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생능력

검색결과 3,275건 처리시간 0.035초

경포유수지 운영에 따른 경포호의 수위변동 (Water Level Change in Lake Gyeongpo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Retarding basin Gyeongpo)

  • 박상덕;이승규;신승숙;박상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318-318
    • /
    • 2015
  • 2002년 태풍 "루사", 2003년 태풍 "매미", 2004년 태풍 "메기" 등의 강력한 호우사상은 경포호 일대에 큰 홍수피해를 가져왔다. 경포호 및 경포천 홍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경포천 수계 수해방지 대책 수립을 통해 과거 경포호 농경지로 활용되던 약 289천$m^2$의 부지에 경포습지를 조성하고 경포호를 포함한 총면적 1,347천$m^2$의 경포유수지 기능을 부여하였다. 경포유수지는 경포천 운정교 하류부의 계획홍수량 중 일부를 분담하여 경포천 본류의 첨두홍수량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새롭게 조성된 경포유수지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경포천 계획홍수 발생 시 경포유수지의 운영에 따른 경포호 수위변동으로 주변에 미치는 영향의 검토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포천 계획홍수 발생 시 경포유수지의 홍수분담능력에 따른 경포호 주변과 경포천 하류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수치모의를 통해 이뤄졌으며, 2차원 수치해석 모형인 RMA-2 모형을 사용하였다. 모의 결과 경포유수지의 홍수분담능력이 커질수록 경포호의 수위는 증가하며, 경포천 하류부의 수위는 감소하였다. 또한 모의한 결과를 통해 경포천과 경포호 상호 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경포유수지의 적절한 홍수분담량을 제시하였다.

  • PDF

횡월류위어 가동방식(고정보-가동보)에 따른 도시지역 침수피해 저감 효과 비교 분석 (An Comparative Study on Effect of Inundation Reduction in Urban Area according to Operation Method of the Side Weir(Fixed Weir-Movable Weir))

  • 성복경;윤태형;황성환;문영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510-510
    • /
    • 2015
  • 우리나라는 1960년대 경제개발에 의한 산업화 이후, 토지이용이 꾸준히 확대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불투수면적 증가하였고, 배수시설의 확장은 표면조도계수 및 침투율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우수 및 오수의 유출속도가 증가하여 홍수방어능력이 감소하였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로 인한 피해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이에 대한 대응능력을 갖추기 위한 치수대책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으나 주로 홍수량을 줄이기 보다는 증가하는 홍수량을 처리하기 위한 하천정비, 하수관, 유수지 및 펌프장 증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하천 하류의 홍수량을 증가시켜 하천주변에 침수피해를 일으키고 있어 보다 항구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유역에 침수가 발생할 시 횡월류위어 가동방식(고정보-가동보)에 따라 미치는 침수영향에 대해 저류조 유입특성(총 유입량, 유입유량 첨두치), 침수지역 침수특성(첨두유량, 첨두수위, 첨두유속, 침수면적, 월류시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저류지 설치에 따른 횡월류위어 가동방식 선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토석류 피해지역 분석을 위한 드론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 of Drone to Analyze the Damaged Field by Debris Flow Disaster)

  • 윤병하;전계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41-341
    • /
    • 2017
  • 토석류는 기본적으로 강우에 기인하는 산지재해이다. 따라서 국토의 64%가 산지인 동시에 여름철 강우가 집중되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토석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 또한 최근 높은 인구밀도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토석류 발생 시 큰 인명피해마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토석류저감을 위해서 FLO-2D, RAMMS, DEBRIS-2D 등의 다양한 수치해석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왔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토석류를 해석하려면 조사하려는 지역의 지형자료를 습득하는 것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하지만 토석류 재해지역의 접근성 및 위험성을 감안할 때 해당 지역으로의 접근이 곤란하여 지형자료를 직접 얻는 것은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재해 위험지역에서 드론촬영을 실시하여 후처리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지역의 DEM을 생성하였다. 생성한 DEM이 효용가치를 지니려면 실제 지형과의 차이를 최소한으로 가져야 한다. 따라서 드론촬영으로 생성한 DEM을 수치지도를 통해 생성한 DEM과 비교하여 좌표의 편차, 고도의 편차 등을 계산하였다. 또한 각각의 DEM 자료에 FLO-2D를 적용하여 토석류 재해 위험지역에 설치된 사방시설의 저감능력을 확인해보았다. 두 DEM의 비교분석을 통해 드론촬영으로 생성한 DEM이 충분한 실용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해당 지점에 설치된 사방시설의 저감능력을 다방면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현재 급부상하고 있는 드론을 통해 사방사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토석류 저감 부문에서 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CP 4.5/8.5 시나리오 기반 다목적댐 물 수급 변화 특성 분석 (Analysis of water supply and demand change using RCP 4.5/8.5)

