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0.149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Performance Work, Price, Physical Environment) on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Intention to Re-attend Ballet Performances : US Localization of K-ballet Content  

Kim, Kwangjin (중앙대학교 공연영상창작학부 무용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performance work, price, physical environment) on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intention to re-attend ballet performances. Another focus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effect of satisfaction and trust on customer's intention to re-attend. This study surveyed 240 adults (Americans) who have physically attended ballet performances from 2019 to 2020.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the software SmartPLS, this study investigates 240 valid responses obtained from a global research institute in a mid-August 2020 survey.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Performance work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ustomer satisfaction, while price and physical environment do no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2) Performance work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ustomer trust. However, price and physical environment haven't been observed to affect customer trust. (3) Customer satisfac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ustomer trust. (4) Performance work, price and physical environment do not affect customer's intention to re-attend ballet performances. (5) Customer satisfac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ustomer intention to re-attend performances. (6) Customer trus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ention to re-attend performances.
Keywords
Ballet Performance;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Trust; Intention to Re-atte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J. H. Kim, H. J. Choi, and S. H. Jung, "Value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among international tourists of a cultural festival experience," Journal of Psychology in Africa, Vol.27, No.4, pp.345-350, 2017.   DOI
2 문상원, 미국에서의 K-pop 한류 : 싸이(Psy)와 방탄소년단(BTS)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3 박선희, 무용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팔로워십 및 지도자의 신뢰에 따라 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 유선영, 무용공연장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관람 의사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5 최형화, 무용공연 서비스품질과 관람만족도 및 재관람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6 강미선, "무용공연 환경이 공연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41권, 제5호, pp.49-57, 2002.
7 S. Lee, B. L. Chua, and H. Han, "Role of service encounter and physical environment performances, novelty, satisfac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in generating cruise passenger loyalty," Asia Pacific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22, No.2, pp.131-146, 2017.   DOI
8 C. K. Pai, Y. Liu, S. Kang, and A. Dai, "The Role of Perceived Smart Tourism Technology Experience for Tourist Satisfaction, Happiness and Revisit Intention," Sustainability, Vol.12, No.16, pp.1-14, 2020.
9 J. H. Kim, S. H. Jung, J. S. Roh, and H. J. Choi, "Success Factors and Sustainability of the K-Pop Industr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Fuzzy Set Analysis. Sustainability," Vol.13, No.11, pp.1-22, 2021.
10 우창기, 공연소비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1 남은영, "한국 중산층의 소비문화: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4권, 제4호, pp.126-161, 2010.
12 D. Martinez Cevallos, M. Alguacil, and F. Calabuig Moreno, "Influence of Brand Image of a Sports Event on the Recommendation of Its Participants," Sustainability, Vol.12, No.12, pp.1-13, 2020.
13 Y. S. Han and J. H. Kim, "Performing arts and sustainable consumption: Influences of consumer perceived value on ballet performance audience loyalty," Journal of Psychology in Africa, Vol.31, No.1, pp.32-42, 2021.   DOI
14 J. H. Kim, S. H. Jung, J. C. Ahn, B. S. Kim, and H. J. Choi, "Social networking sites self-image antecedents of social networking site addiction," Journal of Psychology in Africa, Vol.30, No.3, pp.243-248, 2020.   DOI
15 D. Depperu, G. Magnani, I. Crosato, and C. Liberati, "Growth of firms in a fragmented cultural industry: Italian commercial art galleries' competitive strategies," Sustainability, Vol.13, No.9, p.5057, 2021.   DOI
16 H. Kim, "Reorienting cultural policy: Arts industries' approach in South Korea," Journal of Arts Management, Law, and Society, Vol.51, No.3, pp.155-170, 2021.   DOI
17 신혜선, 임학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문화예술정책과제의 쟁점과 방향성: 국제기구 정책 담론과 국가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제35권, 제2호, pp.89-120, 2021.   DOI
18 송정은, 무용공연 관람용 시설환경이 고객만족도와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9 한승엽, 김흥렬, 윤설민, 장윤정,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연구: 문화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2권, 제3호, pp.323-339, 2007.
20 김영식, "열린혁신 전략모형 연구-민간예술 분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제9권, 제3호, pp.159-169, 2018.
21 이인숙,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공연예술," 연기예술 연구, 제17권, pp.17-32, 2020.
22 박지혜, 오유진, 최정민, 민윤지, "한국 전통무용예술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제16권, 제3호, pp.117-127, 2016.
