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연특성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and Smoking Characteristics of the Flame-Resistant Paint (방염도료의 방염성능 및 발연특성에 관한 연구)

  • Kim, Hwang-Jin;Lee, Sung-Eun;Oh, Kyu-Hy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5
    • /
    • pp.78-83
    • /
    • 2009
  • 17 kinds of fire resistant paint which are currently used were painted on the MDF, to find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and smok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rincipal ingredient and characteristics of fire resistant paint. 45 degree combustion test and smoke density 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and smok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45 degree combustion test, acrylic resin type fire resistant paint showed the most excellent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the water soluble fire resistant paint showed better fire resistance performance compare to the solvent soluble paints. Also gloss paint showed better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han the flat paint. Based on the smoke density test, the smoke generation of fire resistant treated specimen of acrylic resin type was least. And the water soluble fire resistant paint generate little smoke than solvent soluble fire resistant paint.

Smoke characteristics of Wood flour-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es (목분-HDPE 복합체의 발연특성)

  • Shin, Baeg-Woo;Song, Young-Ho;Lee, Jong-Hyeok;Bang, Dae-Suk;Chung, Kook-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82-48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목분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복합체의 연소시 화재위험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기밀도 실험장치와 연소가스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연기밀도 특성 및 CO 발생량을 살펴보았다. 또한 난연제 4종류를 첨가한 목분-HDPE 복합체와의 발연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난연제의 억연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무기난연제인 수산화마그네슘(MDH)을 함유한 복합체가 가장 낮은 최대연기밀도(Dm)값을 나타내었으며 CO 발생량 또한 가장 낮았다.

  • PDF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for Pine Cones by Species (소나무 솔방울의 수종별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 Oh, Jin-Youl;Park, Young-Ju;Lee, Si-Young;Lee, Hae-P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29-43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 시 산림 내 연료들의 화재위험성을 분석하고자 산불에 취약한 소나무류(적송, 해송, 리기다소나무)의 솔방울을 대상으로 착화특성과 발연특성을 고찰하였다. 연료는 대형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서 채취하였다. 적송과 해송의 솔방울은 26%와 27%로서 함수율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발화온도는 $380^{\circ}C$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리기다소나무의 솔방울은 33%의 수분을 함유하였으며, 발화온도는 $352^{\circ}C$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송 솔방울의 최대연기밀도는 924Ds로서 해송의 599Ds와 리기다소나무의 605Ds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690s~732s 시간영역에서 최대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moke Release for Structural Adhesives (건축외장용 접착제의 발연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Hae-Pyeong;Park, Young-Ju;Hwang, Me-Jung;Lee, Won-Seok;Yang, Young-Suk;Lee, Mi-L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453-45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건축외장용 접착제의 발연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접착제를 용도별로 구분하여 연기밀도시험기를 이용해 최대연기밀도와 초기발생연기밀도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창호전용 접착제가 586초에 509.64로 가장 많은 연기밀도를 발생하였으며, 석재용 275.63, 목공용 232.25의 순으로 많은 양의 연기가 발생하였고, 타일용 18.65, 스티로폼용 6.44로 최대연기밀도를 나타내었다. 창호전용과 스티로폼용의 경우 최대연기밀도를 나타낸 시간은 비슷한 범위에 나타났으나 연기밀도 값은 스티로폼용에 비해 창호전용 접착제가 80배 가까이 연기가 더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Deodorizing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Corn Oil 2. Effect of Deodorizing Temperature on Cold Test and Smoke Point in Corn Oil (탈취온도가 옥수수 기름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제2보, 탈취온도가 옥수수기름의 냉각시험 및 발연점에 미치는 영향)

  • 이근보;한명규;이미숙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1 no.1
    • /
    • pp.6-10
    • /
    • 1998
  • It was determined to effects on cold test(CT) and smoke point (SP) of deodorizing temperature(DT) in corn oil. Increase of DT was induced to decrease of CT in deodorized oil, which was against the winterized oil inleted. Especially, the decrease of CT in deodorized oil was sharply at more than 26$0^{\circ}C$, this phenomenon was supposed to according the increase of total saturation degree as well as SU2, S2U, and S3 type triglyceride content. On the other hand, SP was showed the highest value as 242$^{\circ}C$ at DT as 24$0^{\circ}C$, the value was decreased to 235~238$^{\circ}C$ at DT as 245~27$0^{\circ}C$. This phenomenon was appear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acid value of sample oils. Accordingly, high temperature deodorizing proved to be a very undesirable effect between gener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fatty acid composition and CT, SP etc.

