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레공연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발레공연의 서비스 품질(작품, 가격, 물리적 환경)이 만족, 신뢰, 재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K-발레 콘텐츠 미국 현지화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Performance Work, Price, Physical Environment) on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Intention to Re-attend Ballet Performances : US Localization of K-ballet Content)

  • 김광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49-162
    • /
    • 2021
  • 본 연구는 발레공연의 서비스 품질(작품, 가격, 물리적 환경)이 만족, 신뢰, 재 관람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또한, 만족 및 신뢰가 재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도 함께 검정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최근 2년(2019년 ~ 2020년) 간 발레공연을 공연장에서 실제로 관람한 경험이 있는 일반 성인남녀(미국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 8월 중, 1곳의 글로벌 리서치 전문기관을 통해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유효한 240명을 수집 완료했다. 수집된 유효 표본으로, SmartPL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했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발레공연의 서비스 품질 중 작품은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격, 물리적 환경은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2)작품은 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격, 물리적 환경은 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3)만족은 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작품, 가격, 물리적 환경은 재 관람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5)만족은 재 관람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신뢰가 재 관람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릭터 댄스의 개념정립과 발전방향 모색 (Theory & developmental direction of Character Dance)

  • 장소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53-159
    • /
    • 2020
  • 캐릭터 댄스는 발레 전공자나 무용수, 안무가의 표현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창조적 움직임을 통해 공연의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포괄적인 교육적 함의가 내포되어 있는 캐릭터 댄스는 발레교육 현장에서도 자료부족과 미비함으로 연구가 진행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통속적인 개념조차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캐릭터 댄스의 개념 정립을 위해 시기적으로 발레공연에서 캐릭터 댄스의 도입부터 현재까지 나누어 살펴보고 형태를 범주화하였다. 또한 발전 발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범주와 개념정립의 올바른 이해를 통한 캐릭터 댄스는 무용전공자와 유아, 아이들, 비전공자에게 다양하고 확장적인 교육형태를 제공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캐릭터 댄스에 대한 교육적 함의에 대한 시론(試論)적 연구는 발레 교육뿐만 아니라 다방면의 기초자료를 활용될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자는 차후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노트르담 드 파리"공연.체험콘텐츠의 OSMU(OSMD) ${\rightarrow}$ MSMU.ASMD 현황분석 (Notre-Dame de Paris's Performance.experience contents - Current status of OSMU(OSMD) ${\rightarrow}$ MSMU.ASMD)

  • 차영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5-316
    • /
    • 2014
  • "노트르담 드 파리"는 다양한 장르의 원전이 되고 있다. 그 중 뮤지컬, 발레, 피겨스케이팅, 유형문화재 등, 공연 체험 콘텐츠에서는 어떻게 OSMS(OSMD)에서 MSMU ASMD로의 진화과정을 겪는지 그 현황을 분석해보기로 하겠다.

  • PDF

직장여성의 발레피트니스 수업 경험에 대한 미적 가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Value Recognition of Work Women's Ballet Fitness Class Experience)

  • 유은혜;조건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501-508
    • /
    • 2021
  • 이 연구는 발레피트니스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직장여성들의 수업에 대한 미적 가치 인식에 대해 질적 분석하고 연구 참여자들의 의견에 따라 발레피트니스 수업이 올바르게 정착되기 위한 방법 모색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지역 교육기관에서 발레피트니스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직장여성 9명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는 반구조화 형식의 질문지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범주화 내용은 전문가 검토 및 동료 간의 검토로 도출되었다. 그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발레피트니스 수업을 통해 일상의 즐거움과 통증개선에 도움이 되었으며 발레공연 또한 관심 있게 보게 되었지만 수업에 관련한 정보제공이 미흡한 점은 개선되기를 바라며 불만을 표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발레피트니스 수업의 이점을 가족 및 주변 지인들에게 적극 알리고 있었으며 이 운동이 발레에 대한 어려운 이미지의 개선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발레피트니스 수업은 직장여성들에게 취미 운동으로 충분히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기대하였다.

