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파 설계

Search Result 28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Review of Delay Time of Electric Detonator and Blast Design Using the Sequential Blasting Machine (지발뇌관의 시차와 다단발파에 대한 고찰)

  • 두준기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8 no.4
    • /
    • pp.29-42
    • /
    • 2000
  • 발파에 사용하는 지발뇌관의 정확한 지연초시클 알지 못하면 발파진동제어 발파에서 허용진동값을 초과하여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발파공의 지발단차를 설계함에 있어서 지발뇌관 사이의 실제 기폭초시가 8 ms를 초과하도록 기폭초시를 배열하기 위해서는 지발뇌관 자체의 지발초시 오차가 발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면밀하게 검토하여 발파진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발뇌관 실제 초시에 의해 순차적으로 기폭될 수 있는 지발시차로 발파를 설계해야 한다. 지발뇌관의 제조기준과 명목상의 호칭 초시 및 실제 초시 등이 어떤 특징을 나타내며 발파를 설계할 때에는 어떤 초시를 기준하여 설계해야 진동제어를 실현할 수 있는 가를 알아보고, 국내의 전기 지발뇌관과 다단발파기를 이용한 발파설계 사례는 어떤 종류가 있으며, 다단발파 구역의 회로분할과 분할구역에 대하여 지발뇌관 및 다단발파기에 의한 지연시차 배열은 어떻게 조합해야 올바른 진동제어 발파가 될 수 있는 지를 검토한다. 지발뇌관의 실제 초시를 고려하지 않은 발파에서 설계시의 허용기준과 관계없이 과대한 발파진동이 발생되어 공해가 발생되므로 지발뇌관의 실제 초시를 기준하여 중복초시와 적정한 초시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 PDF

절리특성을 고려한 터널 발파 설계

  • 임경호;김치환;남기천;박성록;이성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1.03a
    • /
    • pp.85-94
    • /
    • 2001
  • 터널 발파시 발파효율은 암반의 특성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암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발파설계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국내에서의 발파설계는 무결암의 단축압축강도만으로 발파암을 분류한 후 각 발파암의 발파계수를 구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공학적 암반분류법의 하나인 RMR 분류를 이용하여 발파암을 분류하되 객관적 근거가 미약한 경험적인 발파계수를 산정 하는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절리특성을 고려한 발파설계를 위하여 Ashby의 접근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절리조사 결과를 통한 발파암 분류방법과 발파패턴설계를 추가하여 발파설계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Ashby의 접근법을 응용하였다. 따라서 절리 분포 특성을 고려한 발파암 분류가 가능하고, 절리암반 특성을 고려한 발파설계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ed Pattern Generation Method for Tunnel Blasting (터널발파설계 자동화를 위한 발파패턴 설계식 개발)

  • Choi Yong-Kun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3 no.4
    • /
    • pp.19-29
    • /
    • 2005
  • Blasting design methods applied in Korea were originally made for foreign rock conditions and blasting environments. Therefore, it has not been fully fitted to the Korean rock renditions. Since 1998, several studies for the automated pattern design of tunnel blasting have been carried out. As the result, a new blasting design method which can settle the problems was developed. Through it is more complex than prior method, it call provide a variety of advantages for us. Through the method, it is possible to vary charge weight according to the changing advance. It ran also be applied to the various design for contour holes. In this study, the newly developed method is introduced.

Tunnel Blast Design in Consideration of Joint Properties (절리특성을 고려한 터널 발파 설계)

  • 김치환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1 no.2
    • /
    • pp.182-189
    • /
    • 2001
  • Rockmass properties have great influence on blasting performance so that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o analyze rockmass properties and to perform blast design based on them. Up to the present, however blast design is performed either considering only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intact rock or using RMR classification as a blast ability classification scheme. In this paper Ashby's approach is adopted to evaluate blast index. In addition. rockmass classification for the blast design based on joint survey results and pattern design procedure are added to Ashby's original approach. With this extended approach, blastability can be classified considering joint properties and objectiveness of evaluated blast index can be confirmed. This approach is anticipated to enhance the tunnel blast design by considering joint properties and classifying the rockmass for blast design.

