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제율

검색결과 630건 처리시간 0.031초

벼 흰잎마름병균 파지의 생태학적 특성 및 이를 이용한 생물방제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teriophages Infecting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and Their Use as Biocontrol Agents)

  • 유상미;노태환;김동민;전태욱;이영기;이세원;유오종;김병석;이용훈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90-94
    • /
    • 2011
  • Xanthomonas oryzae pv. oryzae에 의해서 발생하는 벼 흰잎마름병은 세계적으로 벼 재배지역에서 큰 피해를 주고 있다. 그러나, 이 병의 효과적인 방제 수단은 적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벼 재배지의 관개수에서 분리한 Xoo 파지를 이용하여 흰잎마름병을 생물적으로 방제하고자 하였다. 먼저 포장에서의 사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H, 온도, 자외선에 대한 Xoo 파지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Xoo 파지는 pH 5-pH 10 사이에서는 안정적이었고, $50^{\circ}C$에서 1시간 이상 처리시 대부분 불활성화 되었다.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는 약 2분간의 노출에서도 불활성화 되었다. 벼의 유묘에 살포한 파지는 세균이 없이도 7일간 벼 잎에서 활성을 유지하였고, 스킴 밀크에 혼합하여 살포하면 PBS 완충액에 넣어 살포한 것 보다 10배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생존율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포장에서의 방제효과는 저조하였다. 하지만 파지 혼합액을 Tecloftalam WP, ASM 등과 혼합하여 동시에 살포하면 방제효과가 월등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Xoo 파지가 흰잎마름병의 방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약제의 사용 빈도나 농도를 줄여 줄 수 있을 것임을 의미한다.

버즘나무방페벌레의 약제방제(藥劑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Chemical control of Sycamore Lace Bug, Corythucha ciliata(Say))

  • 김철수;박지두;변병호;박일권;채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84-388
    • /
    • 2000
  • 최근 버즘나무류에 문제가 되고 있는 버즘나무방패벌레 방제를 위한 약제시험을 수간주사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한 결과 모노포, 포스팜, 이미다크로프리드, 치아메톡삼 및 아세타미프리드 처리에서 각각 99.6%, 88.9%, 98.9%, 99.7%와 100%의 높은 살충율을 보였다. 수간주사한 약제의 약효지속성을 조사한 결과 1개월 이상 경과한 약제처리 잎에 공시충을 접종하여도 높은 치사율을 보여 본 해충의 생태특성상 년간 2-3회 이상에 걸쳐 방제해야 되는 수관살포법에 반해 수간주사법은 1회 처리로 방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방제인력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간주사 시 적용할 수 있는 경급별 적정약량 기준표 작성을 위해 흉고직경 크기에 따라 $1.0m{\ell}/DBH\;cm$, $1.5m{\ell}/DBH\;cm$, $2.0m{\ell}/DBH\;cm$의 약량을 수간주입한 결과 흉고직경 20cm 이하에서는 DBH cm당 $1.0m{\ell}$의 약량으로 95% 이상의 살충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30-50cm에서는 $1.5-2.5m{\ell}$의 약량을 필요로 하였으며 50cm 이상의 대경목에서는 그 이상의 약량이 소요되었다. 한편 버즘나무방패벌레 수관살포약제 선발을 위하여 성충과 약충이 동시 가해하는 6월 하순에 3개 약종에 대한 엽면살포시험을 실시한 결과 에토펜프록스 20%EC, 에토펜프록스 10%WP, 할로스린 1%EC 처리에서 99%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 PDF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VI. 입제형 침투성 살충제의 근계주변 토중처리효과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VI. Effect of the Root-Zone Treatments of Some Granular Systemic Insecticides)

