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밝은 띠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45초

X-밴드 이중편파 레이더에 의한 밝은 띠 탐지 (Bright band detection using X-band polarimetric radar)

  • 이동률;장봉주;황석환;노희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2호
    • /
    • pp.1211-122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소형 X-밴드 이중편파 레이더의 수평반사도 (ZH), 차등반사도(ZDR), 교차상관계수(ρHV)의 RHI(range height indicator) 연직단면과 PPI (plan position indicator)의 고도각 경사거리(slant range) 빔의 프로파일 분석을 통하여 밝은 띠(bright band, BB)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X-밴드 레이더의 이중편파 변수들을 이용하여 밝은 띠 영역을 명확히 탐지할 수 있었으며, 동시간대의 RHI 및 PPI 관측 자료를 이용한 이중적인 밝은 띠 영역을 탐색하여 그 결과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현업에서 RHI 관측없이 PPI 볼륨관측만 수행하는 대형 강우레이더에도 본 연구의 PPI 고도각 경사거리에 의한 BB 탐색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QPE (quantification of precipitation estimation)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X-밴드 이중편파 레이더에 의한 밝은 띠 탐지 (Bright Band Detection Using X-band Polarimetric Radar)

  • 이동률;장봉주;황석환;한명선;노희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17
    • /
    • 2016
  • 이중편파 레이더는 수평 수직반사도($Z_H{\cdot}Z_V$), 차등반사도($Z_{DR}$), 교차상관계수(${\rho}_{HV}$), 차등위상차(${\Phi}_{DP}$) 등 다양한 변수 산출을 통하여 대기 수상체 구분, 우적분포에 영향이 적은 강우량 추정, 밝은 띠(BB, Bright Band)의 탐지 등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수문기상 및 재해관리 분야에 활용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RHI, PPI에서 생산된 레이더 변수를 이용하여 BB를 탐지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BB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상층대기를 관측할 때 수직단면에서 강수입자가 눈에서 비로 변하는 구간에서 과대하게 높은 반사도가 나타나는 층을 말한다. BB에서는 QPE가 과대 추정되기 때문에, BB의 특성 파악은 레이더의 관측전략 수립과 QPE 보정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RHI에 의한 $Z_H$의 연직단면분석, RHI와 PPI의 고도각 경사거리(slant range) 빔의 ${\rho}_{HV}$, $Z_{DR}$, $Z_H$에 의한 분석을 통하여 BB의 상단부($BB_{TOP}$), 최정점($BB_{PEAK}$) 및 하단부($BB_{BOTTOM}$)의 고도를 상호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 자료는 KICT X-밴드 레이더에 의한 관측한 2015년 10월 21일의 층상운에 의한 강우를 이용하였다. RHI에 의한 $Z_H$의 연직단면 분석결과 $BB_{top}$, $BB_{bottom}$$BB_{peak}$는 KICT 레이더 고도(MSL : 40m)를 기준으로 각각 3.26Km, 2.3Km($BB_{width}$: 0.96km) 및 2.7Km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다른 2가지 분석방법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BB분석을 위해 다양한 변수를 통한 신뢰성 있는 BB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 PDF

레이더 자료에 나타난 전선성 강수계의 중규모적 특성 분석 (Mesoscale Characteristics of Frontal System on Redar Data)

  • 정영선;임은하;남재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219-227
    • /
    • 2000
  • 전선에 의한 강수는 종종 한반도에서 국지적인 집중호우를 유발한다. 그러나 관측자료의 결핍과 전선의 중규모적 구조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정확하고 신속한 강수량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레이더의 공간 해상도는 수 km, 시간 해상도는 수 분으로 중규모 이하의 현상에 대한 관측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더의 효용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대표적인 전선성 강수 사례를 선택하여 중규모적 특성을 레이더 연직 단면 관측자료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강수계 내에서 수평규모 약 10 - 20 km의 대류 세포들이 존재하며, 연직 단면도 상에서 나타나는 밝은 띠에 의하면 녹는고도($0^{\circ}C$ 층)는 약 3 - 5 km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강수 입자에 의하여 추정되는 구름의 높이는 대략 12 km에 달한다. 발달한 층운 지역에서 강수입자의 최대 낙하속도는 밝은 띠가 나타나는 녹는고도 바로 하층에서 나타나고 있다.