  • PDF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the Database System for the Forest Fire Factors (산불발생인자의 DB 구축 및 해석)

  • Park, Young Ju;Lee, Hae Pyeong;Lee, Si Young;Hwang, Me Ju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3-19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인자들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요인별로 집적화하고 체계화시킴으로써 산불예방활동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산불발생 시, 산불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발생인자는 크게 연료 및 기상조건 관련 인자와 열적특성 관련 인자로 분류하고 연료 및 기상조건 관련 인자는 수종별, 부위별, 지역별, 고도별, 월별 산림연료들의 구성 요인들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수종별로는 생강나무, 초피나무, 조록싸리, 산초, 개암, 청미래, 고추나무, 철쭉, 조릿대, 털진달래 등 관목류 10개 수종과 김의털, 방아풀, 주름조개풀, 칡, 엉겅퀴 등 초본류 5개 수종 그리고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해송, 구상나무, 주목 등 6개의 침엽수 및 굴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 산개벚나무, 고채목, 개서어나무, 굴거리나무, 서어나무, 산벚나무, 때죽나무, 당단풍나무, 단풍나무 등 15개의 활엽수로 구성된 교목류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부위별로는 생엽, 낙엽, 가지, 수피, 솔방울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했으며, 지역별 구성은 강원(삼척/태백산), 경북(응봉산), 경기(용문산), 충북(월악산), 충남(계룡산), 전북(덕유산), 전남(월출산), 부산(금정산), 제주(한라산) 등 9개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고도별로는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태백산을 중심으로 소나무와 신갈나무 생엽을 대상으로 900m, 1000m, 1100m, 1200m, 1300m, 1400m, 1500m 고도를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월별 분석데이터는 소나무 생엽의 경우, 2008년 6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매월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굴참나무 생엽의 경우에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6월부터 10월까지 생엽을 채취할 수 있는 기간 동안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열적특성 관련 인자로는 착화특성(무염착화온도, 발염착화시간, 소염시간, 화염지속시간), 발열특성(총열방출량, 평균열방출률), 발연특성(총연기방출량, 최대연기밀도, 최대밀도시간) 등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산불발생인자 DB구축으로 부터 산불발생 위험도 및 동태예측의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별 연료별 산림연료의 열적특성 DB로 부터 산불발생시 산불 위험도에 대한 기술정립과 응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외에도 산림연료 종류별 열적특성을 결과를 토대로 문화재보존지역과 같이 문화적 가치가 높은 시설이나 주유소, 가스 충전소 등의 위험 시설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를 위한 대처 방안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어 산불 피해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Storage Safety through Quality improvement of Torpedo Propulsion Battery (어뢰 추진전지 품질개선을 통한 저장안정성 향상에 관한 연구)

  • Jang, Min-K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7
    • /
    • pp.291-298
    • /
    • 2019
  • We describe the improvement of insulation performance and the prevention of electrolyte leakage in a single cell in order to prevent the fuming phenomenon caused by leakage of electrolyte i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a submerged weapon (torpedo) operated in Korea. A torpedo us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as a main power source (propulsion battery) can induce the heat and fuming phenomenon, which makes it inconvenient for naval equipment operation in Korea. In the simulation test, the electrolyte of some battery cells leaked in the battery pack unit, leading to a short circuit between the main power circuit and the terminal tab of the high voltage part.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during this heat generation and fuming phenomenon.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design was improved via fundamental (terminal tap enhancement) and complementary (insulation block selection and installation) measures.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test before and after the improvement showed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ap terminal was improved about 2 times and the withstand voltage characteristic was improved. The application of quality improvement measures resulted in no fuming even after more than 3 years of field operation. This result is expected to improve the operation and storage stability of the torpedo propulsion cell.

Thermal Characteristics of Living Leaves in Pinus Densiflora with Heat Flux (복사열 증가에 따른 소나무 생엽의 열적특성 분석)

  • Park, Young-Ju;Lee, Hae-P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5
    • /
    • pp.75-82
    • /
    • 2010
  • To study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orest fuel by fire intensity, the experiment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on Pinus Densiflora living leaves, which is the weakest species to the forest fire, was delivered, using variables of heat flux(25 kW/$m^2$, 50 kW/$m^2$, 75 kW/$m^2$). With the equipment of Cone calorimeter, the characteristics of ignition, heat, smoke release, CO and $CO_2$ release, and mass loss were analyzed. Pinus Densiflora living leaves containing moisture of 60.66% were not ignited at the heat flux of variables 25 kW/$m^2$, 50 kW/$m^2$, 75 kW/$m^2$. In proportion to the heat flux value, heat release amount and heat release rate reached maximum value rapidly: higher variables came to the maximum by the half rapidity and the maximum value were twice higher than the former lower variables respectively. As for the smoke release, the less heat flux the variable had, the more smoke release it had,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The release amount of CO and $CO_2$ had more maximum value as the heat flux increased and more radiant heat meaned more carbon oxide. When the forest fire breaks out, therefore, a great amount of CO and $CO_2$ will be released by Pinus Densiflora.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moke Release for Architectural Surface Material (건축용 외장재의 발연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Young-Ju;Lee, Hae-Pyeong;Hwang, Me-Jung;Yang, Young-Suk;Yu, Jae-Yeol;Lee, Mi-L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86-489
    • /
    • 2011
  • 건축물 내 외벽에 주로 사용되는 건축용 자재 중 샌드위치 패널은 양면으로 도장한 철판 사이에 심재로 단열재를 넣어 구성된 합성복합자재이다. 샌드위치 패널의 사용범위는 창고시설 및 공업용 건축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시공에 따른 이점으로 주택 및 상업용등으로 널리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초기의 연기밀도는 인명 대피 시 시야확보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건축용 외장재를 용도별로 선정하여 시간에 따른 연기밀도의 값을 구하고 용도에 따른 화재 연기의 확산 정도를 예측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