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문객

검색결과 740건 처리시간 0.037초

순천만국가정원 물빛축제의 방문객 행태와 경제적 효과 분석 (Visitors' Behaviors and Economic Impacts of the Mulbit Festival at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Korea)

  • 장문현;이정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9-230
    • /
    • 2018
  • 순천만국가정원과 순천만습지는 전남 순천을 대표하는 관광명소가 되었다. 이 연구는 2017년 7월부터 8월까지 순천만국가정원에서 열린 물빛축제를 관람한 방문객의 행태와 축제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물빛축제에는 총 802,825명이 방문하였다. 응답자 중 외지 방문객(75.0%)이 순천시민(25.0%)보다 많았고, 숙박 방문객(52.0%)이 당일 방문객보다 많았다. 축제 관람 이후 식사 숙박 쇼핑을 등을 이유로 시내권을 방문하려는 방문객 비율(52.8%)도 그렇지 않은 방문객보다 많았다. 방문객의 1인당 평균 소비지출액은 순천시민이 17,269원, 외지 방문객이 112,793원으로 추산되었다. 방문객 소비지출액을 기초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접 경제적 효과는 약 570억 원, 간접 경제적 효과 중 생산파급효과 약 919억 원, 소득파급효과 약 191억 원, 부가가치파급효과 약 413억원 등으로 각각 추정되었다.

축제방문객의 집단별 만족도 비교 연구 -제57회 백제문화제를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atisfaction Degree among Local Residents,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 The Case of Baekje Cultural Tourism Festival)

  • 유기준;최영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1-174
    • /
    • 2012
  • 본 연구는 제57회 백제문화제 방문객의 거주특성을 지역거주, 타 지역거주, 외국인집단으로 세분하여 제57회 백제문화제에 대한 축제 부문별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추천의도의 차이 및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57회 백제문화제 기간(2011.10.1.~10.9) 동안 지역거주 방문객 216부, 타 지역거주 방문객 342부, 외국인 방문객 116부로 총 674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였다. 통계분석 결과는 외국인 방문객과 내국인 방문객은 축제 부문별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추천의도가 차이가 있었고, 외국인 방문객의 만족도가 내국인 방문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축제프로그램의 구성전략에서 집단별 차이를 반영하여 다양한 방문객들에게 양질의 경험을 제공하고자하는 축제 운영자를 비롯하여 관련 연구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RFID와 CDMA 기반 방문객 관리 시스템 (A Visitor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CDMA)

  • 강남규;하상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45-747
    • /
    • 2007
  •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객체를 자동으로 식별하는 전자 태그 기술인 RFID는 최근에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논문에서는 RFID의 식별자 기능과 CDMA 기술을 이용한 부재중 방문객 관리 시스템을 개발한다. 시스템은 RFID에 기반하여 부재중 방문객을 식별하고, CDMA를 이용하여 방문객과 피방문객간에 SMS 메시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시스템은 특징은 방문객과 피방문객이 개인 정보를 노출시키지 않고서 간접적으로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논문에서는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고, 그 실행 예를 보인다.

  • PDF

'장성 편백치유의 숲' 방문객 유형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용행태 및 방문동기 요인 ('Jangseong Pyunbaek Healing Forest(JPHF)' Visito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e Patterns and Motivational Factors by Types of Visitors)