  • 최승윤;박형만;정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8-141
    • /
    • 1982
  • 본 시험은 침투성 살충제의 적송 근계주변 토중처리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여 유교 살충제의 선발, 나아가 현행 근계주변 토중처리 방법을 성력적인 처리방법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ldicarb$(Temik^{(R)}\;15G)$, Carbofuran$(Curaterr^{(R)}\;3G)$, Disulfoton$(Disyston^{(R)}\;5G)$를 고시, 흉고직후 cm 당 5g(유효성분량)을 근계주변원형처리(6월 25일)하여 솔잎 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Curaterre^{(R)},\;Temik^{(R)}$ 처리는 솥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우수하였으나 Disyston 처리의 방제효과는 낮은 편이었다. 난, 무처리에서 건전엽률, 피해흔적엽율은 각각 $49.9\%,\;16.4\%,\;33.7\%$인데 비하여 $(Temik^{(R)}$ 처리에서는 그들이 각각 $27.9\%,\;65.4\%,\;6.7\%$이었고 $Curaterr^{(R)}$ 처리에서는 각각 $64.8\%,\;23.7\%,\;1.5\%$이었으며 $Disystone^{(R)}$ 처리에서는 각각 $49.6\%,6.3\%,\;24.1\%$ 이었다. 처리방법 개선을 위한 시험에서는 $Temik^{(R)}$ 공시, 균고직경 cm 당 5g(유교성분량)을 6월 2일에 점식구 처리 (Pit treatment), 방사상식고랑처리(Radical furrow treatment),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Circle furrow treatment)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점식구멍처리에서는 구멍수의 증가에 따라 충영엽율이 낮었으며 방사상식고랑처리는 고랑수에 따른 충영엽율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현행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는 점식 3구멍처리와 대등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결론으로 $Temik^{(R)}$$Curaterr^{(R)}$의 토중처리효과는 대등하여 $Temik^{(R)}$의 대체 가능하다고 보며 $Temik^{(R)}$의 점식 3구멍 처리방법을 도입함으로서 토중처리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지에서 제초제 사용에 의한 광대나물 방제 (Weed Control of Henbit Deadnettle Using Herbicide on Cultivating Field of Italian Ryegrass)

  • 김기용;최기준;이상훈;이기원;김원호;정민웅;서성;김맹중;지희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9-394
    • /
    • 2011
  • 본 논문은 국내육성 IRG 신품종 "코윈어리" 재배지에서 광대나물의 방제법을 구명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연구한 결과이다. 잡초 억제율은 원호프 2회 처리구에서 90%로 가장 높았으나, IRG 피해도 커서 사용할 수 없으며, 그 다음으로 MCPP 2회 처리구에서는 잡초 억제율이 82%로 방제효과가 높고 IRG 피해도 적으며 잡초방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대나물 방제를 위해 MCPP를 10일간격으로 2회 살포한 경우, 건물생산량은 ha당 11,427 kg으로서 무처리구의 1,658 kg에 비해 598% 증가하였다. 다시 말해서 MCPP를 처리하지 않으면 조사료 수확이 불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포장에서 월년생 잡초 광대나물을 방제하려면 3월 중순에 MCPP를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면 되며, 조사료 생산량도 ha당 11,427 kg으로서 정상적인 수량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간 홍삼복방제 투여가 혈중 지질 및 체지방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the Blood Lipid Profiles and Body Fat by Long Term Administration of Red Ginseng Product)

  • 김성수;박호윤;변용현;황부근;이재현;심영제;박채규;박명한;양재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67-73
    • /
    • 2002
  • 장기간의 홍삼복방제 투여가 혈중지질 및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체지방율이 30% 이상인 여학생 28명을 대상으로 위약군(placebo group, n=7명), 홍삼복방제투여군(red-ginseng product administration group, n=7명), 운동군(exercise group, n:1평), 운동 및 홍삼복방제투여군(exercise and red-ginseng product administration group, n=7명) 등 네 집단으로 분류하여 12주간의 실험기간에 따른 TC, TG, HDL-C, LDL-C, 체중 및 체지방의 변화를 관찰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TC, TG, LDL-C의 경우 실험 12주후 위약군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홍삼복방제투여군(p<.001), 운동군(p<.01), 운동 및 홍삼복방제투여군(p<.001)] 감소를 보였다. HDL-C의 경우 실험 12주후 위약군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유의하게[홍삼복방제투여군(p<.05), 운동군(p<.01), 운동 및 홍삼복방제투여군(p<.001)] 증가하였다. 체중, 체지방율, 체지방량의 경우 실험 12주후 위약군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홍삼복방제투여군(p<.001), 운동군(p<.001), 운동 및 홍삼복방제투여군(p<.001)] 감소를 보였다. 제지방량의 경우 실험 12주후 위약군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유의하게[홍삼복방제투여군(p<.05), 운동군(p<.001), 운동 및 흥삼복방제투여군(p<.001)] 증가하였다.

