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정주기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1초

Gilt에 있어서 Difluoromethylornithine에 의한 LH분비 억제 (Suppression of LH Concentration by Difluoromethylornithine in Gilts)

  • 박석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5-171
    • /
    • 1993
  • Ornithine decarboxylase(ODC)가 polyamine 생합성에 주요 효소로 역할을 하지만 difluoromethylornithine(DFMO)은 polyamine 합성에 억제자로 작용하고 있다. Cycling crossbed gilt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분배하였다(6/group). Indwelling silicone catheter를 모든 동물의 경정맥에 수술을 통해 이식하였다. DFMO는 생리식염수(20mg/ml)에 용해하여 매일 80mg/kg을 i.m.으로 주사하였으며 대조구에게는 같은 양의 생지식염수만을 주사하였다. DFMO는 estrous cycle day 16일부터 21일 혹은 발정때까지 하루 3번(08:00, 16:00, 24:00h) 주사하였다. Day 14일 부터 마지막 DFMO주사 이틀 후까지 하루 한번씩 10ml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Day 16일부터 21일까지 매일 다른 gilt로부터 8시간 동안(08:00∼16:00h) 15분 간격의 주기로 window 혈액을 채취하였다. Serum으로부터 progesteron(P4), Estradiol(E2), LH 및 FSH를 측정하였다. P4와 E2는 DFMO처리에 관계없이 follicular phase동안에 전형적인 profile을 보였다. DFMO처리는 발정직전의 LH농도를 저하시켰지만 (p<0.01), FSH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gilt에 있어서 DFMO는 LH분비에 억제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P4, E2 및 FSH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나타났다.

  • PDF

Estrogen 처리에 따른 흰쥐 자궁조직내 c-fos, c-jun, hsp25 mRNA 발현 변화 (Temporal Changes of c-fos, c-jun, and Heat Shock Protein 25 mRNA in Rat Uterus following Estradiol Treatment)

  • 이영기;김성례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2호
    • /
    • pp.149-156
    • /
    • 1999
  • 포유류의 자궁조직은 발정주기를 통하여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궁조직의 분화는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를 잇는 축에 의해 조절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에스트로겐 (E)이 어떤 유전자를 발현하여 자궁 내의 변화를 일으키는지는 아직 자세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난소를 절제한 성숙한 흰쥐에 E을 처리한 후 자궁조직 내에서 c-fos, c-jun 및 hsp25 mRNA의 발현 변화를 Northern blot analysis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한 것이다. c-fos및 c-jun 암원유전자의 mRNA발현은 E처리 후 1시간 이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며, 3시간 이내에 최고치에 도달한 후 급격히 감소하여 기저수준으로 되돌아갔다. 반면에 hsp25 mRNA수준은 E처리 후 3시간 대에서 최고치를 나타내나 증가된 발현량이 서서히 감소하며 12시간이 지난 후 까지도 정상대조군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E의 영향이 선별적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E의 길항제인 tamoxifen을 사전처리하고 E을 추가로 처리하여 c-fos, c-jun및 hsp25 mRNA의 발현이 최고치에 이르렀던 3시간대에 자궁조직을 얻어 각각의 유전자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E에 의해 증가되었던 c-fos, c-jun 및 hsp25 mRNA의 수준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E이 자궁조직에 영향을 미치는데 초기의 일시적인 변화를 보이는 암원유전자인 c-fos 및 c-jun이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는 것을 시사하며 hsp25의 경우는 좀더 늦은 반응에 관여하거나 c-fos및 c-jun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조절을 받을 수도 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NA 검정우에서 FSH 호로몬 투여가 난포란의 채란율에 미치는 영향