발레 공연에 나타난 한복 오브제 표현 연구 - 'La, 춘향' 공연을 중심으로 - (A Study of Hanbok Object in Ballet Performance - Focus on the Performance 'La, Chun-hyang' -)

  • 이지연;소황옥
    • 복식
    • /
    • 제62권6호
    • /
    • pp.98-1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Hanbok is expressed in the ballet performances through the 'La, Chun-hyang', a classic Korean ballet. 'La, Chun-hyang', was performed from 2009 and 2010,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choreography by the director's intention. According to these changes, the methods of expression of ballet objects were changed as well. Therefore, totally different personalities were shown despite the fact that theses were same performances. Every costume objects in dance performances like the ballet can be used to express the story and the characters. Moreover, the object designs of Hanbok portray creativity and originality that simultaneously refers to history. In order for stage costume objects to popularize, the making method and process have to be developed like the objects of the Hanbok that signified historicity.

세계적인 건축가와 디자이너, 그리고 발레하는 소년

  • 여인해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3호
    • /
    • pp.16-16
    • /
    • 2006
  • 런던의 6월은 그 어느 때보다 큰 전시와 공연으로 채워질 것 같다. 특히 따로 보기도 힘든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보기 드문 기회가 될 런던 건축 비엔날레가 눈길을 끈다.

  • PDF

왜 춘향은 춤을 추는가(II) - 판소리<춘향전>과의 대비를 통한 한국발레의 창작방안 연구서설 (What is the reason Chunhyang dances?(II) -An Introduction to the creative way of Korean Ballet by the contrast with Pansori Chunhyang-jeon)

  • 임형택
    • 공연문화연구
    • /
    • 제32호
    • /
    • pp.305-332
    • /
    • 2016
  • 이 글은 오늘날의 시각 중심 시대에 문학이 요동하는 주요인의 하나로 영상 미디어-테크놀로지에 의한 '몸'의 부상을 꼽고, 그에 따라 '문학미디어'로서의 몸 -몸의 문학적 현상과 기능- 을 연구하는 연속적 연구의 두 번째이다. 필자는 연구의 구체적 역사적 이론적 지평을 확보하기 위해 판소리와 발레의 대비 연구에 먼저 착안했었다. 그 과정에서 한국 고전 서사에 기반을 둔 한국 창작발레가 글로컬 문화 콘텐츠로서 조명되었으며, 한국발레의 진정한 개성과 정체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한국 고유의 리듬과 선율이 원용될 필요성이 제기됐었다{이상 '왜 춘향은 춤을 추는가(I)'}. 그것은 곧 판소리의 장단과 창으로서, 이 글에서는 그 주장을 강화 및 공식화하기 위해 구체적인 논거들을 보완하는 한편, 판소리가 실제로 사용된 한국 창작발레의 사례를 제시하면서 앞으로 장단과 창이 어떻게 적절하게 원용됨으로써 한국창작발레의 향상이 이뤄질 수 있는가를 거시적으로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현재까지는 한국 창작발레에서 판소리가 일종의 시각적 효과 -이색적인 요소로서 단지 뵈어지고 들려지는 것- 를 주로 거뒀다고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것을 넘어서 동작과 안무에 작용하는 판소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부분적 적용에서 정제되어 전반으로 확장되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국내 직업무용단의 웹사이트 콘텐츠 비교 분석 (Comparative Study of Internal Dance Troupes' Web Sites Contents)

