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암물질

검색결과 556건 처리시간 0.042초

이달의 과학자 - 경희대 가정대 식품영양학과 구성자 교수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29권12호통권331호
    • /
    • pp.72-73
    • /
    • 1996
  • 여러 가지 조리방법으로 조리된 조기와 돼지고기의 돌연변이원성의 검색을 통해 식품 가공, 조리 때 발생하는 발암물질을 밝혀낸 경희대 가정대 식품영양학과 구성자교수. 구교수는 식품에 포함된 발암원을 1)저장중 발생하는 마이코톡신 2)식품첨가제와 농약 3)식품가공, 조리 때 발생하는 발암물질 등 세가지로 분류했다.

  • PDF

화학물질 배출량 변동 요인과 배출저감 정책의 조합 (Emission Factors of Chemical Substances and the Abatement Policies in Korea Industries)

  • 이해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8권4호
    • /
    • pp.653-693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의 환경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하여 유독물질 및 발암물질의 산업별 배출강도와 배출량 변동에 대한 경제적 요인을 분석하고, 배출 감축을 위한 정책조합을 제시한 것이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2000년~2007년의 산업별 화학물질 배출량과 산업연관표 자료이다. 분석결과, 동기간 중 발암물질의 배출은 감소하였으나, 유독물질의 배출은 증가하고 있다. 유독물질의 총배출 강도가 높은 산업은 출판인쇄 및 복제(12), 기타운송장비(26), 펄프종이 및 종이제품(11), 가죽가방 및 신발(9), 섬유직물(7) 등이며, 발암물질의 TEI가 높은 산업은 목재 및 나무제품(10), 자동차 및 트레일러(2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15), 영상음향 및 통신장비(23) 등이다. 유독물질과 발암물질의 변동에 크게 기여한 경제적 요인은 생산 과정에서의 배출계수 관리와 수요면의 최종수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감축하기 위한 정책 수단의 조합은 물질군별로 산업부문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섬유직물(7), 컴퓨터 및 사무용기기(21), 운송장비(26) 등은 배출계수를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조립금속제품(18)은 최종수요를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배출계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구 및 기타제조업(27), 고무 및 플라스틱(15)은 최종수요 관리가 적극 추진되어야 하며, 자동차(25), 코크스석유정제(13), 1차금속(17), 화학(14)은 배출계수 관리와 보조적인 최종수요 관리가 요구되는 부문이다. 이러한 정책 조합은 인체유해 화학물질 감축을 위한 환경정책의 수단에서 산업부문별 물질군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 PDF

서울 도심 및 배경지역에서 PAHs의 시ㆍ공간적 분포와 건식 침적 특성 (Temporal and Spacial Variation of PAHs and Their Dry Deposition in Seoul)

  • 이지이;김용표;이승묵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9-340
    • /
    • 2003
  • 최근 들어서 환경유해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환경 중에 존재하는 발암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이들 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위해성이 밝혀지고 있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는 환경에 존재하는 중요한 발암물질이자 돌연변이 유도체이다. PAHs는 화석연료의 불완전 연소 등에 의해 발생되고, 대표적인 오염원으로는 석탄 연소, 자동차, 가정 난방 등이 있다. (중략)

  • PDF

오징어 튀김 중 NDMA생성에 관한 연구

  • 김정균;김병진;강영미;엄광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07-108
    • /
    • 2002
  • 일상생활에서 인간은 수많은 물리, 화학적 발암 원에 노출되어 살아가고 있으며 역학적으로 관찰해 보면 모든 암의 약 90%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한다. 식품 중에도 여러 종류의 돌연변이원성 물질과 발암성 물질이 자연적으로 존재하고 있어 그 중 소량은 일상의 보통 식이를 통하여 섭취된다. 특히 단백질이나 아미노산이 풍부한 식품인 고기, 생선의 조리과정에 강력한 돌연변이원성 물질과 발암성 물질로 알려진 N-nitrosoamine(NA)이나 heterocyclic amine(HCA)들이 형성되며 다양한 종류가 분리, 동정 되어왔다. (중략)

  • PDF

국내 두 폐금속 광산의 중금속오염 인체위해성평가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Human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between Two Abandoned Metal Mines in Korea)

  • 임태용;이상우;박미정;이상환;김순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619-630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폐금속 광산에 특화된 인체위해성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두 폐금속 광산 지역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광산별 중금속 오염물질(As, Cd, Cu, Pb, Zn)에 대한 인체위해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폐금속 광산에 적합한 7가지 노출경로 등의 노출시나리오를 설정하고, 폐금속 광산 지역 거주 주민의 특성에 맞는 노출인자를 추출하여 인체위해성평가에 활용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얻어진 발암 및 비발암 위해특성을 광산별, 노출경로별, 오염물질별, 수용체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두 광산 모두에서 총 초과발암위해도가 허용 가능한 위해도인 $1{\times}10^{-6}$의 값보다 크게 나타나서 발암위해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두 광산에서의 발암위해성은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두 광산 모두에서 성인에 대한 위험지수가 1보다 큰 값을 보여 비발암위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린이의 경우에는 위험지수가 1보다 작은 값을 보여 상대적으로 비발암위해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발암위해성은 대정광산에서 봉광산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발암 및 비발암위해성을 유발하는 주요한 노출경로는 농작물섭취와 지하수섭취로 평가되었다. 어린이의 경우에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토섭취와 표토피부접촉 경로에 의한 발암 및 비발암 위해성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염물질별 위해성을 살펴보면, 발암위해성은 As, 비발암위해성은 As, Cd, Pb 등으로부터 주로 유발되어 As가 발암 및 비발위해성의 주요한 오염물질로 조사되었다.

환경 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포집과 분석방법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mbient Air)

  • 백성옥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3
    • /
    • 1996
  • 최근들어 발암성 혹은 돌연변이원성에 관련된 환경인의 영향에 관한 직접 혹은 간접적인 증거가 늘어감에 따라 대기환경에서 검출되는 화학적 발암성 물질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 많은 종류의 발암성 화학물질중 측히 독성 유기화합물은 주변환경에 널리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적절한 관리가 어렵고 또한 일반적으로 대기중에 극미량 수준으로 존재하므로 측정, 분석이 어려워 그 위해성을 정확히 평가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다른 물질보다 더 많은 연구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IARC, 1983; WHO, 1987; Calabrese & Kenyon, 1991; Field et al., 199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