除區)는 둑새풀 발생량(發生量)이 0.4-8.2g/$m^2$으로 방제가(防除價)는 92.9% 이상(以上)으로 높았다. 4. 출아기(出芽期) 둑새풀 무방제구(無防除區)는 6월(月) 7일(日) 이었으나 3월(月) 15일(日) 방제구(防除區)는 6월(月) 6일(日), 3월(月) 30일(日) 방제구(防除區)는 출아기(出芽期)는 다같이 6월(月) 4일(日)로서 둑새풀 무방제구(無防除區) 대비(對比) 방제구(防除區)는 출아기(出芽期)가 1-3일(日)이 빨랐다. 5. $m^2$당(當) 입모수(立毛數)는 93-110개(個) 이었는데 4월(月) 30일(日) 및 5월(月) 15일(日) 둑새풀 방제구(防除區)는 93-95개(個)로 입모수(立毛數)가 11-17개(個)/$m^2$가 적었다. 6. 둑새풀 부숙장해(腐熟障害)는 4월(月) 30일(日) 및 5월(月) 15일(日) 방제구(防除區)에서 3-4정도(程度) 발생(發生)하였고, 오갈병은 둑새풀 무방제구(無防除區) 및 3월(月) 15일(日) 방제구(防除區)에서 1-2정도(程度) 발생(發生)하였다. 7. 출수기(出穗期)는 둑새풀 무방제구(無防除區)(8월(月) 18일(日))에 비해 3월(月) 15일(日) 방제구(防除區)는 같았으나 3월(月) 30일(日) 이후(以後) 방제구(防除區)는 1일(日)이 빨랐다. 8.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는 대체로 등숙비율(登熟比率), 천립중(千粒重), 수당입수(穗當粒數)는 치리간(處理間)에 별차이가 없었으나 수수(穗數)는 4월(月) 15일(日) 방제구(防除區)에서 가장 많았고 이 시기(時期)를 기준(基準)으로 방제시기(防除時期)가 빠르거나 늦어질수록 약간씩 적었다. 9. 쌀 수량(收量)은 둑새풀 무방제구(無防除區) 4.40ton/ha에 비하여 둑새풀 방제구(防除區)는 4.52-4.79ton/ha으로 무방제구(無防除區) 대비(對比) 3-9% 증수(增收) 되었고 둑새풀 방제구간(防除區間)에는 4월(月) 15일(日) 둑새풀 방제구(防除區)에서 가장 높았다.

  • PDF

입제의 수면처리에 의한 주요수도해충의 동시방제 (Simultaneous Control of Several Rice Insect Pests by Broadcasting Application of Granulated Insecticides (Terracur P, Lebaycid, and Gamma-BHC))

  • 최승윤;배상희;송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2
    • /
    • 1970
  • 본 시험은 유기인계 살충제인 Terracur P입제 및 Lebaycid 입제와 유기염소계 살충제인 상감마입제$(\gamma-BHC 입제)$를 수면시용 하였을때 수도요해충인 이화명충, 끝 동매미충, 애멸구 및 흰둥멸구에 대한 동시방제가능성과 방제적기를 구명하고 약제간의 방제효과를 비교코저 실시하였다. 얻어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처리후 부화직후 이화명충 접종 시험에 있어서 상감마와 Terracur P는 높은 살충율을 보였으나 Lebaycid의 살충율은 낮았다. 約 $50\%$ 살충력 잔효일수에 있어서 상감마는 8-14日이었고 Terracur P는 6일간이었다. 2) 당초 계획된 방제적기에 관한 정보는 얻을 수 없었다. 즉 주어진 일간격이 좁아 유의한 차를 얻을 수 없었다. 3) 1,2화기 이화명충에 대한 방제효과는 Terracur P=상감마>Lebaycid의 순이었다. 4) Terracur P와 Lebaycid 입제의 처리는 끝동매미충의 방제효과가 좋았으나 상감마$(\gamma-BHC 입제)$의 방제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끝동매미충에 대한 Terracur P와 Lebaycid입제의 잔효력은 30일 이상이었다. 5) 애멸구와 흰등별구에 대한 시험은 충의 서식밀도가 낮기 때문에 약제간 방제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6) 공시약제중 Terracur P와 Lebaycidd입제는 이화명충과 끌동매미충의 동시방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 PDF

복숭아씨살이좀벌(Eurytoma maslovskii )에 의한 전남지역 매실 피해현황, 발생생태 및 방제적기 (Damage, Occurrence, and Optimal Control Period of Eurytoma maslovskii Affecting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Fruits in Jeonnam Province)