  • 김정민;박진혁;장수형;강현웅;류경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8-378
    • /
    • 2018
  • 우리나라의 다목적댐 저수지 운영기준은 홍수기에 발생한 유입량에 의존하고 있으며 최근들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가뭄으로 현재 기준으로는 안정적 용수공급을 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러한 가뭄에 의한 용수부족을 사전에 대비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는 댐 용수부족 대비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제시하였다. 기준에 의해 가뭄시 다목적댐에서는 4단계의 가뭄단계(관심, 주의, 경계, 심각)로 관리되며 용수제한공급이 시행된다. 하지만 가뭄단계 해제시 다소 보수적인 기준으로 인해 용수제한공급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뭄단계별 해제기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R5 RCP 4.5/8.5 26개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기간신뢰도와 공급신뢰도를 산출하고 하위 시나리오와 median 값을 가지는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해제기준을 적용하였다. 기간 공급신뢰도, 회복도 및 취약도와 추가공급가능량 및 용수 추가공급가능일수를 통해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였다. 시나리오별로 용수공급 실패기간 유지일수에 따라 기간 공급신뢰도와 회복도 및 취약도가 상이하게 분석되어 향후 미래 기후변화시나리오 적용 분석시 적절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선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강우 분포 및 상호 관련성을 고려한 유수체계의 최적 설계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Detention System Design Model with Consideration of the Rainfall Distribution and Mutual Connection)

  • 이범희
    • 지구물리
    • /
    • 제7권2호
    • /
    • pp.151-155
    • /
    • 2004
  • 도시 수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펌핑 시스템과 하천 유하능력을 확보하여야 하나 하천의 유하 능력을 넘어서는 유출이 발생하는 경우 각 소유역 별로 이들 유량을 일시적으로 저류 할 수 있는 유수체계의 설치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수체계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강우 분포의 변화 및 유량의 이동 지체에 따라 오히려 첨두 유량이 증가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으므로 상류와 하류에 위치한 각 유수지의 저류량과 유출 펌핑량 간의 시간문제 등 상호 관련성을 고려한 유수체계의 설치 모형이 필요하므로 IDP(Incremental Dynamic Programming) 기법을 적용하여 강우 분포에 따른 유수지 상호간의 영향을 고려한 설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메이트란드 도수치료가 만성 요통환자의 즉각적인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mediate Dynamic Balance Ability of Chronic Low Back Pain on Maitland's Manual Therapy)

  • 형인혁;하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07-215
    • /
    • 2009
  • 만성 요통 환자들에 대한 다양한 치료적 중재 방법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료들이 통증에 대한 치료들이다. 만성 요통 환자들은 요추관절들의 구조적 고착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고착들은 관절가동범위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동적 균형능력의 저하를 발생시킨다. 동적 균형능력의 저하는 손상을 가중시키고 위험상황에서의 대처능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요통환자들에 대한 즉각적인 동적 균형능력의 회복을 위하여 메이트란드의 도수치료의 방법들을 이용하였다. 만성 요통 환자 64명을 대상으로 메이트란드의 도수치료를 적용한 실험군 32명, 이학적 도구(온열팩, 저주파치료기, 초음파)를 사용한 대조군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군의 치료 전, 후의 동적 균형능력을 비교하기위하여 신뢰도가 높은 스타 익스커션 밸런스 테스트(0.81-0.96)를 이용하였다. 실험군에서 치료 후 동적 균형능력이 전방, 오른쪽, 왼쪽, 후방모두에서 증가하였고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메이트란드의 도수치료가 만성요통환자들의 요추 관절을 유연하게 해서 즉각적인 동적 균형능력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뇌졸중 이후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이 인지 및 운전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ng Effects of Driving Simulator and Dynavision Training on Cognitive Ability and Driving Performance After Stroke)