  • 진종인;이명열;박준규;이지삼;정장용;박희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87-87
    • /
    • 2002
  • 초음파기기를 이용한 난포란의 채란 기술은 유전적으로 우수한 수정란의 다량확보가 가능함으로써 가축개량에 널리 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초음파유도 난포란의 채란은 무엇보다도 회수율과 회수한 난포란의 질적 등급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등지방층두께, 일당증체량, 근내지방도 및 배최장근 단면적에 연관된 DNA marker가 검정된 한우로부터 FSH(FOLLTROPIN-V, Vetrepharm, Canada)를 투여하여 FSH 투여전.후의 포의 발달율과 등급별 회수율을 조사하였다. 공시동물의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매주 무처리와 채란 12시간 전에 FSH를 각각 l00mg 과 200mg을 근육 주사하여 난포란의 채취를 유토하였다. 난소내 난포란의 채란은 SONOACE-600형 (Medison CO., 한국) 초음파기기를 사용하여 모니터 상에 검게 나타나는 난포를 17-gauge needle (Cook, Australia) 로써 70mmHg로 유지된 regulated vacuum pump를 이용하여 모두 채란하였으며, 소난포는 손가락 촉지를 이용하여 채란하였다. 난포의 크기는(large : $\geq$6mm, medium : 2-6mm, small $\leq$2mm) 무처리구에서 small(56.6%), medium(33.0%), large follicles(10.4%)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난포수는 106(8.2$\pm$3.6개) 였다. FSH 200mg 투여구에서는 medium(47.5%), small(32.5%), large follicles(20.0%)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난포수는 40(10.0$\pm$2.2개) 였다. FSH l00mg 투여구에서는 medium(45.6%), small(43.5%), large follicles (10.9%)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난포는 92(7.7$\pm$2.5개) 였다. FSH 투여전 초음파 image 상으로 관찰한 난포수와 FSH 투여 후 초음파기기와 손가락 촉지를 이용하여 난포의 발달 및 난포란의 채란율은 200mg 투여 구에서는 투여 전에 4.3$\pm$0.6개였으나 투여 후에는 9.3$\pm$2.1개로 증가하였으며, 채란율은 75.0% 였다. l00mg 투여구에서도 투여 전후에 각각 5.3$\pm$1.2개 및 8.2$\pm$2.3개였으며, 채란율은 81.6%였다. 난포란의 채란율은 무처리구에서 88.7%(7.2$\pm$3.9개)로 나타났으며, 회수한 난포란의 등급은 각각 0.0%(GI), 5.3%(GII), 28.T%(GIII), 66.0%(GIV)로 나타났다. FSH 200mg 투여구의 채란율은 87.5%(8.8$\pm$2.6개)로 나타났으며, 등급별회수율은 GI(2.8%), GII(8.6%), GIII(34.3%), GIV(54.3%)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FSH 100mg 투여구에서도 회수율은 89.1%(6.8$\pm$5.2개)였으며, 등급별 회수율은 각각 GI(8.5%), GII(13.4%), GIII(43.9%), GIV(34.2%)로 나타났다.

  • PDF

소형견에서 발정주기 동안 질 세포 검사에 의한 분만일의 예측 (Prediction of Parturition Date Based on Vaginal Cytology in Small Dogs)

  • 박철호;양준열;박준태;이상호;박인철;김종택;서국현;오기석;손창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5-30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of ovulation time and parturition day at the same time as breeding in small dog by vaginal cytology and to confirm the accuracy by comparing the expected parturition day and the real one. Characteristic features of vaginal cytology during the estrous cycle were the high proportion of large intermediate cell, superficial cell, anuclear cell and erythrocyte in proestrus, superficial cell and anuclear cell in estrus, parabasal cell, small intermediate cell, large intermediate cell and leukocyte in diestrus, parabasal cell and small intermediate in anestrus, respectively. When day 0 was the parturition day, the period of pregnancy is 67.45(64~75) days when the cornification index (CI) is over 90%. Also, on the basis of ovulation day, 63.65(59~66) days was confirmed, and 57.0(52~60) days was confirmed based on the first day of diestrus. There are the gap of 4 days between the day being over 90% in CI and ovulation day. On the basis of this, when expecting parturition day based on the day being over 90% in CI by vaginal cytology, 18.1% was produced in the same of the expected parturition day and the real one, 30.3% and 33.3% were produced in the gap of one day and two days, respectively so, the accuracy within two days was 81.7%. In addition, based on the first day of diestrus, it also was identified to 81.7%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parturition day and the real one within 2 days. It demonstrated there are any difference between any expected parturition day by vaginal cytology. Thus on the basis of the day of being over 90% CI, it is fully thought to using clinically due to the possibility of prediction the parturition day at the same time as the determination of the proper time of the optimal mating time.

