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밥

검색결과 614건 처리시간 0.028초

밥블록을 이용한 찰밥의 경도 및 부착성 측정법 (Measurement of Hardness and Adhesiveness of Cooked-Rice)

  • 이영진;황선옥;박윤서;윤운중;전재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398-402
    • /
    • 1995
  • 전기밥솥으로 지은 일반계(Japonica) 쌀밥의 경도와 부착성을 texturemeter를 사용하여 낱알과 밥블록상태에서 측정하였다. 밥알 3, 4, 5개씩을 균등하게 배열하고 95%의 압축비에서 plastic plunger 로 측정한 경우 각각 경도는 7.4, 7.5, 10.0kg이었으며 변이계수가 25.9%에 이르렀다. 원통형 밥블록(15mm diameter, 20mm height)으로 성형한 것을 80% 압축비로 측정한 결과, 경도는 2.1kg이었고 변이계수는 $2.8{\sim}7.0%$의 수준으로 현격히 감소되었다. 밥블록측정법이 정확도와 재현성에서 낱알측정법보다 월등히 좋았으며 밥블록의 성형방법과 측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밥의 부착성은 낱알측정법으로는 불가능하였고, 밥블록을 톱니형의 plunger와 platform을 사용할 경우 가능하였으며 그 값은 0.68kg sec이었고 변이계수는 4.6%이었다.

  • PDF

수생식물 개구리밥 (Spirodela polyrhiza)과 미생물 (Microbial Colonization of the Aquatic Duckweed, Spirodela polyrhiza, during Development)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2호
    • /
    • pp.103-111
    • /
    • 2004
  • 수생식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의 식물체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미생물과의 상호관계를 주사전자현미경 및 세포학적으로 추적하여 연구하였다. 개구리밥은 부유성 식물로 분화 발달 초기부터 잠수부위에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 남조류, 규조류 등이 서식하였다. 미분화된 어린 식물체에는 성숙 발달한 식물체에 비해 미생물들이 낮은 빈도로 출현하였고, 성숙한 식물체에서는 특히 엽상체 하피에 가장 많은 미생물들이 서식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점액성 물질이 층을 이루는 근관에 많이 관찰되었다. 반면, 신장 발달 중의 뿌리에는 일반적인 분포를 보였으며, 상피에는 미생물이 거의 분포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이들 미생물이 개구리밥 조직 내에 침입하여 식물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엽상체, 연결사, 뿌리, 근관, 무성생식낭 등의 구조를 세포학적으로 추적한 결과, 어느 부위에서도 조직 내로 미생물이 침입하여 세포를 괴사시키거나 감염시키는 일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개구리밥 식물체의 발달과정에 있어 미생물들은 어떠한 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개구리밥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질소고정치를 측정하여 그 기능을 식물체의 세포학적 측면과 접목시켜 연구하면 개구리밥과 미생물과의 상호관계가 공생적인지를 더 확실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좀개구리밥(Lemna perpusilla Torr.)의 생육에 대한 PAHs와 암모늄의 영향 (Influences of PAHs and Ammonium on Growth of Duckweed (Lemna perpusilla Torr.))

  • 박진희;심상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0-515
    • /
    • 2014
  • 좀개구리밥(Lemna perpusilla J. Torrey)은 오염물질의 독성시험에 사용되어 온 대표적인 부유성 수생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공장지대나 농경지에서 식물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독성물질인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다환방향족탄화수소)와 암모늄($NH_4{^+}$)의 식물 독성 평가를 위해 좀개구리밥을 이용하였다. 독성물질인 PAHs와 암모늄이 들어있는 배양액에 좀개구리밥 엽상체를 배양하면서 반응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좀개구리밥의 생장은 PAHs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였다. PAHs중 fluorene의 처리 때 좀개구밥의 생장이 가장 저해되었으며, fluoranthene과 pyrene은 생장 저해 효과가 적었다. fluoranthene과 pyrene의 경우 30ppm정도의 낮은 농도에서는 좀개구리밥의 생장 저해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식물색소 함량도 또한 처리한 독성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Phenanthrene과 fluorene 처리 시 fluoranthene과 pyrene 처리 때보다 chlorophyll의 함량이 많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항산화 화합물로 잘 알려진 carotenoids의 경우 fluoranthene과 pyrene을 30ppm 이하의 낮은 농도로 처리 시 오히려 함량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농도의 fluoranthene 또는 pyrene 처리 시 이들 물질이 좀개구리밥의 황산화 작용을 자극하여 황산화 물질인 carotenoids를 많이 만들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암모늄은 3mM의 낮은 농도에서도 좀개구리밥 엽상체의 생장에 강한 저해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색미 첨가가 연잎쌈밥용 밥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Cooking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of $YenipSambab$ with Pigmented Rice)