  • 김상오;김상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3-214
    • /
    • 2018
  • 본 연구는 장성 편백치유의 숲(Jangseong Pyunbaek Healing Forest: JPHF) 방문객을 대상으로 방문객 유형과 방문객 유형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용행태 및 방문동기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자료는 2016년 10-11월중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선정된 216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기법을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또한 방문객의 참여활동에 대한 자료는 동일 기간에 동일한 조사방법을 통해 별도로 수집되었으며 총 476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의 77.0%가 '휴양객'(방문의 주목적이 건강 및 치유목적보다는 경관감상 및 관광, 사회적 교류 등 일반적 휴양경험에 있는 방문객)으로 분류되었으며, '치유객'(방문의 주목적이 일반적 휴양객과는 달리 건강 및 심신의 치유에 있는 방문객)은 단지 10.3%에 불과했다. 치유객은 휴양객에 비해 방문경험 수준이 높았으며, 방문 전 JPHF를 '조용하며 자연경험을 즐길 수 있는 장소'로 기대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치유객은 휴양객에 비해 '혼자서' 방문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방문그룹의 크기도 휴양객에 비해 적었다. 전 응답자의 26.8%가 JPHF가 치유의 숲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유객은 휴양객에 비해 JPHF가 치유의 숲이라는 사실에 대한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66.8%의 응답자가 JPHF의 전반적 관리 및 운영상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6.2%의 응답자만이 부정적으로 평가를 하였다. 치유객과 휴양객 간 JPHF의 전반적 관리상태 평가에는 차이가 없었다. JPHF의 주임도(이용률: 47.4%),와 치유필드(이용률: 59.2%)에 방문객의 이용집중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치유객은 '고요함', '건강', '긴장완화' 요인에서 휴양객에 비해 높은 동기를 보인 반면, 휴양객은 치유객에 비해 '사회적 교류' 요인에서 높은 동기를 나타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JPHF의 관리적 관점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방문객 유형별 이용객수에 대한 규범적 평가기준, 혼잡지각과 치유경험방해 지각: '장성 편백치유의 숲'의 '치유필드'를 대상으로 (Normative Standards on Number of Users, Perceived Conflict, and Perceived Interference of Healing Experience by Types of Visitors at 'Healing Field' of 'Jangseong Pyunbaek Healing Forest')

  • 김상오;김상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1-243
    • /
    • 2018
  • 본 연구는 방문객 유형별로 장성 편백치유의 숲(Jangseong Pyunbaek Healing Forest: JPHF) 내 '치유필드'의 이용객수에 대한 지각(perceived number of users: PNU)과 이용객수에 대한 평가기준(evaluative standards)을 설정,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17년 9월 중 JPHF 내 '치유필드' 이용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선정된 158명의 표본으로부터 설문지기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치유필드 방문객 중 휴양객(일반 휴양을 목적으로 한 방문객)은 49.3%, 치유객(건강 및 치유를 목적으로 한 방문객) 15.3%, 휴치객(휴양과 치유를 동일정도로 추구하는 방문객) 35.3%로 구성되어 있었다. 응답자가 지각하는 치유필드 이용객수는 전체적으로는 평균 23.8명(중앙값: 20.0명)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 평균범위는 21.1-27.8명(중앙값: 20.0명 동일)으로 조사되었다. 응답자의 PNU는 혼잡지각(perceived crowding: PC)(r=0.23) 및 치유경험 방해 지각(perceived interference of healing experience: PIHE) (r=0.20)과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방문객 유형 간에 치유필드 적정이용객수(optimal number of users: ONU)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적정이용객수는 평균 28.9명(중앙값: 25.0명)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 적정이용객수 범위는 평균 25.4-31.4명(중앙값: 25.0-27.5명)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최대 허용가능 이용객수(maximum acceptable number of users: MANU)는 전체적으로 38.1명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로는 휴양객 36.9명, 치유객 32.0명, 휴치객 38.0명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방문객 유형별로는 MANU에 차이가 없었다. 응답자의 PC는 평균 2.73(SD: 3.26, 9점 척도), PIHE는 평균 3.26(SD: 1.77, 9점 척도)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로는 휴치객이 휴양객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PC와 PIHE를 보였다. PNU가 ONU를 초과한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높은 PC와 PIHE를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리적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한국을 재방문하는 외래 관광객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peat Foreign Tourists to Korea)