재래산양(在來山羊)의 성성숙(性成熟), 발정주기(發情週期) 및 임신기간(姙娠期間)에 따른 성(性) 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III) -임신(姙娠) 및 분만(分娩)에 따른 혈청(血淸) 성(性) 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 (Studies on the Sex Hormone Levels in Korean Native Goat during Puberty, Estrous Cycle and Pregnancy(III) -Serum Levels of Sex Hormones during the Gestation and Parturition-)

  • 박창식;이규승;서길웅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70-74
    • /
    • 1985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에 대하여 혈청(血淸) LH, FSH, prolactin, estradiol-$17{\beta}$ 및 progesterone의 농도(濃度)를 교배일(交配日)로부터 20일간격(日間隔)으로 140일(日)까지와 분만당일(分娩當日) 및 분만후(分娩後) 10일(日)과 20일(日)에 조사(調査)하였다. 혈청(血淸) LH의 농도(濃度)는 임신(姙娠) 60일(日)에 1.95mIU/ml로 최고치(最高値)였고, 임신(姙娠) 100일(日0까지는 높은 수준(水準)이었으나 그 후(後)로는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여 분만시(分娩時)에는 0.02 mIU/ml를 나타냈다. Prolactin의 농도(濃度)는 임신(姙娠) 140일(日)부터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여 분만시(分娩時)에는 29.75 ng/ml로 최고치(最高値)였으며, 분만후(分娩後)에는 다시 감소(減少)하였다. FSH는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분절하한치(分折下限値)인 1.25 mIU/ml 이하(以下)의 수준(水準)이었다. 혈청(血淸) estradiol-$17{\beta}$의 수준(水準)은 임신기간(姙娠期間)이 경과(經過)할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분만시(分娩時)에는 159.62 pg/ml로 최고치(最高値)였고, 분만후(分娩後)에는 월등(越等)히 감소(減少)하였다. 혈청(血淸) progesterone은 임신(姙娠) 120일(日)에 6.62 ng/ml로 최고치(最高値)였고, 그 후(後)로는 감소(減少)하여 분만시(分娩時)에는 1.25 ng/ml로 매우 낮은 수준(水準)이었다.

  • PDF

저수태 한우와 번식장애 한우의 혈액화학치 및 호르몬 분석 (Analysis of Blood Chemical Values and Hormone of Repeat Breeder and Reproductive Disorder in Hanwoo)

  • 양부근;김종복;정희태;박춘근;김정익;황환섭;김현철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5-180
    • /
    • 1999
  • 본 실험은 한우 번식장애우와 저수태우의 혈액 성분 및 성선호르몬(estrogen과 progesterone)의 농도를 비교 분석하여 번식우의 기초적인 생리지표를 확립시키는데 있다.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수태 한우와 번식장애우 혈중 albumin, BUN, Ca, cholesterol, creatine, glucose, phosphorous, total protein 및 triglyceride 함량은 3.28$\pm$0.05 와 3.27$\pm$0.04 g/㎗, 11.07$\pm$0.61와 12.69$\pm$0.88 mg/㎗, 9.98$\pm$0.10와 9.56$\pm$0.11mg/㎗, 105.75$\pm$3.57와 126.78$\pm$5.66 mg/㎗, 1.62$\pm$0.05와 1.65$\pm$0.09 mg/㎗, 67.46$\pm$3.07와 76.97$\pm$3.76 mg/㎗, 6.13$\pm$0.36 와 6.11$\pm$0.26 mg/㎗, 5.82$\pm$0.08와 6.18$\pm$0.08 g/㎗ 및 12.82$\pm$1.46와 15.19$\pm$1.61 mg/㎗으로 나타났다. 2. 혈청의 중요한 성분중 하나인 요소태 질소, 칼슘 및 인의 함량이 번식 장애우와 저수태우의 경우 정상우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번식 장애우와 저수태우의 경우 정상우의 약 2배정도 현저히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 3. 발정주기중 혈액내 progesterone 수준은 임신우와 비임신우에서 수정후 18일까지는 비슷한 수준(6.55$\pm$0.17, 5.46$\pm$0.18 ng/$m\ell$)을 보였으나 그 후 임신우에서는 점차 증가하였고 비임신우에서는 발정일 (0.18$\pm$0.03 ng/$m\ell$)에 급감하였다. 4. 번식 장애우와 저수태우의 혈중 estrogen과 progesterone 함량은 각각 57.42$\pm$5.03, 56.76$\pm$8.73 pg/$m\ell$과 6.26$\pm$0.83 ng/$m\ell$, 9.41$\pm$1.85 ng/$m\ell$으로서, 혈중 progesterone 농도가 정상우의 황체기 수준으로 유지되어 발정발현과 수태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성 감별 정자를 이용한 칡소 체내수정란 생산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on In Vivo Embryo Production using Sex-Sorted Sperm in Korean Brindle Cattle)