Bacillus thuringiensis와 고삼추출물 혼합처리에 의한 파밤나방 방제효과 (Combination Effects of Bacillus thuringiensis and Sophora Extract on Spodoptera exigua)

  • 한지희;김윤지;정혜주;김정준;이상엽;김다연;안성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21-831
    • /
    • 2016
  • 본 연구는 난방제 해충인 파밤나방을 농가에서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 Bacillus thuringiensis와 고삼추출물 혼합처리에 의한 살충효과를 실내 포트 및 포장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실내 포트 실험에서 BT를 농도별($1{\times}10^5$, $1{\times}10^6$, $1{\times}10^7cfu\;mL^{-1}$)로 처리하였을 때 파밤나방의 살충율은 27.5%, 51.3%, 92.5%로 농도가 높아질수록 살충율이 증가하였다. BT ($1{\times}10^5$, $1{\times}10^6$, $1{\times}10^7cfu\;mL^{-1}$)와 0.033% 고삼추출물 혼합처리구의 살충율은 98.8%, 88.8%, 91.3%로 BT 단독처리보다 BT+고삼추출물 혼합처리구가 높은 살충율을 나타냈으며, 혼합된 BT의 농도가 낮을수록 살충율 증가가 높았다. 각 처리별 파밤나방의 식이저해 효과는 BT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포장 실험에서도 실내포트 실험과 유사하게 BT 단독처리구(14.4%, 26.7%, 66.7%)보다 고삼추출물 혼합처리구가 높은 살충율(72.2%, 67.8%, 61.1%)을 나타냈으며 식이저해효과 또한 실내실험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농가에서 파밤나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BT 단독처리보다 0.033% 고삼과 BT($1{\times}10^5cfu/ml$)를 혼합하여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친환경 자재가 배 과원의 병해충 방제 효과 및 과실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on Insect and Disease Occurrence and Fruit Quality in Pear Orchards)

  • 최현석;오수옥;김월수;이 연;최병민;국용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5-416
    • /
    • 2011
  • 본 실험은 '신고' 배 과원에 친환경 자재인 키틴분해미생물 배양액에 님오일, 은나노, 그리고 보르도액을 혼용하였을 경우, 그리고 위 친환경 자재에 합성농약을 살포했을 때 흑성병과 가루까지벌레 방제율, 과실품질 그리고 항산화 물질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친환경 자재를 이용한 무농약 처리구인 키틴분해미생물+님오일은 잎과 과실의 흑성병 감염율을 30% 이하로 감소 시켰으나 키틴분해미생물에 은나노나 보르도액 혼용은 높은 감염율을 보였다. 친환경 자재에 합성농약 처리구는 흑성병 감염율을 20% 이하로 감소시켰다. 키틴분해미생물+보르도액 무농약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가루깍지 벌레 발생율을 모두 10% 이하로 감소시켰다. 과실품질 특성은 처리구간에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과실 적색을 나타내는 Hunter value a값은 병해충 발생율이 높았던 키틴분해미생물에 은나노나 보르도액을 혼용한 무농약 처리구에서 합성농약 처리구보다 더 높게 관찰되었다. 친환경 자재에 무농약 처리구 과실이 합성농약 과실 보다 과피의 페놀함량을 제외하고 과피와 과육에서 높은 총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항산화활성을 보여주었다.