  • PDF

칠 기법 규명을 위한 칠도막의 현미경 관찰 (Observation by the Microscopic Analysis of Lacquer Layer for Identification of Lacquer-ware Function)

  • 김수철;이광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96-10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대 칠 기법을 규명하기 위하여 4가지 그룹의 표준칠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투광, 낙사광, 편광)을 이용한 관찰을 실시하였다. 그룹 I 은 투명한 적갈색을 띠며 일부 층의 구분이 불명확하였고 연마가 된 층은 구분이 쉽게 되었다. 그룹 II는 대부분 투명 황갈색을 띠며 목재표면에 먼저 흑색안료를 메운 후 칠한 칠층과 흑색안료를 혼합하여 칠 한 칠층은 구분이 가능하였다. 그룹 III은 칠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층 부분이 먼저 막을 형성하고 내부는 칠과 불포화지방산이 산화 건조되어 상층의 칠층이 분리되어 관찰되었다. 그룹 IV의 칠도 막은 편광에서 관찰시 철 성분이 검은색과 붉은색으로 혼합되어 보이며 토분은 실리카 결정이 빛의 반사에 의하여 구분되어 졌다. 또한 석간주 칠층은 붉은색을 띠고 주칠과 석간주가 혼합된 칠은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짙은 붉은 색을 띠며 가운데는 밝은 붉은색으로 구분되어 졌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동화상 화질 평가 (Evaluation of Moving-Picture Noise for the PDP)

  • 이정섭;한진호;강신호;염정덕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619_1620
    • /
    • 2009
  • 실험용 PDP에 동화상 계조 바를 구현하고 이를 추적 촬영하는 동화상 의사윤곽 노이즈 측정/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측정결과, 계조 바의 배열에 따라 두 계조 바의 경계에 어둡거나 밝은 띠의 노이즈가 나타났으며, 화소의 이동속도가 빨라질 경우 노이즈의 범위가 확대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이즈는 CCD 센서를 정지시켰을 경우에는 측정되지 않았다. 이것은 기존의 연구결과와도 잘 일치하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 시스템은 PDP의 의사윤곽 노이즈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 PDF

세종 산개성단 탐사관측 (SOS) II. 중년 산개성단 NGC 2353의 UBVI CCD 측광

  • 임범두;성환경
    • 천문학회보
    • /
    • 제35권2호
    • /
    • pp.79.1-79.1
    • /
    • 2010
  • 세종 산개성단 탐사관측 연구의 일환으로 중년 산개성단 NGC 2353에 대한 UBVI CCD 측광을 수행하였다. 측광학적인 방법으로 성단 내의 구성원을 선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이 성단의 성간소광과 거리를 각각 E(B-V)=$0.10\pm0.02mag$$d=1.17\pm0.04\;kpc$으로 얻었다. 성단 구성원의 공간적인 분포를 통해서 성단의 형태가 북서 방향에서 남동 방향을 잇는 축을 중심으로 타원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Padova 그룹이 제시한 이론적인 등연령 곡선을 관측한 색등급도에 맞춤으로써 이 성단의 나이를 1억 3천만년으로 추정하였으며, 이는 기존 연구보다 나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원의 거리지수 분포에서 이 성단의 거리지수보다 밝은 곳에 나타나는 쌍성의 분포를 Gaussian 분포와 맞추어 $46\pm4%$ 정도의 최소 쌍성비율을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광도함수와 질량함수를 유도하였고, 질량함수의 기울기는 $\Gamma=-1.4\pm0.2$를 얻었다.

  • PDF

송이 외생균근(外生菌根)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icholoma matsutake Ectomycorrhiza)

  • 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1호통권158호
    • /
    • pp.16-20
    • /
    • 2005
  • 송이균근은 형태적으로 매우 특이한 외생균근이다. 즉 송이균근은 Y자형이 아닌 빗자루형이며, 균사는 매우 밝은 흰색을 띠고, 메마른 경우 물에 쉽게 젖지 않는다. 송이균근이 왜 이런 특정을 갖는가를 이해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를 관찰하였다. 송이균근의 정단부에는 균사충이 발달하지 않았고 균근 부위 중에서 균사충이 잘 발달된 부위에서는 Hartig 망이 1-2층 발달하였으나, 세포내부로 침입하여 들어간 균사는 없었다. 그러나 뿌리 외부의 균사충이 덜 발달한 부분에서는 표피세포나 피층세포층에서 Hartig 망이 형성되지 않았다. 이들 세포의 내부에서는 약 $2{\mu}m$ 크기의 반원형 알갱이 형태인 전분체가 세포벽을 전체적으로 덮고 있었다. 송이균사표면은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작은 알갱이로 덮혀있기 때문에 매우 밝은 흰색을 띠며 물의 표면장력으로 인하여 잘 젖지 않는 현상을 부분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송이균사의 세포벽은 매우 얇은 단순한 막질이고, 연결꺽쇄(clamp connection)는 없었다. 송이균근의 정단부에 균사충이 없기 때문에 Y자형으로 갈라지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균근이 가지를 많이치는 것은 송이균근이 소나무뿌리로부터 탄수화물을 받는 표면적을 넓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송이균사의 세포벽이 매우 얇은 것은 세포벽의 신축성이 커서 주기적인 토양건조에 따라 수분포텐셜을 잘 조절하여 원형질분리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생존전략과 관련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거친 균사 표면은 균사가 물에 느리게 젖게 함으로써 삼투포텐셜이 매우 낮았던 균사가 수분을 갑자기 많이 흡수하는 것을 막는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송이균근은 정단부에서 균사충이 발달하지 않으므로 Y자형으로 갈라지지 않으며, 균사표면의 거친 입자는 흰색을 더욱 밝게하면서 잘 젖지 않도록 한다고 생각한다.

