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효강황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발효강황가루 첨가 수준이 카레소스의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ermented Curcuma aromatica Salisb. powder addition levels on antioxid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urry sauce)

  • 라하나;변양수;박지현;김혜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24-33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레토르트 포장형 간편가정식용 카레소스의 커리가루 함량보다 일반강황 및 발효강황 가루의 첨가량을 각각 1%와 2% 강화시킨 간편가정식용 건강지향적 카레소스를 개발하여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강황가루와 발효강황가루 첨가량이 강화된 카레소스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 L값은 발효강황가루를 첨가한 시료군이 일반강황가루를 첨가한 시료군보다 유의적으로 어두운 것으로 측정되었으나(p<0.05),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L값이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p<0.05). 카레소스의 pH는 대조군이 5.93의 값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발효강황가루를 첨가한 시료군이 일반강황가루를 첨가한 시료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pH를 나타내었다(p<0.05). 카레밥의 경도는 발효강황 2% 첨가군인 FC2가 42.67의 값으로 대조군 52.00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p<0.05), FC1은 대조군의 경도에 비해 다소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총 페놀함량 측정 결과, 일반강황 및 발효강황가루를 첨가한 시료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0.05), 발효강황가루 첨가 시료군이 일반강황가루 첨가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관능적 특성강도 분석결과, 카레밥 고유의 맛은 발효강황 강화 시료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 되었다(p<0.05). 매운맛과 쓴맛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발효강황을 첨가한 FC1, FC2시료군이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거나 더 약하게 평가되었다(p<0.05).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발효강황 1% 강화 시료인 FC1의 카레 고유의 맛, 매운맛, 쓴맛 및 전반적 기호도 등은 대조군과 유의차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FC2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차가 없거나 유의차는 있으나 약간 낮게 평가 되었다(p<0.05). 이와 같이 항균, 항염, 항암 등의 활성을 나타내는 강황을 이용하여 카레 고유의 맛은 지키면서도 매운맛 및 쓴맛을 개선할 수 있도록 발효하여 제조한 발효강황가루의 함량이 강화된 카레소스는 기존의 카레소스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고, 소비자 기호도가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발효강황가루 첨가량이 기존 커리가루 대비 1% 증가된 FC1의 경우, 관능적 특성강도 및 기호도 검사 결과에서 대조군 카레소스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발효공정을 이용한 간편가정식용 가공식품의 관능적, 항산화적 품질 개선 및 제품의 고품질화를 통한 고부가가치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강황을 첨가한 발효유의 발효특성과 면역조절 효과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flammatory Cytokines Modulating of Fermented Milk with Curcuma longa L Powder)

  • 렌친핸드;손지윤;어르가말;백승희;이조윤;남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5-83
    • /
    • 2015
  • 강황 (Curcuma longa L.)은 건강기능성 식품의 훌륭한 소재로 전통적인 약용식물이다. 강황의 주요성분인 안토시아닌계인 curcumin은 항균작용,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연구는 혼합유산균을 스타터로 사용하여 강황 분말을 첨가한 발효유를 제조하여 발효유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염증 활성을 연구하였다. 발효유의 발효특성은 대조군에 비해 강황 첨가군에서 유산균의 성장이 현저히 빠르게 나타나 pH는 감소되었고 산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우유단백질의 분해도 부분적으로 일어났고 유기산은 lactic acid와 acetic acid가 높게 생성되었다. 기호도는 강황 특유의 쓴맛과 강한 향으로 인해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강황 발효유 배양액을 처리한 RAW 264.7 세포주에서 세포독성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염증성 싸이토카인으로 TNF-${\alpha}$와 IL-6는 강황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강하게 발현되었다. 또한 NO의 생성은 강황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강황 첨가가 유산균의 성장을 촉진시켜 발효유 제조에 도움을 주고, 염증활성을 조절하므로 강황을 이용한 발효유, 음료 제품 및 다양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강황 발효액이 고지방 섭취 흰쥐의 비만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ermented Turmeric Extracts on the Obesity in Rats Fed a High-Fat Diet)

