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사능 계측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5초

발전용원자로에서 뱃치방식으로 배출되는 액체상 방사성물질의 방사능 평가결과에 대한 불확도 해석 (Uncertainty Analysis of the Calculated Radioactivity in Liquid Effluent Released as Batch Mode from a Nuclear Power Plant)

  • 정재학;박원재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562-571
    • /
    • 2003
  • 발전용원자로에서 뱃치방식으로 환경으로 배출된 액체유출물 내에 함유된 방사능 평가 결과에 오차를 유발하는 시료채취, 제조, 방사능 계측, 유출물 배출체적 측정 등 다양한 인자를 분석하였다. 환경배출 방사능 평가에 포함된 많은 인자들은 단일 측정에 의해 얻어지고 환경배출 방사능의 참값을 알 수 없음에 따라, 평가결과의 오차를 예측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1993년 ISO가 권고한 측정의 불확도 표현지침에 근거하여 액체폐기물 배출방사능에 대한 불확도 평가모델을 수립하고 가상적인 조건에 대한 액체유출물 환경배출 방사능 평가결과의 불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액체유출물을 통한 환경배출 방사능 평가결과에 불확도를 유발하는 인자의 상대적인 기여도는 배출폐액의 체적, 시료의 체적, 총방사능 계측값의 순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별 변수의 확률분포와 특성값을 토대로 몬테칼로 모사법을 적용하여 최종 환경배출 방사능 평가결과의 확률분포를 해석함으로써, 지금까지 단일 값을 평가 및 보고되었던 발전용 원자로의 액체상 방사성물질 환경배출량이 실제로는 일정한 확률분포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전신계측기를 이용한 원전종사자의 $^{131}I$ 내부방사능 측정 경험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The Whole Body Counting Experience on the Internal Contamination of $^{131}I$ at Korean Nuclear Power Plants)

  • 김희근;공태영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121-128
    • /
    • 2009
  • 국내 원전의 계획예방정비기간중에 원자로계통의 개방과정에서 원자로건물내 공기 중으로 누설된 $^{131}I$의 채내 흡입으로 원전 종사자의 내부피폭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원전에서 보유하고 있는 전신계측기(Whole Body Counter)를 이용하여 방사선작업 종료 후 즉시 원전종사자의 체내에 침적된 내부방사능을 측정하였고, 수일 경과 후 재측정하였다. 이러한 전신계측결과를 이용한 섭취량 산정 값을 원전종사자가 출입한 원자로 건물 내 공기 중의 $^{131}I$ 방사능 농도 측정결과와 원자로건물 출입기록에 근거하여 계산된 $^{131}I$ 채내 섭취량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신계측기를 이용한 채내 방사능측정 결과와 공기중 농도를 이용한 섭취량 산정 결과는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평가되였다.

환경방사능 측정에서의 검출한계치의 정량적 고찰 및 최소검출방사능 농도 계산 (Determination of Minimum Detectable Activity in Environmental Samples)

  • 이명호;신현상;홍광희;조영현;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171-18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저준위 환경방사능 측정시 이용되는 검출한계에 대한 기본개념 및 수식을 통계학적 이론을 기초로 서술하였다. 방사능을 정확하게 검출할 신뢰도를 95%로 설정하여 알파 베타 및 감마선 측정기에 대한 검출한계치값을 계산하였다. 또한 환경 방사능 계측에 많이 사용되는 방사능 핵종에 대해 최소 검출 방사능 농도값을 검출한계치 개념을 근거로 계산하여 저준위 환경 방사능 분석시 환경방사능 측정결과에 대한 신뢰도 평가에 활용 가능 하도록 하였다.

  • PDF

감마분광분석을 이용한 환경 중 방사성요오드(131I)의 측정 불확도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about Counting Uncertainty of Radioactive Iodine (131I) in Public Waters by Using Gamma Spectrometry)

  • 조윤해;설빛나;민경옥;김완석;이준배;이수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2-46
    • /
    • 2016
  • 환경에 존재하는 인공방사성핵종 중 방사성요오드($^{131}I$)는 주로 갑상선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며 환자의 배출과정을 통해 체외로 방출된다. 붕괴가 채 끝나지 않은 $^{131}I$는 환경으로 방출되어 공공수역에서 검출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수역에서 검출된 $^{131}I$ 방사능 결과의 정확도 및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불확도 중 계측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도에 대하여 금강수계의 실제 사례를 조사하였다. 시료는 금강권역 삽교천 수계의 하천수 및 그 상류의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료량에 따른 불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지점의 시료를 1, 10, 20 L로 채수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시료량에 따라 전 처리를 거친 후 1 L 마리넬리 비커에 충전하여 HPGe (High Purity Germanium) 감마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10,000초 단위로 계측 분석하여 계측시간 및 방사능에 따른 측정불확도를 비교하였다. 각 지점의 방사능 농도는 0.03~1.8 Bq/L로, 채취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1}I$의 방사능 농도가 0.3 Bq/L 수준인 경우 시료량이 1 L이면 약 80,000초 계측 시까지 핵종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나, 같은 조건에서 시료량을 증가시켜 계측한 경우 10,000초 이상의 계측시간부터 불확도 10%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1}I$의 짧은 반감기를 고려하여 즉시 계측이 가능한 1 L 생시료 계측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불확도 수준과 전처리 및 계측에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였을 때, 10 L 시료의 계측을 통해 높은 신뢰도의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되었다.