밝은 연녹색의 분화용 바위떡풀 신품종 '화이트그린' 육성 (Breeding of a New Saxifraga fortunei Cutivar (Hybrid) 'Whitegreen' with Light Green and White Colored Petals as a Pot Flower)

  • 서종택;홍수영;유동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88-592
    • /
    • 2014
  • 분화용 바위떡풀 신품종인 '화이트그린(whitegreen)'은 연한 녹색인 대우주(大宇宙)를 모본으로 하고 연한 노란색과 녹색이 섞인 광림(洸淋)을 부본으로 하여 2004년 인공교배에 의해 종자를 얻었다. 이후 2004년부터 2008년까지 고령지농업연구센터의 가온 온실에서 증식 및 재배를 하면서 개화특성을 검정하였다. '화이트그린'품종의 개화기간은 9월 20일부터 시작하여 10월 하순까지 약 33일간 이었으며 꽃은 385.7개로 대조품종보다 많았다. 화색은 밝은 연녹색(G-W 157B)을 띠며, 꽃잎 수는 11.4개로 겹으로 피었다. 화형은 큰대(大)자형이 아니며 화장과 화폭이 각 1.4, 1.4 cm로 대조품종보다 매우 작았다. 초장은 20.7 cm로 대조품종보다는 작았다. 엽수도 48.3개로 대조품종보다 적었다. 엽폭은 3.4 cm, 엽장은 3.0 cm로 역시 대조품종보다 작았다. '화이트그린(whitegreen)'품종은 2011년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권이 등록(No. 3456)되었다.

잔디의 잎마름증상(Yellow patch)을 일으키는 2핵성 Rhizoctonia의 동정 및 병원성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Binucleate Rhizoctonia Isolates Causing Leaf Blight(Yellow Patch) in Turfgrass)

  • 김진원;심규열;김호준;이두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9-111
    • /
    • 1992
  • 국내 골프장에 식재된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및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에 잎마름증상(yellow patch)을 나타내는 병반 부위에서 병원균을 분리ㆍ동정한 결과 2핵성인 Rhizoctonia cerealis로 동정되었다. 병원균은 잔디의 관부와 엽조직을 침해하였으며, 병징은 bentgrass의 경우 1m 내외의 둥근 고리모양의 병반을 형성하고, 병반 가장자리의 잔디잎은 초기에는 붉은색을 띠며 병이 진전됨에 따라 갈변하였다. Zoysiagrass에는 직경 30~40cm의 근사원형의 병반이 봄철 맹아시기에 발생하고, 병반 부위에서는 잔디가 맹아되지 않았다. 맹아된 잔디에는 부정형의 볏짚색 반점이 생기면서 고사되었다. Rhizoctonia cerealis의 균사직경은 2.5~6.3$mu extrm{m}$(평균 3.8$\mu\textrm{m}$)이었으며, 균사는 담황색을 띠고, 균총의 색은 밝은 갈색을 나타냈다. Monilioid cell 크기는 5.8~12.5$\times$l3.8~37.5$\mu\textrm{m}$였으며, 배지상에서 형성된 균핵의 크기는 0.2~2.0mm, 균핵의 색은 처음에는 흰색을 띠다가 성숙해가면서 갈색을 나타냈다. 온도에 따른 균사의 생장은 23$^{\circ}C$에서 가장 양호했다. 병원성 검정 결과 분리균간에 병원성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 PDF

연한 녹색 바탕에 밝은 핑크색 꽃의 분화용 바위떡풀 신품종 '크리스탈' 육성 (Breeding of A New Saxifraga fortune Cultivar (Hybrid) 'Crystal' with Light Pink on a White Green Ground Colored Petals for Pot Flower)

  • 서종택;홍수영;유동림;남춘우;류승열;이응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224-228
    • /
    • 2012
  • 분화용 바위떡풀 신품종 '크리스탈(Crystal)'은 꽃색이 연녹색 바탕에 연한 핑크색을 나타내는 품종인 '도태랑'을 모본으로 하고 역시 화색이 유사한 '록선'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2004년에 인공 교배하여 선발한 계통으로부터 육성하였다. 2005-2007년까지 3년에 걸쳐 생육 및 개화특성을 검정한 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크리스탈(Crystal)'로 명명하였다. '크리스탈' 품종의 개화는 9월 21일부터 시작하여 10월 하순까지 약 31일간 피며 꽃 수는 279개로 많고 화경수도 11.2개로 많았으며 화경장은 15.3cm로 작아 전체적으로는 안정적인 초형이었다. 화색은 연한 녹색 바탕에 밝은 핑크색(R-P 62D + G-W 157B)을 띠며 화장 1.8cm, 화폭이 2.1cm로 작은 편이고 꽃잎 수는 7.0개로 비대(大)자형을 이루며 엽장은 3.5cm, 엽폭은 3.8cm의 크기였고 엽수는 133.7개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