  • 양철영;조미진;이치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1호
    • /
    • pp.75-81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발효 강황 발효액의 급여가 내장지방과 혈청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강황과 흑설탕을 동일비율로 혼합하여 12개월간 숙성 발효하였다. 발효액은 HPLC를 이용해 발효 후 유리당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동물실험은 총 3군으로 일반 대조군에는 고지방사료와 흑설탕 7.2% (HFD), 처리군에는 고지방 사료에 흑설탕 7.2%와 강황 12.8% (TP), 고지방 사료에 분말화한 발효 강황 20% (FTP)을 첨가한 배합사료를 4주간 급여 하였다. 혈청지질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HFD군에 비하여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혈청 중 아디포넥틴과 렙틴은 HFD군에 비해서 FTP군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TNF-$\alpha$은 HFD군에 비해서 FTP군이 감소하였다. 또한 간 손상 지표인 혈청의 AST는 HFD군에 비해서 FTP군이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발효 강황 발효액은 발효 전보다 발효 후에 고지방식이를 투여한 흰쥐에 있어서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농장탐방 - 희만농장(산란계)

  • 최인환
    • 월간양계
    • /
    • 제48권9호
    • /
    • pp.124-127
    • /
    • 2016
  • 경남 함안군 군북면에 위치한 희만농장(대표 고희만)은 강황, 자가 발효 미생물, 비타민 등으로 닭의 면역력을 증가 시키고 특수 맞춤 사료로 고품질 계란을 생산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가정배달 및 택배서비스로 산란 후 24시간 이내에 계란을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하고 있기도 하다. 한편, 지역 소외계층에게 계란과 닭고기를 기부하는 등 선행도 앞장서고 있는 희만농장 이다. 이번호에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주최 농식품명품선발대회에서 계란부문 최우수상을 받았고 대통령표창 2회 수상에 빛나는 고희만 대표를 만나 농장운영 상황에 대해 들어 보았다.

일반강황과 발효강황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특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urcuma aromatica Salisb. with and without Fermentation)

  • 라하나;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9-306
    • /
    • 2016
  • Purpose: Curcuma aromatica Salisb., commonly known as turmeric, has long been used as a powerful health-promoting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that supports cellular health of the human bod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samples with or without fermentation. Methods: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amples were compared using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also examined using the paper disc method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Results: Organic acid content of the C. aromatica Salisb.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FCA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of 0.41% than that of the typical sample without fermentation (CAS) which showed a value of 0.27% (p<0.001).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CAS and FCA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amples with fermentation (p<0.001, p<0.01), respectively. The samples of the disc showed inhibited growth of gram positive Bacillus cereus (FCAS 3.70 cm and CAS 2.73 cm) and Staphylococcus aureus (FCAS 2.70 cm and CAS 1.97 cm). MIC of the FCAS (0.25-0.50, 0.5-1.00 mg/m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AS (1.00-2.00, 2.00-3.00 mg/mL), respectively. Conclusion: C. aromatica Salisb. with fermentation showed higher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this study. Thus we conclude that fermentation can be a helpful process for more effective application of C. aromatica Salisb. with fermentation in the health-promoting food industry.

발효강황 첨가 머핀의 항산화적·감각적 품질 특성 (Antioxidant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 of Muffin with Fermented Turmeric Powder)

  • 강남이;오수보;김은경;김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7-125
    • /
    • 2020
  • The antioxidant,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muffins using fermented Curcuma longa L. were investigated. Sensory properties of the samples were examin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ochemical, antioxidant, and sensory properties was studied. The pH of the samples was pH 7.26-7.42, which was the optimal pH range for the air formation of the dough, color, or volum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ampl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p<0.05). In the sensory intensities, the 1.0 and 1.5%-added sample groups showed a similar savory aroma, sweet aroma, savory taste, sweet taste, and texture to those of the control. Samples containing 1.0 and 1.5% showed similar overall acceptance values to the control. The muffin containing 1.0 or 1.5% fermented Curcuma longa L. powder was developed successfully, and it was concluded that the developed muffin with the fermented turmeric powder could be a highly valued product in the increasingly competitive muffin food industry.