극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위한 효율적인 ${\gamma}$-선 및 ${\beta}$-선 측정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Effective ${\gamma}$-ray and ${\beta}$-ray Detection Methods For Low-Level Radioactive Wastes)

  • 곽성우;염유선;김호경;조규성;박주완;김창락;송명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393-398
    • /
    • 2001
  • 매년 병원에서 사용 후 폐기되는 비가연성 폐기물은 ${\gamma}$-선과 ${\beta}$-선을 방출하지만 방사능은 주변방사능 수준으로 매우 낮다. 이를 측정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비효율적이고 복잡하므로, 좀더 간단한 방법이 긴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 방사선의 특성상 핵종에 따라 다른 측정방법을 사용하였는데, ${\gamma}$-선 방출 핵종은 표준시료로부터 효율곡선식을 도출하여 미지의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beta}$-선 방출 핵종은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통해 계측 효율을 예측하고 표면장벽형계측기로 측정하여 미지의 방사능 양을 결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론적 계산치와 표면장벽형 계측기를 이용하면 전처리를 필요로하는 액체섬광계수기를 이용하지 않고 또한 계측효율을 결정하기 위한 비경제적인 표준시료 측정시험과정 없이도 저에너지 방사선을 약 17% 오차 범위내에서 결정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회전형 콜리메이터 기반 방사능 오염원의 방향탐지 기법 (Direction detection technique of radioactive contaminants based on rotating collimator)

  • 황영관;송근영;이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519-1527
    • /
    • 2020
  • 일반적인 방사선 측정장치는 방사능 오염원에 대한 선량률을 측정하는 공간 선량률 탐지 장치와 방사능 오염정보에 대한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화 장치의 형태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방사선 계측 기법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방사능 사고 지역에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며, 빠른 제염을 위해서는 두 가지 탐지 장치의 장점이 모두 필요하다. 방사능 오염원으로부터 방사능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방출되는 방사선에 대한 선량률 뿐만 아니라 어디에서 방출되고 있는지를 빠르게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방사능 오염원 탐지를 위한 검출 센서와 회전체, 방향성을 갖는 콜리메이터를 이용하여 방사능 오염원에 대한 선량률 및 방향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할 수 있는 기법을 고안하였다. 회전형 기반의 방사능 탐지 장치는 탐지 센서를 둘러싼 회전체가 회전하며 개구부와 일치할 때 획득되는 방사능 정보와 회전체의 위치정보를 통해 선량률과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다수개의 홀을 통해 수직, 수평 방향에 대한 측정 기법을 제안하였다. 탐지 결과 수평 방향에서의 탐지 시 방향 정보에 대한 측정오차는 1% 미만으로 확인하였다.

$C^{14}O_2$의 흡수제(吸收劑)로서 폐닐에칠아민과 하이아민베이스의 비교(比較) (Comparison of Phenyl Ethylamine and Hyamine Base as an Absorbent of $Carbon^{14}$ Dioxide)

  • 장윤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1호
    • /
    • pp.51-57
    • /
    • 1971
  • $CO_2$의 흡수능력(吸收能力)을 비교(比較)하기 위(爲)하여 습윤연소실험(濕潤燃燒實驗)에 있어서 Phenyl Ethylamine과 Hyamine Base를 사용(使用)하였다. 알려지고 있는 간장지질(肝藏脂質)과 균일(均一)하게 혼합(混合)된 팔미딘산-$C^{14}$을 유산(硫酸)과 인산(燐酸)으로 산화(酸化)하였다. 생성(生成)된 $CO_2$를 가느다란 비닐관(管)을 통하여 공시(供試)아민제(劑)에 포착(捕捉)시켰다. $CO_2$를 흡수(吸收)한 아민 제(劑)들을 Diotal Scintillator와 혼합(混合)하고 Liquid Scintillation Counter에 의(依)하여 그 방사능(放射能)을 측정(測定)하였다. 공시(供試)한 2종(種)아민의 계측효율(計測效率)은 $50{\sim}60%$이 었으며 방사능회수율(放射能回收率)은 거의 100%이었다. 그러나 Phenyl Ethylamine에 의(依)한 $CO_2$흡수량(吸收量)이 Hyamine Base의 그것에 비(比)하여 약(約) 2배(倍)가 되었으며 취급(取扱)하기도 용이(容易)하고 대금(代金)도 싸기 때문에 $CO_2$ 흡수제(吸收劑)로서는 Phenyl Ethylamine을 사용(使用)함이 좋을 것이다. 한편 돼지의 간장실험(肝藏實驗)에 있어서 지질(脂質)을 $CO_2$로 변화(變化)시켜 $C^{14}$의 방사능(放射能)을 측정(測定)하는 것이 지질(脂質)을 그대로 계측(計測)하는 것보다 계측효율(計測效率)이 더 증가(增加)되지 않음이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