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류

Search Result 1,50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초소형 자기 어류 표지에 의한 치어의 방류 효과 조사

  • 유진형;황두진;윤양호;서호영;고현정;손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54-355
    • /
    • 2001
  • 국내 수산자원은 어선세력의 증가와 어획기술의 발전에 의한 어획합력, 연안역 개발에 의한 산란 성육장의 축소 등으로 1970년대 이후로 자원감소의 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효율적 자원조성을 위한 방안으로서 치어방류 사업이 근년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1999년에는 약 2,300만 마리의 치어방류를 하고 있으며, 방류효과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조사 보고 되고 있다 (Sung, 1998). (중략)

  • PDF

Plane buoyant jet in cross flow (가로흐름에 방류되는 평면부력젤)

  • Han, Mun-U;Yoon, Tae-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7.07a
    • /
    • pp.89-97
    • /
    • 1987
  • 가로흐름에 방류되는 연직평면부력젤의 젤중심선경로와 온도분포를 실험자료와 기본방정식으로부터 유도된 적분식에 의하여 해석한다. 기본방정식으로부터 적분식의 유도는 상사법칙과 특성길이를 도입하여 연직상향 및 수평방향흐름영역에 대한 차원해석을 하였고, 실험은 속도비(R=Wo/Ua)와 방류밀도Froude수를 변화시키면서 각각에 따른 젤중심선경로와 온도분포를 획득하였다. 속도비 R과 방류밀도Froude수 Fo에 따라 부력젤의 흐름특성은 달라지게 되며, 초기조건(운동량및 부력)에관계없이 부력젤은 항상 운동량지배영역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적분식에 의한 역법칙(power law)과 실험 자료는 대체로 일치된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Optimization of Dam Discharge in Drought Condition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강화학습을 이용한 가뭄 상황에서의 댐 방류량 최적화)

  • Hajin Noh;Yujin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606-608
    • /
    • 2023
  • 최근 들어 극심한 가뭄이 지속됨에 따라 댐을 통한 물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가뭄 상황에서 댐 자체 방류량 조절을 통해 낭비되고 있는 물을 절약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DQN 알고리즘을 사용해 방류량을 최적화하여 목표 저수량 이상의 상태를 60일간 유지하도록 설계하였으며, 해당 알고리즘 내 방류량의 가중치를 변경한 결과를 비교하여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Analysis on the Discharge Capacity Improvement of the Lock Gate Type by Using the 3-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3차원 수치모의를 이용한 배수갑문의 형상변화에 따른 방류능력 개선효과 분석)

  • Lee Jong Hyun;Lee Kil Seong;Kim Dae Geun;Choi Won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58-1062
    • /
    • 2005
  • 통상 방조제 배수갑문의 방류능력은 위어공식 또는 오리피스공식을 이용하여 산정하는데, 이 경우 지형특성, 배수갑문 형상에 따른 흐름의 간섭현상, 유입부와 유출부의 형상 등이 방류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류벽, 배수문, 물받이 등 방조제 배수갑문의 형상과 배치가 방류량에 미치는 영향을 상용 프로그램인 FLOW-3D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배수갑문의 방류능력과 유황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화조력발전소를 대상으로 배수갑문의 방류능력 개선에 3차원 수치모의가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유출부측의 물받이길이를 40 m 증가시킴에 따라 전체 방류량은 계획안에 비해 약 $1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물받이 끝과 원지반의 연결부 사면을 1:1에서 1:5의 완경사로 변화시킴에 따라 전체 방류량은 약 $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배수문과 수차발전 구조물 사이의 유선형 연결구조물을 제거함에 따라 전체 방류량은 약 $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도류벽의 접근각도를 $10^{\circ}$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킴에 따라 전체 방류량은 약 $5\% 감소 또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배수갑문의 설계시 방류능력 개선을 위해서는 수리학적 검토가 필요하며 수치모형실험이 수리모형실험과 더불어 유용한 해석도구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인 것으로, 이후 관련 구조물의 설계시 참고자료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다. 실험 결과, Escarameia와 May가 제안한 공식을 더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험 공식으로 개선하였으며 다양한 조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보다 정밀한 공식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10,924m^3/s$ 및 $10,075m^3/s$로서 실험 I의 $2,757m^3/s$에 비해 통수능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

  • PDF

Mixing Zone Analysis on Outfall Plume considering Influence of Temperature Variation (수온 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방류관 플룸의 혼합역 분석)