  • 정미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311-320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 직업무용단 웹사이트 콘텐츠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이 연구를 통해 전국 직업무용단과 무용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사이트 구축 및 콘텐츠 개발 방안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용단 단독으로 홈페이지가 운영되고 있는 8개의 무용단을 선정하여 콘텐츠 내용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무용단 홈페이지 중 콘텐츠 제공과 커뮤니티의 활성화는 국립발레단, 서울발레시어터, 유니버설발레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도)립무용단의 경우는 경기도립무용단, 대전 부산 서울 인천시립무용단의 5곳만 활성화되고 있어 타 시도 무용단 홈페이지의 콘텐츠는 많은 보완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서울발레시어터나 유니버설발레단의 경우 공연소식, 단원소개, 발레이야기, 공연평, 뉴스레터 일정안내, 아카데미, 후원회 등을 통해 많은 콘텐츠를 제공하여 관객 관리와 홍보에 활용한 반면 시립 도립 무용단의 홈페이지에서는 그 규모와 자료 수가 적은 편이어서 웹사이트 방문의 호기심이 덜했다.

컨템포러리 댄스 트렌드 분석에 관한 연구 (A Trend Analysis of Contemporary Dance)

  • 정의숙
    • 트랜스-
    • /
    • 제1권
    • /
    • pp.67-89
    • /
    • 2016
  • 본 연구는 이 시대의 무용가들 중 전통을 이어 창작하는 그룹과 다음 시대로의 공연형식을 열어주는 그룹을 선정하여 작품을 분석하면서 트렌드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정한 작품들은 일반적으로 상상하고 있는 테크놀로지와의 융복합이 아닌 발레와 일상의 협업으로 구성된 무용을 비디오라는 또 다른 도구를 차용하여 새로운 형식으로 한 저스틴 펙(Justin Peck)과 타 문화(신체 장르)와의 협업을 형식으로 하는 시디 라비 체카위(Sidi Larbi Cherkaoui), 그리고 마지막으로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를 주도하는 자크 모리스(Zach Morris)를 선정하였다. 무용 트렌드 분석을 위하여 테크놀로지와의 융복합이 요구되는 사회의 공연예술 문화 환경에서 다른 차원의 융복합을 시도하고 있는 세 명의 안무가의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저스틴 펙은 발레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인위적으로 만든 공연장의 범주에서 벗어나 대중과 일상 안에 공존을 유도하며 주제를 표현하였다. 둘째, 벨기에의 시디 라비 체카위는 안무가 자신의 내공이 담보가 된 무한한 움직임의 역량을 소유한 창작자이다. 따라서 다양한 타 문화와 신체의 융합을 통해 용이하게 창작 작업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자크 모리스는 무용 전공이 아닌 연출 전공자로서 움직임을 포함하는 복합 형태의 이머시브 시어터(Immersive Theater) 형식으로 새로운 공연 장르를 주도하고 있다. 각 안무가들의 작품은 유튜브에 나와 있는 영상을 중심으로 장면 및 내용과 형식을 서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이 젊은 안무가들에게 그들만의 트렌드를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공연예술콘텐츠의 가치와 융합적 구조 -공연예술실황영상을 중심으로- (The Value of Performing Arts Content and Convergence Structure -Focused on Performing Arts Live Video-)

  • 허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41-255
    • /
    • 2016
  • 본 연구는 공연예술의 제작 유통 과정을 콘텐츠진흥법상 기술 산업과의 융합형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 이후 영역 간 콘텐츠 생산과 공유방식은 공연예술의 제작 유통구조를 전환시키고 있다. 최근 나타나고 있는 공연예술실황영상은 공연예술의 시공간적 경계를 뛰어넘어 예술 창작과 소통의 영역을 확장하여 기존 체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현재성과 공간적 제한성을 전제로 출발되었던 공연예술은 실황영상화를 통하여 시공간의 경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플랫폼을 창출하고 있다. 공연예술은 기술 산업 영역과 융합하여 보편적 접근성을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으며, 문화적 형평성이라는 공공 공연장의 공공적 가치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급예술로 불리어지는 오페라, 클래식, 발레 등의 공연예술이 영상산업과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공연예술콘텐츠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