23 허인정, 대학생의 문화성향과 발레공연 관람분석,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4 이용건, 주형철, 김화례, "발레공연의 마케팅믹스 전략과 관람객과의 관계의 질 그리고 미래행동의도 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5권, 제2호, pp.379-392, 2016.
25 장원호, 송정은, "필리핀 K-Pop 팬덤이 K-Pop 의 현지화에 미치는 영향: PKCI 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pp.31-43, 2015.
26 V. A. Zeithaml,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 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Vol.52, pp.2-22, 1988.   DOI
27 류수현, 강신겸, "문화예술공연 관람자의 서비스 품질 인식과 만족도, 행동의도와의 관계: 광주 공연장상주단체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지역과 문화, 제5권, 제1호, pp.1-20, 2018.
28 홍미성, 조진희, "무용관객의 공연만족이 관여도와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제27권, pp.43-59, 2012.
29 한진희, 조광민, 석부길, "무용 공연장의 서비스 품질에 따른 관람객 만족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8권, 제5호, pp.347-356, 2009.
30 전재홍, 김건휘, "공연장의 물리적환경이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람동기를 조절변수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1-12, 2018.
31 김선영. "공연예술산업의 유통 활성화 방안 선호도 분석," 문화산업연구, 제18권, 제1호, pp.21-34, 2018.
32 구문모, 이창진, 김지연, 안채린, 조정윤, 장혜미, 전주희, 안지언, 장혜지, 해외 주요국가의 예술산업 이론.사례 분석과 한국 예술산업 생태계 모형 제안, 한국 문화경제학회 정책연구용역보고서, pp.1-215, 2017.
33 S. H. Kim, J. H. Heo, and J. H. Kim, "Effects of website quality on users' perceived responses and loyalty," Korean Management Review, Vol.43, No.6, pp.2117-2153, 2014.
34 박상수, 우양일, "체면민감성에 따른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들의 추구혜택과 만족도에 관한 실증연구: 중국 북경, 상해, 심천의 20~ 40 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중국과 중국학, 제15권, pp.31-63, 2012.
35 문영철, 발레공연 성공사례를 통한 창작발레의 대중화 발전 방향모색,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6 김희정, 해외공연 성공사례를 통한 창작발레 발전방안연구 : 문영철 발레 뽀에마 「하늘의 소리」 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37 H. Y. Meng, S. H. Jung, J. P. Yu, K. H. Bae, B. J. An, and J. H. Kim, "Perceived tourist values of the Museum of African Art," Journal of Psychology in Africa, Vol.28, No.5, pp.375-381, 2018.   DOI
38 이영선, 신은주,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에 관한 질적 연구," Asia Marketing Journal, 제12권, 제4호, pp.27-54, 2011.
39 구문모, "국제문화교류에서 전통공연예술의 시장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 모형 연구," 문화경제연구, 제20권, 제3호, pp.61-85, 2017.
40 구희영, "관객은 왜 감동하는가?: 발레공연 중심으로," 한국무용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3-28, 2015.
41 강선아, 이수범, "한류소비자가 지각한 국가이미지, 한류호감도, 심리적 거리가 태도 및 K-Food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8 개국을 대상으로,"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제26권, 제5호, pp.42-54, 2020.   DOI
42 이상일, 김윤희, 최형화, "무용공연 서비스품질과 관람만족도 및 재관람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6권, 제1호, pp.223-233, 2009.
43 박희영, 무용단 서비스품질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44 이용건, 주형철,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발레공연 활성화 전략,"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 제8권, 제3호, pp.75-88, 2020.   DOI
45 H. Han and S. S. Hyun, "Customer retention in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Impact of quality, satisfaction, trust, and price reasonableness," Tourism Management, Vol.46, pp.20-29, 2015.   DOI
46 Y. Jeaheng, A. Al-Ansi, and H. Han, "Impacts of Halal-friendly services, facilities, and food and Beverages on Muslim travelers'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perceived price, satisfaction, trust, and loyalty,"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 Management, Vol.29, No.7, pp.787-811, 2020.   DOI
47 H. Han, and S. S. Hyun, "Impact of hotel-restaurant image and quality of physical-environment, service, and food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63, pp.82-92, 2017.   DOI
48 S. Jumanazarov, A. Kamilov, and K. Kiatkawsin, "Impact of Samarkand's Destination Attributes on International Tourists' Revisit and Word-of-Mouth Intention," Sustainability, Vol.12, No.12, pp.1-17, 2020.