  • Kim Ji-Yeon;Lee Joong-Wo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8 no.10 s.96
    • /
    • pp.947-953
    • /
    • 2004
  • As a large scale port development in coastal waters proceeds step by step and populations in the vicinity of port are getting increased, the issue on 'how to dispose the treated municipal water and wastewater in harbor' brings peoples' concern. The submarine outfall system discharges the primary or secondary treated effluent at the coastline or in deep water, or between these two. The effluent, which has a density similar to that of fresh water, rises to the sea surface forming plume or jet, together with entraining the surrounding sea water and becomes very dilute. We intended in this paper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dilution of effluent and the behavior of flume under the conditions of the seasonal and spatial temperature variations, which have not been noticeable in designing effective marine outfall system. To predict and analyze the behaviour and dilution characteristics of plume not just with the effluent temperature, but also with the seasonal variation of temperature of surround water, CORMIX( Cornell Mixing Zone Expert System)-GI have been applied. The results should be used with caution in evaluation the mixing zone characteristics of discharged water. We hope to help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outfall system, probable outfall design, protection of water quality, and warm water discharges from a power plant, etc.

Initial Feeding Habits and Changes in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Released into the Gamak Bay (가막만 해역에 방류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치어의 초기 먹이섭취 패턴과 어체성분 변화)

  • Ji, Seung-Cheol;Lee, Si-Woo;Yoo, Jin-Hyung;Kim, Yang-Soo;Jeong, Gwan-Sik;Myoung, Jeong-Gu
    • Journal of Aquaculture
    • /
    • v.20 no.2
    • /
    • pp.90-95
    • /
    • 2007
  • Artificially-produced juvenil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total length $10.4{\pm}1.1\;cm$, body weight $18.7{\pm}3.4\;g$) were released into the Gamak Bay in Korea. And their initial feeding habits and body composition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ultured fish (CUL) for a period of one month after release. The released black sea bream commenced feeding on the 1st day after release, and predation rate was more than 80% during the sampling period. The stomach content of fish was composed of mainly fishing bait and krill in fish sampled on 15th days after release; however, its content changed to the natural organisms such as algae and small crustaceans when the fish was sampled on 20th days after release. Crude lipid content of carcass of fish in the sampling station A (SA) were lower than that of fish in the initial, sampling station B (SB) and CUL for the 5th and 10th days after release. Carcass n-3 HUFA composition, total amino acid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of released fish showed high trend compared to that of cultured fish in 30th days after release. The released fish have the ability to adjust their feeding habits and biochemical metabolism to the natural environment within a short period even though they showed preference to artificial feed in the early days after release.

Daily Variation of Size-Fractionated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and Water Conditions Associated with Freshwater Discharge during Summer in the Yeongsan River Estuary (영산강 하구의 하계 담수 방류와 연관된 크기별 Chlorophyll a와 수환경의 일간 변동)

  • Kim, Sehee;Shin, Yongsik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 /
    • v.5 no.2
    • /
    • pp.72-80
    • /
    • 2020
  • A sea dike in the Yeongsan River estuary was constructed in 1981 to supply water and reclaim tidal flats for agriculture, separating the estuary into the freshwater and seawater zones. However, the sluice gates are frequently opened and freshwater is discharged in summer when more rainfall is recorded than other seasons, then converting the estuary to brackish water system. In this study, the direct effect of freshwater discharge was investigated by monitoring daily variation in water properties and phytoplankton size 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freshwater discharge events from 2013 to 2015. Freshwater discharge resulted in a sharp decrease in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DO) at surface water whereas it increased the turbidity of water column. However, salinity did not decrease sharply in 2014 when freshwater was discharged one day before the monitoring and salinity remained low prior to the monitoring. Levels of nutrients especially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increased after the discharge and this contributed to potential limitation of nutrients such as P or Si rather than N in the estuary. Freshwater discharge also caused the changes in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 a) and size structure although their responses were different between years. The changes may affect growth of grazers and thus structure of marine food web by alternating food availability in the Yeongsan River estuary.