  • 전향아;문승주;이지웅;강만종;손시환;김남태;고응규;김성우;김동교;성환후;조영무;최창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7-52
    • /
    • 2016
  • 본 연구는 희소한우의 증식을 위해 성 감별 처리된 정자를 체내수정란 생산 및 이식 기술에 적용하고자 정자의 농도별 수정란 회수 결과를 조사하고, 생산된 수정란은 이식을 통해 후대 생산 기술을 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가축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 중인 칡소 암소를 선발하여 공란우로 공시하였으며, 과배란처리는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CIDR-Plus(Intravaginal Progesterone Releasing Device)를 질 내에 삽입하고, 4일 후부터 FSH(Antorin)를 12시간 간격으로 4일간 총 28AU(Amour unit) 절감 주사하고, FSH 주사 3일째 CIDR-Plus을 제거함과 동시에 $PGF_{2{\alpha}}$(Lutalyse) 3.0 ml를 주사해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인공수정은 발정이 확인된 후 12시간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다. 대조구의 경우,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인공수정용 스트로우인 2,000만 농도의 칡소 동결정액 스트로우를 이용하였으며, 성감별 처리구의 경우, 스트로우 당 400만과 1,000만의 두 실험군으로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수정란의 회수는 인공수정 후 7일째 되는 날 실시하였으며, 이식가능 수정란은 IETS의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대조구에서 체내수정란 회수 결과는 이식가능 수정란이 두 당 $6.20{\pm}2.28$개로 전체 회수 수정란의 67.39%로 나타났으나, 성감별 정자처리구에서는 $4{\times}10^6$ 농도에서 $4.33{\pm}5.39$개(26.53%), $10{\times}10^6$ 농도에서 $1.57{\pm}1.72$개(24.44%)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이식가능 수정란 결과를 나타냈다. 미수정란의 비율은 성감별 처리구가 각각 52.04%와 57.78%로 대조구의 8.70%에 비해 유의적으로 매우 높았다(p<0.05). 이식가능 수정란의 발달 단계에 대한 조사 결과, 대조구의 경우 초기배반포배 단계의 수정란이 30.4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이 확장배반포배(19.57%), 상실배(17.39%) 단계였다. 반면에 처리구의 경우, 두 처리구 모두 상실배 단계의 수정란이 15.31%와 24.4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생산된 체내수정란을 한우 수란우에 이식한 결과, 대조구의 경우 35.00%, 처리구의 경우 12.50%의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성감별 정자 유래 암송아지의 염색체 핵형분석 결과, 2n=60으로 일반 한우와 다르지 않은 염색체 분포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29개의 상동염색체와 XX 성 염색체를 가진 정상 암컷 개체임을 확인하였다.