매실 복숭아씨살이좀벌에 대한 유기농업자재 선정 및 방제적기 (Eco-friendly Materials Selection and Control timing to Eurytoma maslovskii in Japanese Apricot)

  • 조영식;송장훈;최진호;최장전;김명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3-130
    • /
    • 2016
  • 실내에서 복숭아씨살이좀벌 성충 침적법으로 유기농업자재에 의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2014년에 'Extract of Sophora flavescens roots'가 84.7%의 살충률을 보였으며, 'Extracts of Neem II' 등 5개 자재는 100%의 살충률을 보였고, 2015년에 'Plant extract Matrine 0.5%+paraffin oil 8%'와 'Plant extract+pyrolignous acid Matrine 0.45%'가 각각 100, 94.6%의 보정살충율을 보였는데, 광양 다압 지역에서의 방제효과가 2014년과 2015년 4년 4월 21일에 살포시 방제효과가 좋아 실내와 포장에서 처리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고, Plant extract Matrine 0.5%+paraffin oil 8%'도 2015년에 실내와 포장에서의 살충효과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한편, 유기농업자재 살포시기에 따른 방제효과는 대체로 광양 다압 농가에서는 4월 하순 살포가, 순천 황전 농가에서는 4월 하순~5월 상순에 살포하는 것이 방제효과가 좋았는데, 광양 다압에서 2015년에 4월 21일과 27일 각각 1회씩 살포한 것과 2회 살포한 시험수에서 방제효과 차이는 없었으나 순전 황전 지역의 농가에서는 2회 살포한 시험수에서 방제 효과가 더 좋았다. 따라서, 유기재배 매실에서 살충효과가 있는 유기농업자재의 사용은 4월 중하순에 2회 이상 방제가 필요하고, 피해 양상이나 주변의 여건에 맞추어 방제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문제시 되는 수박 과일썩음병에 대한 방제효과 분석 (Analysis of Control Efficacy of Bacterial Fruit Blotch Caused by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in Recent Issues)

  • 백창기;이성찬;박미정;한경숙;김홍기;이윤수;박종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46
    • /
    • 2016
  •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에 의해 발생하는 수박 과일썩음병은 수박재배지역에 문제병해이다. 수박 과일썩음병 방제를 위해 시판되는 살세균제로 방제효과 조사하였다. 고체배지를 이용한 생장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옥솔린산 수화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 등에서 과일썩음병균 생장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총 4종의 살세균제를 사용하여 종자침지, 유묘기에 발생한 수박 과일썩음병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종자침지에서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가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고, 유묘기에 발생한 수박 과일썩음병 방제에는 아시벤졸라-에스-메틸+만코제브 수화제가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온탕침지 처리법으로도 병든 수박종자에 발생하는 수박 과일썩음병 감염율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데, 그 처리조건은 $50{\sim}55^{\circ}C$에서 20~30분간 처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수박재배농가와 육묘재배인이 사용 가능한 방법으로 수박 과일썩음병의 효율적인 방제법이 확립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길항세균을 이용한 상추 균핵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Sclerotinia sclerotiorum in Lettuce Using Antagonistic Bacteria)

  • 전봉관;박수지;김진원
    • 식물병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20
    • /
    • 2013
  • 상추 균핵병균에 대하여 길항력을 나타내는 세균을 분리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8년에 걸쳐 초봄에 경기도 남양주시 관내 상추 시설재배지에서 균핵병이 발병한 포장의 토양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토양을 희석평판법을 이용하여 총 196개의 세균을 분리하였고, 분리한 세균을 실험실에서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과의 대치배양을 통해 균사생장억제율이 80% 내외로 우수한 길항력을 나타내는 26개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26개 균주를 16S rDNA염기서열분석으로 동정한 결과 Bacillus megaterium, B. cereus, B. muralis, B. velezensis, Arthrobacter nicotianae, A. oryzae, Pseudomonas fuscovaginae, P. flavescens,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Sphingobacterium faecium으로 동정되었다. 길항세균의 균사생장억제율이 높게 나타낸 10개 균주를 대상으로 여름철 포트실험을 통해 균핵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B. cereus(C210)와 B. megaterium(DK6)이 각각 20%와 35%의 균핵 생존율을 나타냈다. 겨울철에 온실 내에서 포트실험을 통해 상추 균핵병에 대해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가 80%의 발병율을 나타냈으나, 26개 균주 중 9개 균주가 20% 정도의 발병율을 나타내 향후 상추 균핵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길항세균으로서의 활용가치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