  • 박복희;전은례;김성두;조희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5-192
    • /
    • 2012
  • 본 연구는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한 유색미를 첨가하여 연잎쌈밥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3종류의 유색미(홍미, 녹미, 흑미)의 첨가량을 달리한 밥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평가함으로서 유색미를 활용한 연잎쌈밥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유색미를 첨가한 연잎쌈밥용 밥의 pH는 유색미(홍미, 녹미, 흑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유색미 종류별로 연잎쌈밥용밥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밥의 백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L값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유색미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감소하였고, 황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로 홍미, 녹미, 흑미밥 모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 점착성, 탄력성, 씹힘성 및 깨짐성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홍미를 첨가한 밥은 전체적인 기호도가 10% 첨가군이 $4.00{\pm}0.66$으로 가장 높았으며, 녹미의 경우도 전체적인 기호도는 10% 녹미 첨가군이 $4.30{\pm}0.82$로 높게 나타났다. 흑미를 첨가한 밥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20% 첨가군이 $3.75{\pm}1.10$으로 높아 다른 색보다 더 일반화된 블랙푸드의 선호추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는 유색미 밥의 pH가 일반 밥보다는 약간 높으며, 경도와 점착성 등이 높고, 유색미의 첨가량이 10%~20%일 때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나 본 실험결과가 쌈밥의 특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지며, 연잎용쌈밥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취반조건이 현미밥의 식미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king Condition on the Eating Quality of Cooked Brown Rice)

  • 김경애;정난희;전은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27-535
    • /
    • 1995
  • 현미밥의 취반조건이 맛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가수량과 취반기구를 달리한 현미밥의 형태변화와 관능적, 기계적 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X-선 회절도로부터 Peak높이가 멥쌀밥보다 찹쌀밥이 낮았고, 가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압력밥솥을 사용하였을때가 감소하였으며, 이는 SEM으로 관찰하였을 때에도 붕괴정도가 현저하게 보였다. 가수량을 달리하여 멥쌀현미와 찹쌀현미를 전기밥솥으로 취반한 결과 1.4배의 멥쌀현미밥과 1.2배의 찹쌀현미밥이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수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가 증가하였다. 가수량이 증가하면 텍스쳐 특성치의 차이가 커서 견고성, 탄성, 껌성 , 응집성 , 씹힘성은 감소하였고 조리기구에 따른 차이는 전기밥솥으로 취반한 경우가 압력밥솥으로 취반한 경우보다 견고성 , 응집성, 탄성, 껌성 및 씹힘성의 모든 특성값이 더 낮았다.

  • PDF

인천광역시 초등학교 4, 5, 6학년의 아침식사 유형과 기호도 조사 (A Study on Breakfast Patterns an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Inchon Area)