  • 최성열;이재신;김수경;차태현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7-143
    • /
    • 2018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게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의 효과를 인지 평가와 주행 중 운전수행 능력 평가를 통해 비교하고, 두 가지 훈련방법의 차이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뇌졸중 환자 21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로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집단(N=11)과 Dynavision 훈련 집단(N=10)으로 분류하고 각각 15회기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주행 중 운전수행 능력 측정을 위해 운전 시뮬레이터 시나리오 시스템 평가를 실시하였고, 인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riveABLE Cognitive Assessment Tool(DCAT), Trail Making Test-A, Trail Making Test-B 그리고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집단은 모든 인지 능력평가와 대부분 운전수행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Dynavision 훈련 집단은 Trail Making Test-A를 제외한 모든 인지 능력 평가와 브레이크 페달 반응시간, 중앙선 침범 평균 시간 및 비율, 차선이탈 비율의 운전수행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그리고 두 가지 훈련의 변화량은 도로주행평가의 결과 예측 지수와, 충돌사고 및 위험상황 발생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변수들의 변화량은 두 가지 훈련방법의 적용 차이에 따라 모든 변수가 20% 이상의 인과적 영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운전훈련 방법으로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은 모두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운전 시뮬레이터는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 능력 전반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훈련이며, Dynavision 훈련과는 20%의 설명력으로 훈련효과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축력이 재하된 원형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의 최대 저항능력 (Ultimate Resisting Capacity of Axially Loaded Circular Concrete-Filled Steel Tube Columns)

  • 곽효경;곽지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23-433
    • /
    • 2012
  •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은 축하중 재하시 콘크리트에 구속응력이 발생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가한다. 콘크리트의 강도 증가분은 발생된 구속응력의 크기에 종속되므로 비선형 해석을 통하여 원형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축방향 하중에 대한 최대 저항능력을 산정하였다. 콘크리트의 포아송비 및 응력-변형률 관계와 같은 비선형 재료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강관의 다축 항복조건을 기준으로 최대 구속응력을 산정하였다.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된 모델을 검증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하여 D/t 비율 및 재료성질에 따른 최대 구속응력 산정법을 단순화하였다. Eurocode 4 설계 기준 및 기존에 제안된 다양한 경험식과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된 회귀분석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다시마의 건조 과정 중에 발생하는 후코잔틴(fucoxanthin)과 총항산화능의 변화 (Change of fucoxanthin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of Saccharina japonica during the drying process)

  • 백수현;이혜주;이채현;남택정;이상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24-530
    • /
    • 2019
  • 열풍 건조와 일광 건조는 건조 다시마를 제조하는데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 다시마의 주요한 생리활성물질인 후코잔틴이 열풍 건조에 의해 노출되는 열과 일광 건조에 의해 노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받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후코잔틴이 건조 다시마의 폴리페놀 조성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총 항산화 능력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열풍 건조에서 발생하는 열과 일광건조에 의해 건조 다시마에 노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후코잔틴 및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항산화 능력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건조 다시마의 가공, 유통 및 저장 그리고 포장재의 선택 등이 건조 다시마의 생리활성물질의 잔존 및 총 항산화 능력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음식물 및 농업폐기물 열분해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Torrefaction Unit of High Moisture Food & Agricultural Wastes)

  • 송대빈;임기현;정대홍;윤종현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16-116
    • /
    • 2017
  • 2012년 국내 총 폐기물(지정폐기물 제외) 발생량은 382,009 톤/일 으로 이 중 12.8%를 차지하는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 채소류폐기물 발생량은 13,209 톤/일 으로 대부분 소각 후 매립 처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수분 음식물 및 농업 폐기물을 재활용한 고형연료 제조에 필요한 열분해장치를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건조용량 50 kg/hr인 실험실용 열분해장치를 제작하였다. 건조 처리된 농업폐기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열분해용 실험 원료로 사용하였다. 원료종류, 열분해 온도, 열분해 시간에 따른 농업폐기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열분해 특성을 파악하였다. 농업부산물 건조물의 열분해 처리 결과, 열분해 처리능력은 평균 55.35 kg/hr, 저위발열량은 평균 3,333 kcal/kg으로 측정되었다. 농업부산물을 단순 건조 처리한 경우 고위발열량은 3,400 kcal/kg, 저위발열량은 3,090 kcal/kg으로 측정되어 열분해처리로 발열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물의 열분해 처리조건 및 결과, 열분해 처리능력은 평균 88.27 kg/hr, 저위발열량은 평균 4,016 kcal/kg으로 측정되었다. 음식물 쓰레기를 단순 건조 처리한 경우 고위발열량은 4,040 kcal/kg, 저위발열량은 3,686 kcal/kg으로 측정되어 열분해처리로 발열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열분해 처리능력은 연구목표치인 50 kg/hr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저위발열량은 연구목표치인 4,000 kcal/kg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다만 저위발열량 측정 기준 함수율이 습량기준으로 약 10%로 추정되는 바 5%로 조절하고, 열분해 열풍온도를 $200^{\circ}C$ 까지 상승시키면 발열량이 훨씬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