돼지에서 발정 주기 동안 자궁액 내의 단백질 패턴의 변화 (Change of Protein Patterns in Uterine Fluid during Estrus Cycle in Pigs)

  • 이연주;송은지;이상희;정희태;양부근;박춘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103-108
    • /
    • 2013
  • An uterus is female reproductive tract organ that affected estrus cycle. During a various changes occur at uterus in estrus cycle, one of them is body fluids secretion be called uterine fluid.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protein patterns using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in uterus fluids during the follicular and luteal phases in estrus cycle of pigs. In changes of protein spots were confirmed during the follicular and luteal phases. The 136 spots were expressed in follicular phase, the 57 spots of them showed reproducibility. On the other hand, the 140 spots were expressed in luteal phase, the 73 spots of them showed reproducibility. Also, spots expressed in follicular phase were number 69 and 94 spots and spots expressed in luteal phase only were number 156, 157, 184~187, 190 and 191 spots. The spots which of higher expression levels in the luteal phase than in follicular phase were number 76 and 79 spots. In conclusion, the spots expressed in follicular and luteal phases were confirmed with difference levels and these differences are function of RNA resolving, protein synthesis and cytoskeletal architecture.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발정주기중(發情週期中) 혈장(血漿) progesterone 농도변화(濃度變化)와 조기임신진단(早期姙娠診斷)에의 응용(應用) (Changes of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during the estrous cycle and its application to early pregnancy diagnosis in Korean native goats)

  • 최한선;박영준;강병규;박범준;손창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59-265
    • /
    • 1992
  • A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goats. The length of estrous cycle and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during each cycles were determined by both radioimmunoassay and estrus behaviours, and the results were used in the early pregnancy diagnosis. The estrous cycles were classified into the short(l8 days or shorter, average 16.7 days), normal(19 to 22 days, average 20.9 days) and long(23 days and longer, average 23.8 days)cycle. The average length of the 19 estrous cycles was 20.8 days.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in 12 normal cycles were the lowest(0.10 ng/ml) at estrus, remained high from 6 to 16 days(range : 4.43~7.93 ng/ml) and drastically decreased thereafter to reach minimal concentrations at the next estrus.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for early pregnancy diagnosis at 0, 10 and 20 days after mating in the 12 Korean native goats.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in the pregnant goats at 20 days after mat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on-pregnant goats(p<0.001). Of the 12 goats, 10 were confirmed pregnancy by both progesterone concentrations and kidding. The accuracy of the pregnancy diagnosis based on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as 100% for positive as well as for negative.

  • PDF

발정 주기중 흰쥐 자궁에서의 Luteinizing Hormone (LH)과 수용체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Luteinizing Hormone (LH) and Its Receptor Gene in Uterus from Cycling Rats)

  • 김성례;이성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3호
    • /
    • pp.383-387
    • /
    • 1999
  • Objective: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for the expression of rat in gene in several extrapituitary sites including testis and ovary. We also have demonstrated that the local LH expression in the rat epididymis and uterus, the major accessory sex organs in male and female reproductive system, respectively. Design: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lucidate whether the gene for LH receptor is expressed in rat uterus and whether the expressions of uterine LH and its receptor are differentially regulated during estrous cycle. Presence of the transcripts for rat LH receptor in the rat uterine tissue were confirmed by touchdown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In $LH{\beta}$ semi-quantitative RT-PCR, the highest expression level was shown in estrus stage. The level of ill receptor transcripts was also fluctuated during estrous cycle. In ovariectomized rats (OVX + Oil), the expressions of both uterine LH and LH-R were markedly reduced when compared to those from normal rats. Supplement with estradiol $17{\beta}$ to the ovariectomized rats (OVX + $E_2$) restored the expression levels of LH and its receptor to the levels in uteri from normal rats.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d that 1) LH and its receptor gene are expressed in the rat uterus from cycling rats, 2) the expression of uterine LH and its receptor is mainly, if not all, under the control of ovarian sex steroid(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uterine LH may act as a local regulator with auto and/or paracrine manner, though the posibility that the pituitary LH may act directly on the regulation of uterine functions could not be discar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