Desirable Strategy of Dam Operation consider to Downstream Ecosystem (하류 하천환경을 고려한 바람직한 댐 운영방향)

  • Lee, Yo-Sang;Lee, Gwang-Man;Lee, Eul-Lae;Park, Jin-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89-1993
    • /
    • 2009
  • 댐의 조절방류가 하류 하천생태에 미는 영향은 매우 복잡하다. 하류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은 댐에서의 거리, 유황의 변화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흐르는 물에 서식하는 물고기는 좋아하는 수심, 유속 및 하상재질 등을 이용하여 살아간다. 다만 생물상은 주변환경에 적응하거나 변화하는 능력이 있어 댐의 조절방류에 의한 수생태계 변화구조를 명확히 해석하기는 불가능하다(Power et al., 1988). 댐에 의한 일정방류는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며, 보다 변동성이 큰 방류하천은 하천, 연안 및 생물상 변화 유도에 긍정적인 것은 사실이다. 또한 큰 규모의 홍수파는 하천지형의 동적활동을 촉진시키며, 이는 하천을 터전으로 서식하는 동물상을 위한 생태학적 여건을 개선시켜 주게 된다. 이는 주변 식생의 생태적 조건 변화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적어도 1년에 2번 정도의 홍수파방류는 하천주변 서식처의 다양성 변화에 필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ondolf and Wilcock, 1996). 최근들어 댐 하류하천의 생태복원을 위해 연속적인 홍수파 방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Stanford et al, 1996) 자연하도에서 댐과 같은 구조물에 의한 유량조절은 하중도나 사주 등을 발달시키고 사주에서는 두꺼운 식생층이 형성될 뿐만아니라 수목군의 현저한 출현을 보여준다. 이렇게 사주나 식생이 고착됨에 따라 이의 저항을 피해가는 수로가 형성되고 저수로 구간외에서는 식생의 발달이 더욱 왕성해져 그 면적이 확대되고 있다. 결국 사주와 사주가 식생으로 연결되고 여기에 수목이 자라면서 웬만한 홍수에도 파괴되지 않는 거대한 식생대가 출현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하천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또한 댐에 의한 퇴사의 차단은 하천지형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식생의 발달과 함께 저수도부는 좁아지고 세굴에 의해 깊어지는 현상을 보인다. 이와같은 현상들은 수문특성의 변화에 의하여 결국 댐의 조절방류에 의한 수문 변화는 하천지형의 변화를 유발하고 하천지형의 변화는 하천환경에 변화를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으로 댐이 건설된 지역에서 조사된 몇몇의 자료를 분석하여 댐건설후에 나타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바람직한 댐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Heavy metals contamination in coastal sediments by the large discharge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 (하수종말 처리장 처리수의 해양 방류와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

  • Kwon Young Tack;Lee Chan 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 no.1
    • /
    • pp.83-92
    • /
    • 1998
  • Heavy metals concentration in superficial sediment of effluent discharging area was rapidly increased by annual loadings of Zn(8.465 Kg), Ni(3,291 Kg), Cu(1,636 Kg) and Pb(1,250 Kg) from sewage effluent of 63×10/sup 6/ m³/yr. In a consequent result, specially the concentrations of Zn and Cu in the sediment were three times higher than preindustrial reference values. The evaluation by multiple ecological risk indices showed that heavy metals contamination in sediment of discharging area was 'heavily Polluted level' by sediment quality criteria and increased 2.6 times by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t was also judged that toxicological effects of sediment receiving the primary effluent would occasionally (16~47%) occur by guidelines for adverse biological effect.

  • PDF

Concentration Changes of Wastewater Effluent Discharge in the Mixing Bone of Masan Sea Outfall (마산만 해양방류 혼합구역에서의 하수농도 분포 변화)

  • Kang See-Whan;You Seung-Hyup;Kim Sang-Ik;Oh Byung-Cheol;Park Kwa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4 no.2
    • /
    • pp.15-24
    • /
    • 2001
  •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discharged wastewater effluents due to ambient current flows and density stratifications in an outfall mixing zone have been investigated by using the outfall mixing zone analysis of Huang et al.[1996]. This analysis was applied to Masan sea outfall case and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s of wastewater effluent discharges were simulated using three month period of current-meter data measured in the outfall site. Hourly concentration distributions of wastewater effluents were averaged for the period of 15 days which covers the flow conditions of the neap and the spring tidal currents in Masan Bay. The results show that the wastewater concentrations in the Masan outfall mixing zone were very low due to the higher dilution rates during the period of strong ambient currents and less density stratifications. The higher concentrations in the mixing zone were found in August because of strong density stratifications with low ambient currents. The mixing zone was extended to the west coast beach area because of major tidal current directions. This result can be used to explain the dynamical reasons for the depositional distribution of the contaminated sediments in Masan sea outfall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