  • PDF

A study on Tunnel Design Application of Borehole Blasting Data (시추공 발파 자료의 터널설계 적응성에 관한 연구)

  • 임성식;양형식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1 no.2
    • /
    • pp.15-19
    • /
    • 2003
  • 터널 및 지하공동 설계에 이용된 16개 지역 23개 구간의 578개의 시추공 진동 data와 일반터널 4개 지역으로부터 221개 data를 이용하여 시추공발파의 진동전달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추공발파와 일반발파의 진동속도 감쇠 경향을 비교분석한 결과 시추공발파의 입지상수들이 크게 나타났다. 환산거리 증가에 따른 두 진동식의 최대 허용장약량은 시추공발파가 적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시추공발파 자료를 터널발파 설계에 사용할 수는 있으나 조심스러운 통계적 처리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Program for Tunnel Blasting (터널발파 패턴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 김광염;최영민;이정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9.03a
    • /
    • pp.51-54
    • /
    • 1999
  • 현재 국내에서 시공되고 있는 터널 발파 패턴의 경우 현장암반조건과 발파조건 등 발파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여건을 정량적으로 고려한 컴퓨터에 의한 자동설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경험적이고 정성적인 방법에 의하여 터널 발파 설계가 이루어짐으로써 발파설계와 시공이 불일치하고 여굴 및 주변 손상권의 확대로 인한 터널 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 들어와서 터널 발파 공사가 인가 근처에서 이루어 질 경우 발파진동에 의한 민원을 야기하고 있어 이를 고려한 안전 발파 설계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Cost-effectiveness of Tunnel Blasting Pattern by Applying Large Blasting Holes (대구경의 발파공을 적용한 터널 발파 패턴의 비용 효과)

  • Choi, Won-Gyu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7
    • /
    • pp.147-152
    • /
    • 2020
  • The research i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ost-effectiveness of blasting patterns with regard to the diameters and design of blasting holes. Blasting patterns for single diameter array, and mixed diameter array were comparatively analyzed with regard to drilling and charging time, and materials required. The number of blasting holes required for single array pattern and mixed array pattern were 138 and 93 holes, respectively. From the drilling time analysis, reduction in time and its efficiency of mixed pattern were 139 minutes and 25%,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single pattern. Charging time reduction and its efficiency of mixed blasting pattern were evaluated as 22.5 minutes per worker and 33%, respectively, compare to single blasting pattern. The explosive quantities of G1 and G2 required for single array patterns were 270 and 30, while those were 222 and 20 for mixed array patterns for tunnelling 4m. And single pattern required 45 more detonators than the mixed pattern. The evaluation of material required can also be positive parameter for cost reduction of tunnel construction.

암반 굴착공사장의 공법 선택 및 시공사례분석 연구

  • Han, Dong-Hun;Jang, Si-Gyeong
    • Proceedings of the KSEE Conference
    • /
    • 2006.10a
    • /
    • pp.55-66
    • /
    • 2006
  • 일반적으로 현장에서의 발파공법의 적용은 보안물건과 발파지점의 거리로 구분하여 설계한 종례의 방법에서 탈피하여 건설교통부에서 보안시설건물의 거리${\sim}$지발당장약량을 기초로 한 6가지의 타입으로 표준화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시험발파를 통하여 발파공해 허용 기준치를 확보하고 회귀분석을 통한 발파영향권을 분석한 후 이격거리별 발파패턴 및 발파공법을 선정 및 설계를 기본으로 하는 것이며 이번 00대학교 민석도서관 건립공사에서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여 실제 설계 시 적용을 하였으며 6 가지 타입의 기초적인 모델링을 기본으로 하여 시공설계 및 계측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Rock Blasting Design Program (암 발파설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강추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0.09a
    • /
    • pp.223-228
    • /
    • 2000
  • In this study, RFD(Rock Blasting Design) program was developed to perform easily on plans of rock blasting. This program has abilities as follows, that is. the test blasting plan, the bench blasting plan, and the blasting vibration analysis. The value of geological property and blasting constants was offered by database, input value of variety constants repeatedly is planned out, faster and easier. And a value of input constant may be used by user for necessity.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Rock Blasting Design Program (암 발파설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강추원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0 no.3
    • /
    • pp.469-474
    • /
    • 2000
  • In this study, RBD(Rock Blasting Design) program was developed to perform easily on plans of rock blasting. This program has abilities as follows, that is, the test blasting plan, the bench blasting plan, and the blasting vibration analysis. The value of geological property and blasting constants was offered by database, input value of variety constants repeatedly is planned out, faster and easier. And a value of input constant may be used by user for necess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