  • 김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07-517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을 재방문하는 외래 관광객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을 재방문하는 외래 관광객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있어서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성별, 나이, 국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행 특성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여행형태, 동반자수, 방문 목적, 이용 숙박 시설, 주요 방문지, 방문 권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행지출 경비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횟수에 따라 1인당 개별 숙박비, 1인당 본인 거주국 지불 경비에서, 만족도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출입국 절차, 대중교통, 숙박, 음식, 쇼핑, 관광지 매력, 관광 안내 서비스, 치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행 후 행동의도 및 이미지 평가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향후 3년 내 재방문 의향, 타인 추천 의향, 여행 전 한국 이미지, 여행 후 한국 이미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래 관광객의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관광 수익을 극대화 하는데 필요하다.

자연환경 기반형 관광.휴양목적지 시설물에 대한 방문객 공간인지도 분석 - 남이섬 관광지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Spatial Cognition of Visitors to Natural Environment-based Tourism.Resort Facilities - A Case Study of NAMI Island -)

  • 최영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6-404
    • /
    • 2013
  • 본 연구는 관광지 시설물에 대한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분석을 통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한 시설물 계획 및 관리적 측면의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방문객의 시설물에 대한 공간인지도와 시설물 특성 및 방문객 특성 등의 공간인지도 영향요소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남이섬 관광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시설물 유형, 입지 등의 시설물 특성과 성별, 연령, 안내지도 사용 등의 방문객 특성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이섬의 경우에는 식 음료시설에 대한 매력성, 상징성 강화 등의 재정비가 요구되며, 종반부 시설물에 대한 정보제공 시설의 추가설치 및 재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지 시설물의 효율적인 계획과 관리를 위해 시설물 및 방문객 특성 등의 공간인지도 영향요소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반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방문객의 공간인지도는 관광지의 공간적 성격과도 연관성이 있으며, 여성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해 시설물의 독특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지 시설물의 계획과 관리에 있어 관광지 정보제공 기능이 관광지의 공간구조의 복잡성과 관계없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농촌관광 방문객의 만족결정요인 (Satisfaction Decision Factors of Visitors of Rural Tourism)

  • 장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96-403
    • /
    • 2010
  • 본 연구는 농촌관광의 수요자인 방문객들의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문항을 도출하고, 도출된 만족도 측정문항을 이용하여 방문객의 전반적인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만족결정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양평군 소재 농촌체험마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농촌관광 방문객의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문항은 24개 문항으로 도출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농촌관광 방문객 만족결정요인은 체험프로그램, 비용, 인솔자, 농촌성 등 4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전통문화축제의 스토리텔링이 축제매력성과 방문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강릉단오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 Storytelling on Festival Attractiveness and Visitor Satisfaction(Focusing on Gangneung Danoje Festival))

  • 이제용;이광옥;유광우;김명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396-40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2014 '천년의 힐링로드 강릉단오제'를 방문한 이용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방문객의 의사소통을 이끌어주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새로운 축제 표현기법으로서 축제요인을 상호작용(interaction), 이야기(story), 표현(telling)으로 구성하여 축제의 매력성과 방문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전통문화축제 스토리텔링은 축제매력성과 방문객 만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축제매력성에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교통 및 접근성, 서비스 및 숙박이 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방문객의 만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통문화축제와 방문객과의 상호작용과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속적인 문화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체험요소가 브랜드 태도, 방문객 만족 및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영향 - 지역특산물 축제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Effect of Experiential Elements on Brand Attitude, Visitor's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 Focusing on Regional Product Festival -)

  • 문설아;변광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9-20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축제의 체험요소가 방문객 만족과 브랜드 태도, 재방문 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 각 구성개념 간에 브랜드 태도와 방문객 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차별화된 축제 체험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요소 중 감성, 인지, 행동은 방문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둘째, 감성은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 행동은 재방문 의사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방문객 만족은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문객 만족과 브랜드 태도는 재방문 의사에 직접효과도 있지만, 체험요소와 재방문의사 간에 매개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