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Basic Study for the Fire Potentiality in Wire being Applied Electric Current

통전중인 도선에서 화재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In total electric fire in Korea in 2006, a rate of the electric fire caused of short in electric wire is over 63.2[%]. It is needed to study a fire potentiality in electric wire. This paper studies contact and fire potentiality between a electric wire and conductors existed around the electric wire. As amplitude of current in electric wire is bigger, as it has higher possibility to contact between a electric wire and conductors existed around the electric wire. In case of temperature of wire is over combustion point of outer sheath, it is appeared to spark discharge between wire and conductors. So the fire potentiality raise up.

2006년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전기화재 중 63.2[%]는 전기배선에서 단락에 의해 발생되었다. 따라서 전기배선에 의한 화재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전중인 도선이 주변 조영재와 접촉할 가능성 및 접촉에 의한 화재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도선에 흐르는 전류가 클수록 주변의 조영재와 접촉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도선의 온도가 도선피복의 발화점을 넘는 경우 도선과 주변 조영재 간에 불꽃을 동반하는 방전이 발생됨으로써, 전기화재 가능성이 더욱 커지는 것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전기안전공사,(www.kesco.net), "전기재해통계보고서 (2006년도 통계분석보고서)", 2007
  2. 이춘하 외, "전기화재공학", 동화기술, pp.87-136, 2004
  3. 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화재 원인분석 및 예방대책 연구", 1994
  4. 한국전기안전공사, "배선기구 탄화 및 발열에 의한 전기화재 위험성 연구", 1996
  5. 박용환, 양승용, "단면결함 전선에서의 화재발생 메카니즘 연구", 2001년도 한국화재${\cdot}$소방학회추계학술논문발표회, pp.61-67, 2001
  6. 송길영, "최신 송배전공학", 동일출판사, pp. 48-56, 2005
  7. 이동인 외, "전력공학(Ⅱ) 송 배전편", 동명사, pp. 38-40, 1979
  8.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2009
  9. 이춘하 외, "방폭시험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Ⅱ)", 한국기계연구소, UCE614,838, 1991

Cited by

  1. Evaluation of Glare and Forward Visibility of Headlamp for Elder Friendly Vehicle vol.25, pp.4, 2011, https://doi.org/10.5207/JIEIE.2011.25.4.001
  2.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Partially Disconnected Wire Happened in Plug vol.25, pp.4, 2011, https://doi.org/10.5207/JIEIE.2011.25.4.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