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생가능성

검색결과 7,462건 처리시간 0.045초

통전중인 도선에서 화재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for the Fire Potentiality in Wire being Applied Electric Current)

  • 지승욱;김시국;이춘하;이광식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72-77
    • /
    • 2009
  • 2006년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전기화재 중 63.2[%]는 전기배선에서 단락에 의해 발생되었다. 따라서 전기배선에 의한 화재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전중인 도선이 주변 조영재와 접촉할 가능성 및 접촉에 의한 화재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도선에 흐르는 전류가 클수록 주변의 조영재와 접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도선의 온도가 도선피복의 발화점을 넘는 경우 도선과 주변 조영재 간에 불꽃을 동반하는 방전이 발생됨으로써, 전기화재 가능성이 더욱 커지는 것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었다.

오피스 리모델링 프로젝트 특성에 따른 공기지연 리스크 발생 영향도 (Effect of Office Building Remodeling Project Characteristics on the Occurrence of Schedule Delay Risk Factors)

  • 조규만;김태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22-31
    • /
    • 2018
  • 리모델링 사업의 고유 리스크 요인들로 인해, 리모델링 사업의 실패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공기지연이 거의 대부분의 리모델링 프로젝트에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공기지연을 야기하는 리스크요인들이 모든 리모델링 프로젝트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해당 프로젝트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리스크 요인들의 발생가능성이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29명의 현장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신뢰성 있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속성들이 리스크 요인의 발생에 얼마나 빈번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한 "프로젝트의 속성별 중요도"를 산정하였고, (2) 어떤 리스크 요인의 발생가능성이 가장 큰지를 평가한 "리모델링 사업의 공기지연 리스크 요인별 중요도" 그리고 (3) 이상의 두 가지를 혼합한, "각각의 리스크 요인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젝트 속성별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리모델링을 고려하는 건축물의 다양한 특성들과 공기지연 리스크 발생가능성 사이의 관계를 다각적인 측면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리모델링을 계획하고 있는 발주자가 해당 프로젝트의 오피스의 특성에 따라 발생가능성이 높은 공기지연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기상학적 가뭄의 확률론적 예측 (Prediction of Probabilistic Meteorological Drought Using Bayesian Network)

  • 신지예;권현한;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20
    • /
    • 2015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홍수와 가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가뭄은 우리나라에서 겨울과 봄철을 중심으로 매년 발생되고 있다. 가뭄의 정확한 발생을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가뭄이 발생되면 그 진행속도는 홍수보다 느리기 때문에 초기에 가뭄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한다면 가뭄에 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최근 가뭄 예측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발생의 불확실성을 내포하기 위하여 Bayesian Network (BN) 모형과 SPI의 자기상관성을 바탕으로 가까운 미래의 가뭄 발생확률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BN은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확률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네트워크 모형으로, 자연현상에 대한 위험도 분석 및 의학 분야에서 질병추정을 위한 모형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까운 미래의 가뭄 예측을 위하여 APEC 기후센터(APEC Climate Center, APCC)에서 제공하는 다중모형앙상블(Multi-model Ensemble, MME) 강우예측 결과로 도출한 미래 SPI 및 과거 강우량 자료로 구축한 SPI를 부모노드로, 예측 SPI를 자식노드로 BN을 구축하였다. BN의 각각의 노드를 Gaussian 확률분포모형으로 가정한 뒤, Likelihood weighting 방법으로 주변사후분포확률(Marginal posterior distribution)을 추정하여 미래의 SPI의 발생확률을 계산하였다. 2008년부터 2013년의 BN 가뭄 예측값과 MME 강우예측 결과로 도출한 SPI를 실제 관측 강우량으로 산정한 SPI와 비교하였으며, BN이 실제 관측결과에 가까운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BN을 활용하여 가까운 미래의 가뭄 발생가능성을 확률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 가뭄상태별 가뭄 발생확률이 산정되었다.