  • 조우균;박희옥;김순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0-57
    • /
    • 2002
  • 인천광역시 4, 5, 6학년을 400명을 대상으로 아침식사 유형과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일 밥과 반찬을 먹는 비율(42.6%)이 가장 많았고 아침을 거르는 경우(14.0%)가 다음으로 많았다. 아침식사로 빵, 시리얼, 죽을 포함한 다른 유형은 드물게 나타났다. 또한 아침으로 먹고 싶다고 답한 아침식사의 유형도 밥과 반찬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이는 아동들이 아침으로 밥과 반찬을 실제로 가장 많이 먹고 있으면서도 밥에 대한 선호도 또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침을 굶는다고 답한 경우는 아침에 일어나서 등교할 때까지의 시간이 유의적으로 짧기 때문으로 (p<0.05)따라서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활동하는 시간을 늘려주면 아침식사의 결식율을 낮출 수 있겠다. 이상으로 아침식사는 영 양적이고 시간에 부담이 없이 먹을수 있는 간편한 식사를 선호하며 밥과 반찬에 대한 선호도가 아주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휴테크-일과 놀이의 이분법을 넘어

  • 김정운
    • 벤처다이제스트
    • /
    • 통권38호
    • /
    • pp.11-11
    • /
    • 2003
  • 21세기는 일과 놀이의 구분이 모호해 질것이라고들 한다. 즉 놀듯이 일하고, 일을 하면서 놀아야 한다. 기존의 이분법으로는‘죽도 밥도 안 된다’고 타박을 받을 만한 것이‘죽’도‘밥’도 아닌 새로운 퓨전음식으로 각광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 PDF

소화 작용이란 무엇인가

  • 이진화
    • 건강소식
    • /
    • 제24권11호통권264호
    • /
    • pp.26-28
    • /
    • 2000
  • 사람이 밥을 먹는 것은 밥 속에 들어 있는 기를 섭취하기 위해서이다. 천지간의 기가 결합하여 만물을 만드는데 이 중에서 사람이 섭취해서 소화 작용을 통해 그 기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이 음식이다. 사람은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식물이 일년간 애써 모은 천지간의 정기를 흡수하는 것이다.

  • PDF

찹쌀밥의 주요 휘발성 성분 (Major volatile components of cooked glutinous rice)

  • 이병영;손종록;윤인화;송창호;금정철;전천소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2호
    • /
    • pp.111-114
    • /
    • 1993
  • 찹쌀밥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성분의 종류, 양 및 취반후 발생량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한국산 찹쌀인 한강찰벼와 일본판 찹쌀인 히가리를 공시료로 하여 취반후 상온$(25^{\circ}C)$에서 휘발성 성분량을 조사하였던바 가스크로마토그람에 나타난 휘발성성 성분의 peak의 수는 100여개가 넘으며 이중에서 헥산알, 펜탄알, 부탄알, 옥탄알, 헵탄알, 노난알, 아세톤, 톨루엔 순으로 전체 peak 면적의 85% 정도를 차지하며, 헥산알이 이들 8가지 휘발성 성분의 전체 발생량의 86% 정도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취반직후 이들의 총 발생량은 멥쌀밥에서 보다 찹쌀밥에서 6배 정도가 많았고 헥산알은 9배 정도 많았다. 그리고 찹쌀밥에서는 취반후 $70^{\circ}C$의 전기 밥통에 72시간 보관 후에도 멥쌀밥의 취반직후 발생량과 같은 수준이었다.

  • PDF

전자코를 이용한 자포니카벼 품종의 쌀과 밥 향기패턴 분류 (Classification of Japonica Varieties by Volatile Component Patterns of Milled and Cooked Rice Using Electronic Nose)

  • 송진;손종록;박남규;조해영;장규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447-452
    • /
    • 2005
  • 전자코를 이용하여 한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자포니카 44품종의 쌀과 밥의 향 패턴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미 44품종의 향은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결과 만금, 남평 ,신동진쌀이 한 그룹으로, 대진, 추청쌀이 또 다른 그룹 분류되어 나머지 39품종 쌀의 향과는 구분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밥의 향은 분석결과 44품종들이 제1주성분 값 -8에서 +6사이에서 고른 분포를 보이며 품종간 구분은 되어지지 않았다. 3. 쌀과 밥의 향 측정에 사용된 12개의 MOS센서가 얻은 값을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쌀의 향과 밥의 향과는 서로 유의성이 없어 전자코를 이용하여 쌀시료로 취반 후 밥의 향을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