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사선안전

Search Result 99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96 방사선 안전 관리 실적

  • 임재호
    • Nuclear industry
    • /
    • v.17 no.2 s.168
    • /
    • pp.19-32
    • /
    • 1997
  • 원자력발전소 안전성 확보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원전 시설 내에 근무하는 종사자와 원전 주변 주민은 물론, 생활 환경을 방사선과 방사성 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원전운영으로 인한 각종 영향이 법적 제한치 이내에서 최소화되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방사선 안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질 때 국민적 신뢰가 확보되고, 원전 사업 기반은 더욱 튼튼하게 뿌리를 내리게 될 것이다. 96년도에 수행한 주요 방사선 안전 관리 실적에 대해 방사선 관리, 방사성 폐기물(이하 방사물) 관리, 환경 방사능 관리, 방사능 재해 등의 분야로 나누어 점검해 본다.

  • PDF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y Clinical Pathologists (임상병리사의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고찰)

  • Kim, Jean-Soo;Lee, Jin-Yong;Lee, Moo-Sik;Na, Baeg-Ju;Hong, Jee-Young;Go, Eun-J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1052-1056
    • /
    • 2011
  • 이 연구는 동위원소실에 근무하는 임상병리사들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수준을 조사하여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2010년 10월부터 11월까지 대전 충청권 및 서울 경기권 동위원소실 임상병리사를 연구 대상자로 하여 연구자자 임의로 선정 직접설문, 또는 우편방식으로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정, ANOVA,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점수는 평균은 11.5점이었으며 표준편차는 ${\pm}$1.9 분포를 보였다.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태도 점수는 평균 69.0점, 표준편차는 ${\pm}$5.4이었다. 방사선 방어에 대한 행위점수는 평균은 57.1점, 표준편차 ${\pm}$3.5이었다.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에 있어 이론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에 비해 수행이 현저히 떨어진 결과가 나왔으며,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행위와의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행위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종사자법정교육, RI 면허취득, 지식, 태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위원소실에 근무하는 임상병리사의 방사성동위원소 안전관리 행위는 태도에 비하여 수행이 현저히 떨어진 결과가 나왔고, 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종사자법정교육, RI 면허취득, 지식점수, 태도점수를 알 수 있었다. 업무 진행에 있어 잘못된 지식의 습득 및 태도를 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있으며 이를 바로 잡을 수 있도록 안전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함과 더불어 RI면허 취득, 방사선 종사자에게 교육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한 적절한 교육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Investigation of Personal Dosimeter Loss Case and Measures to Prevent Loss (개인선량계 분실 사례 및 분실 방지 방안 조사)

  • Seong-Woo Park;Hyeon-Sik Park;Yeong-Jae Park;Geong-Jae Lee;Gi-Baek Oh;Seong-Ha Lee;Min-Seok Kim;Ju-Eon Park;Moon-Hui Won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 /
    • v.27 no.1
    • /
    • pp.66-70
    • /
    • 2023
  • Purpose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personal dosimeters by analyzing and sharing personal dosimeter loss cases and loss prevention meas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17 to 2021, data on the number of lost personal dosimeters were collected at large hospitals, and the number of personal dosimeters issued and lost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order to prevent loss by institution, methods such as the use of auxiliary rings, contact stickers and dosimeter necklaces were implemented. Conclusion Hospitals are a business that frequently changes clothes, such as surgical gowns and work clothes, so there is a lot of los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oss rate increases as the number of personal dosimeters issued increases.

  • PDF

정책 - 제2차('17~'21년) 원자력안전종합계획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6 no.12
    • /
    • pp.2-10
    • /
    • 2016
  •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2월 8일 제62회 원자력안전위원회를 개최하고, '제2차('17~'21년) 원자력안전종합계획안'에 대한 심의를 거쳐 동 계획을 확정하였다. 제2차 종합계획은 '국민이 공감하는 원자력 안전, 방사선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비전으로 원자력, 방사선 및 핵안보 등 분야별 안전 강화를 위한 7대 전략 21개 중점 추진 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triangle}$정상 운전부터 중대사고까지 원전의 안전 관리 강화, ${\triangle}$정보 공개 소통을 통한 투명성 제고, ${\triangle}$해체 사용후핵연료 등 원자력산업의 후행주기 안전 관리 체계 구축, ${\triangle}$지진 등 재난대비 및 방사능 비상 대응 체계의 실효성 제고, ${\triangle}$핵안보 핵비확산체제의 국제사회 선도, ${\triangle}$환경 변화에 대응한 선제적 방사선 안전 관리, ${\triangle}$R&D, 인력 양성, 국제 협력 인프라 확충 등이다. 원자력안전종합계획은 "원자력안전법"에 근거하여 5년 단위로 수립되는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 관련 최상위 국가 계획이다.

  • PDF

A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on General Knowledge Related to the Safety of Living Radiation (생활방사선안전 관련 일반지식 측정도구 개발 및 실태분석)

  • Choi, Kyoungho;Seo, Hye-You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2 no.4
    • /
    • pp.205-211
    • /
    • 2022
  • Various radioactive materials exist around us. In recent years, as interest in health has increased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examinations using radiation are also increasing. This research defined aforementioned radiation as a living radiation and developed a measurement to measure general knowledge people have on it. Eighteen reliable items were developed; current status on general knowledge regarding the safety of living radiation was analyzed using the items. As a result, a group with radiation-related education got statistically higher score than a group without such edu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igher attention on usual safety leads into the greater knowledge on safety of living radi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shed lights on the necessity of radiation safety-related education in current educational course in schools.

Factors affecting radiation safety management of dental hygienist and anxiety of radiation exposure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 실태 및 피폭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Lee, Hye-Ky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6
    • /
    • pp.432-43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nowledge, attitudes, safety management behavior, and radiation anxiety of dental hygienists and to analyze affecting factors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nd reduce anxiety. The study period consisted of 280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Jeollabuk-do from September 10 to October 31, 2017 using the SPSS 12.0 program,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verage knowledge level of radiation quality control was 8.07, and the correct answer rate was 75.3%. The attitude level was 96.1%, and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ehavior was 4.11 for the photographer and 4.58 for the 'always wear a TLD (personal dosimeter) during radiography'. Patient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ehavior was 3.86, and the highest was '4.69' to confirm pregnancy of the woman before radiography. Radiation-covered lining was 3.86, and was the highest at 4.13 for 'I am concerned about fetal health when I am pregnant'. Factors affecting radiation exposure anxiety were lower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ehaviors, lower age, lower radiographic experienc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higher monthly income, and higher job title (p<0.05). Based on the above results, dental hygienists had strong knowledge, attitudes, and safety management practices for radiation quality control. However, since anxiety related to radiation exposure was high, it is possible to improv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level and reduce radiation exposure anx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