  • 최덕수;고숙주;마경철;김효정;김도익;김현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91-197
    • /
    • 2015
  • 복숭아씨살이좀벌(Eurytoma maslovskii)에 의한 전남지역 매실 낙과피해는 해안지역인 완도, 신안, 여수, 무안을 제외한 전 지역에 발생하였고 평균 피해과율은 2013년 67%, 2014년 33.3%였다. 이 씨살이좀벌은 매실 씨방에서 노숙유충으로 월동을 하는데 7, 8월의 장마철을 지나며 생존율이 30% 내외가 되었다. 알은 길이 0.68 mm, 폭 0.29 mm의 유백색이며 장타원형으로 양 끝부분에 실모양의 돌기를 붙이고 있다. 다 자란 노숙유충은 길이 6.56 mm, 폭 3.18 mm이다. 번데기는 검정색 나용이고, 성충은 암 6.97 mm, 수 4.90 mm이고 암컷의 산란관 길이는 0.64 mm 였다. 성충 우화시기는 4월 상순(매실 직경 4 mm)~5월 상순(17 mm)이고, 우화 최성기는 4월 중순이었다. 성충의 평균수명은 13.5일이고, 암수성비는 45.9 : 54.1이다. 과일당 평균 산란수는 1개 61.5%, 2개 30.8%이고 최대 4개까지 산란하였지만 동종포식에 의해 최종적으로 1마리의 유충만 서식한다. 성충의 매실에 산란시기는 4월 하순(직경 12~16 mm)이며 그 후에는 씨방벽이 딱딱하게 경화되어 유충이 씨방으로 침투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성충의 산란을 예방하기 위한 방제적기는 4월 중순부터 5일 간격으로 2~3회 적용약제를 살포하는 것이다.

옥수수밭 예방적 잡초방제를 위한 가묘상 처리 시기 (False Seedbed Weed Control under Different Preparation Date and Method in Organic Corn Field)

  • 이병모;조정래;안난희;옥정훈;김석철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99-304
    • /
    • 2014
  • 본 연구는 예방적 잡초방제 중 하나인 가묘상의 이용방법을 체계화 하고자 처리방법과 처리시기를 달리하여 옥수수 밭에서 수행하였다. 가묘상 처리 적기를 찾기 위하여 5월 초부터 6월 초까지 1주 단위로 실시하고 3주와 7주 후 발생 잡초를 조사하였다. 잡초 억제 효과가 가장 좋았던 가묘상 처리시기는 5월 하순 이후 처리, 처리 방법으로는 화염 제초가 얕은 경운 처리보다 다소 좋았다. 또한 5월 중순 이후 가묘상 1회 처리시 무처리구 대비 27-52%였던 잡초억제율이 2회 처리시 70-90%로 높아져 가묘상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옥수수 생육 및 수량 또한 5월 하순 이후 처리구가 가장 좋았다. 이 결과를 종합했을 때 가묘상 처리 적기는 5월 하순 이후였으며 얕은경운 또는 화염으로 2회 처리를 하면 효과적인 초기잡초관리를 수행할 수 있었다.

고추 세균점무늬병 발생에 따른 수량 변화와 경제적 방제수준 설정 (Determination of Economic Control Thresholds for Bacterial Spot on Red Pepper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 김주희;정성수;이기권;임주락;이왕휴
    • 식물병연구
    • /
    • 제21권2호
    • /
    • pp.89-93
    • /
    • 2015
  • 고추 세균점무늬병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경제적 방제수준을 설정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노지고추 세균점무늬병 발생정도와 수량과의 회귀식은 Y=-0.724X+281.58, $R^2=0.78$, $r=-0.88^{**}$ 성립하였다. 노지고추 세균점무늬병 발생정도와 수량감소와의 회귀식은 Y=0.813X+15.95, $R^2=0.78$, $r=0.88^{**}$ 성립하였다. 성립된 회귀식을 이용하여 노지 고추 수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의 세균점무늬병 방제적기는 발생 발병엽률이 30.3% 이하이었다. 또한 고추 세균점무늬병 경제적 방제수준은 노지 고추 세균점무늬병 발생정도가 16.3% 이하로 결정되었다.

매실 복숭아씨살이좀벌에 대한 유기농업자재 선정 및 방제적기 (Eco-friendly Materials Selection and Control timing to Eurytoma maslovskii in Japanese Apricot)

  • 조영식;송장훈;최진호;최장전;김명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3-130
    • /
    • 2016
  • 실내에서 복숭아씨살이좀벌 성충 침적법으로 유기농업자재에 의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2014년에 'Extract of Sophora flavescens roots'가 84.7%의 살충률을 보였으며, 'Extracts of Neem II' 등 5개 자재는 100%의 살충률을 보였고, 2015년에 'Plant extract Matrine 0.5%+paraffin oil 8%'와 'Plant extract+pyrolignous acid Matrine 0.45%'가 각각 100, 94.6%의 보정살충율을 보였는데, 광양 다압 지역에서의 방제효과가 2014년과 2015년 4년 4월 21일에 살포시 방제효과가 좋아 실내와 포장에서 처리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고, Plant extract Matrine 0.5%+paraffin oil 8%'도 2015년에 실내와 포장에서의 살충효과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한편, 유기농업자재 살포시기에 따른 방제효과는 대체로 광양 다압 농가에서는 4월 하순 살포가, 순천 황전 농가에서는 4월 하순~5월 상순에 살포하는 것이 방제효과가 좋았는데, 광양 다압에서 2015년에 4월 21일과 27일 각각 1회씩 살포한 것과 2회 살포한 시험수에서 방제효과 차이는 없었으나 순전 황전 지역의 농가에서는 2회 살포한 시험수에서 방제 효과가 더 좋았다. 따라서, 유기재배 매실에서 살충효과가 있는 유기농업자재의 사용은 4월 중하순에 2회 이상 방제가 필요하고, 피해 양상이나 주변의 여건에 맞추어 방제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