  • PDF

닭의 류코싸이토준병을 막자

  • 박근식
    • 월간양계
    • /
    • 제19권5호통권211호
    • /
    • pp.64-69
    • /
    • 1987
  • 1985년부터 1986년 사이에 남부지방에서 닭의 류코싸이토준병이 발생한 사실은 금년도에 전국적으로 확산하여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 PDF

GIS기반 토석류 산사태 대응공법 설계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GIS-based Computer Program to Design Countermeasures against Debris Flows)

  • 송영석;채병곤
    • 지질공학
    • /
    • 제23권1호
    • /
    • pp.57-6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자연사면에서 토석류 산사태 대응공법의 설계 프로그램(CDFlow ver 1.0)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자연사면에서 발생되는 산사태의 발생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토석류 산사태로 인하여 발생되는 피해범위를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토석류 산사태의 대응공법 위치와 규모를 설계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가장 잘 알려진 지리정보시스템(GIS) 개발도구중의 하나인 ArcGIS 엔진에서 구동되도록 개발되었다. 그리고 유사동역학적인 습윤지수와 무한사면의 안정해석기법을 적용하여 산사태 발생가능성을 예측하였다. 계산된 사면안전율은 기준안전율과 비교하여 산사태 잠재발생 구간을 선정하고 이를 도면상에 표시하였다. 토석류량은 산사태 잠재발생 구간과 토층심도에 의해 산정된다. 그리고 누적 토석류량은 이동경로를 따라서 계산할 수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산사태 발생현장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산사태 발생현장은 강원도 인제군 덕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상수계에 4개의 사방댐이 설치되어 있다. 토질실험 및 현장조사결과를 토대로 산사태 발생가능성이 높은 구간과 토석류의 이동경로를 산정하였다. 해석결과 기존에 설치된 사방댐의 규모는 계산된 토석류량을 저장하기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토석류 산사태 대응공법의 설치위치와 규모를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간정보 기반 산사태 발생지역 예측비율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Prediction Ratio of Landslide Hazard Area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 이근상;이호준;고신영;조기성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2호
    • /
    • pp.113-124
    • /
    • 2014
  • 최근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이 빈번해짐에 따라 산사태 취약지역을 분석하고 산사태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발생지역의 토양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배수 특성별 우도비를 평가한 결과 배수가 좋은 토양에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DEM 자료에서 추출한 경사도의 우도비를 평가한 결과 $20{\sim}40^{\circ}$ 경사구간에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공간분석에 의한 사면방향도의 우도비를 평가한 결과 북향에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토양배수, 경사도 그리고 사면방향도의 우도비를 중첩하여 산사태 취약도를 평가할 수 있었으며, 산사태 발생지역에 대하여 분석과 검증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미래 산사태 발생 예측비율을 평가할 수 있었다.

토석류 발생예측의 강우기준에 대한 DFG 곡선 작성 (DFG curve creation for Rainfall Criteria of Debris flow Occurrence Prediction)

  • 유병인;김병식;정세진;이석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8-278
    • /
    • 2015
  • 우리나라의 산사태 및 토석류의 발생 시기는 주로 7,8,9월에 집중 되어 있고 유발인자 중 강우는 산사태 및 토석류를 발생시키는 가장 큰 인자이다. 특히 강원도 지역은 산지지형이 많고 여름철 장마나 국지적인 집중호우에 의해 토석류의 발생빈도가 다른지역에 비해 많다. 7,8,9월의 누적 강우량이 1,100mm 이상이 되는 지역에서 극심한 피해가 발생하고 누적강우량이 많을수록 규모도 커지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취약지역에서 강우에 의해 토석류가 발생한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정이상의 강우가 발생할 시 취약성이 낮은 지역에서도 토석류 및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충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인태 등, 2009) 따라서 강우발생에 따른 토석류 발생기준에 대해서 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의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이력에 대해서 강우데이터를 분석하여 강우기준을 설정 하였다. 강우관측소는 국토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기상청의 강우자료를 활용하였다. 관측소의 선택은 Thiessen Polygon에 의해 선택하였고, 유효시간에 따라 강우강도, 유효평균 강우강도, 누적강우량을 산정하여 DFG (Debris-Flow Guidance) 곡선을 작성하여 강우기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토질과 유효토심에 따라 강우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