발효강황 첨가 선식의 항산화적·관능적 및 미생물적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y, Sensory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Safety of Sunsik with Fermented Turmeric Powder)

  • 오수보;김은경;라하나;변양수;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00-608
    • /
    • 2016
  • Purpose: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physicochemical sensory, and microbial safety qualities of sunsik containing fermented Curcuma longa L. powder. Method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mples were measured using pH, moisture content, crude ash content, color and sensory evalua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samples were compared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Microbial safety of samples were tested for Aerobic plate counts,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Results: The pH of samples was between pH 5.51 and pH 5.64,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ptimum microbial living range. The DPPH and ABTS radical activities of sunsik containing 0.8% fermented Curcuma longa 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p<0.05). In sensory intensities, sunsik containing 0.8% fermented Curcuma longa L. showed significantly (p<0.05) similar savoy aroma and flavor, spicy aroma, spicy hot flavor, sweet flavor, and throat swallowing values to those of the control samples. Samples of sunsik added 0.8% and 1.2% fermented Curcuma longa L. showed significantly similar overall acceptance values to those of the control. All samples tested were found to free of microbes and microbiologically safe according to the food code standards. Conclusion: The sunsik added with 0.8% or 1.2% fermented Curcuma longa L. powder were successfully developed. we conclude that the developed sunsik with the fermented turmeric powder can be potentially high value products in the highly competitive sunsik food industry.

열량 수준별 간편가정식 비빔밥세트에 첨가된 일반 및 발효 강황의 이화학적 항산화적 효과 (Physicochemical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Curcuma aromatica Salis b. with or without Fermentation on varied calorie levels of HMR Bibimbap set)

  • 오수보;김은경;김혜영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4-50
    • /
    • 2021
  •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three different calorie types of HMR curry rice using fermented turmeric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general tumeric added sampl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arbohydrate content than the fermented turmeric sample group. In all sample groups, the ratio of protein, fat, and carbohydrate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nutritional composition ratio as one meal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brightness L value of the general turmeric-added sample group was measured to be significantly brighter than the fermented turmeric-added sample group. The fermented turmeric sample group showed a slightly lower pH value than the general sample group due to organic acids generated during ferment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BTS, LFTC, MFTC, and HFTC of the fermented turmeric group were 40.20, 40.46, and 36.16%,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32.41, 37.75, and 36.16% of LNTC, MNTC and FNTC of the general sample groups, respectively, consistently indicating that more free radicals were generated in the fermented sample group (p<0.01). Relatively unstable to heat and acid, DPPH scavenged radicals showed similar results to those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erms of activity. Similar results were also shown in the measurement of total flavonoid and phenol content, which are known to have antioxidant antiviral and anticancer effects. Thus we could conclude that pilot products of the high quality varied calorie levels of HMR Bibimbap set with tumeric, which is helpful for antioxidant action have been developed to meet various customer needs.

식물원료 첨가가 In vitro 반추위 메탄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egetable Sources Supplementation on In vitro Ruminal Methane Gas Production)

  • 양승학;이세영;조성백;박규현;박중국;최동윤;유용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1-180
    • /
    • 2011
  • 각 시판되고 있는 식물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눠 첨가 후 각 시간별 배양을 실시한 후 pH, $NH_3$, VFA 발생량, 총 가스발생량, $H_2$, $CO_2$, $CH_4$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그룹 1은 상추와 대파첨가구에서 암모니아 농도가 높았고 고추첨가구에서 낮았다 (P<0.05), 그룹 2는 마늘첨가구에서 암모니아 농도가 낮았고 (P<0.05) 깻잎, 무순과 부추첨가 구에서 높았다 (P<0.05). 마늘과 고추첨가구에서 단백질분해과정 중 아미노산에서 암모니아로 분해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총 VFA 농도는 대파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0.05) 그 외 시험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Acetate와 propionate의 비율에서 볼 때 마늘첨가구가 propionate의 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가스발생량이 대체로 높았으며, 대파와 양파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마늘과 깻잎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가스 발생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생강목에 속하는 강황과 생강첨가구는 pH와 총 가스발생량에서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in vitro 발효를 높였다. 마늘첨가구는 반추위내 총 가스발생량이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모든 시험구에서 총 가스발생량과 $CO_2$ 발생량은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마늘첨가구는 총 가스발생량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CO_2$ 발생량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마늘첨가구의 $CH_4$ 발생량은 배양시간과 관계없이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48시간 배양 후 대조구의 약 1/3 수준으로 낮았다 (P<0.05). $H_2$는 거의 모든 시험구에서 미량 발생되었는데, 대조적으로 마늘첨가구에서만 매우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마늘첨가구에서 g단위 DM 당 $CH_4$ 발생량이 현저히 낮았으며 다른 처리구는 대체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본 시험에서는 allium속의 마늘, 부추, 양파, 파를 포함한 시판 중인 채소를 이용하여 in vitro 발효조절시험을 실시하였는데 특정 식물들은 in vitro 발효 대사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마늘 첨가는 $CH_4$ 생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