49 J. H. Kim, G. J. Kim, H. J. Choi, B. I. Seok, and N. H. Lee, "Effects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 subjective norms on SNS addiction," Journal of Psychology in Africa, Vol.29, No.6, pp.582-588, 2019.   DOI
50 H. E. Kwak, J. H. Kim, S. Y. Kim, J. E. Jung, and H. J. Choi, "Korean dance performance influences on prospective tourist cultural products consumption and behaviour intention," Journal of Psychology in Africa, Vol.29, No.3, pp.230-236, 2019.   DOI
51 은은희, 좋은 무용수업 : 무용지도강사와 무용전공학생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52 김기영, 유원용, "무용공연의 환경요인과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의 관계," 무용역사기록학, 제14권, pp.39-60, 2008.
53 박균성, 서비스품질이 고객의 신뢰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생명보험회사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54 H. W. Lee and J. H. Kim, "Brand loyalty and the Bangtan Sonyeondan (BTS) Korean dance: Global viewers' perceptions," Journal of Psychology in Africa, Vol.30, No.6, pp.551-558, 2020.   DOI
55 조은아, 교향악단의 서비스품질측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56 김선정, "무용공연장 서비스 품질과 공연장 만족 및 재관람 의사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150-158, 2011.   DOI
57 노은영, 박은정, "문화소비 유형에 따른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 인식과 소비의도 비교,"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0권, 제4호, pp.247-264, 2014.
58 김은혜, 김인숙, "경제자본과 문화예술소비에 관한 연구," 한국리듬운동학회지, 제11권, 제1호, pp.81-95, 2018.
59 주영애, 홍영윤, "소비자의 문화소비성향과 문화서비스속성이 문화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연, 전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244-257, 2016.   DOI
60 조예진, "문화공연 관람요인이 공연관람의도 및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제15권, 제4호, pp.1-12, 2015
61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93496.html,2021.08.05.
62 임영순, 맹해양, 배기형, "전통공연예술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확보를 위한 전략적 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88-99, 2016.   DOI
63 https://www.chosun.com/culture-life/culture_general/2021/07/15/O5FXR4XZ7VDT5HJCQTTTGKIQZQ/, 2021. 08. 08.
64 https://www.chosun.com/culture-life/culture_general/2021/07/20/I77P5HHNQJCPRDJ4SMS64UXDYY,2021.08.05.
65 강기두, 이지희, "문화예술 공연관람객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탐색적연구: 뮤지컬공연관람객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30권, 제4호, pp.1143-1167, 2001.
66 신진옥, 오혜미, 정철, "K-pop 공연장의 물리적 환경, 지각된 가치, 만족간의 구조적 관계," 관광연구논총, 제28권, 제4호, pp.81-108, 2016.
67 김현아, 류충완, 조선하, "무용공연의 관객이 인지하는 혼잡지각요인이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6호, pp.717-727, 2015.
68 손정아, 김지연, "문화외교로서 한국발레의 역할-우리나라 주요 발레단의 수교기념공연을 중심으로," 체육사학회지, 제19권, 제1호, pp.99-109, 2014.
69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69538,2021.08.05.
70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69538,2021.08.07.
71 허윤정, 송정은, 장원호, "필리핀의 한류수용 특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153-169, 2016.   DOI
72 이샛별, 문화예술 공연의 서비스 품질이 관객 만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체면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73 송주현, 무용공연 관람객의 마케팅믹스, 만족도, 신뢰 및 재구매의 관계, 수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74 이창민, "관객의 서비스 품질 인식 및 공연작품 선정 특성이 관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국 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제43권, pp.39-64, 2017.
75 정제윤, 박현숙, "공연예술서비스가 고객만족과 재구매 활성화 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유통과학연구, 제10권, 제10호, pp.45-57, 2012.
76 S. R. Yoo, S. W. Lee, and H. M. Jeon, "The Role of Customer Experience, Food Healthiness, and Value for Revisit Intention in GROCERANT," Sustainability, Vol.12, No.6, pp.1-14, 2020.
77 F. A. Konuk, "Price fairness, satisfaction, and trust as antecedents of purchase intentions towards organic food,"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Vol.17, No.2, pp.141-148, 2018.   DOI
78 서구원, 김경선, "뮤지컬공연 서비스의 마케팅 믹스요소와 관람동기가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Leisure Studies, 제7권, 제2호, pp.65-88, 2009.   DOI
79 이용건, 주형철, 김화례, "발레공연의 마케팅믹스 전략과 관람객과의 관계의 질 그리고 미래행동의도 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5권, 제2호, pp.379-392, 2016.
80 이화순, "공연예술의 작품 요인과 작품 외 요인의 타당성과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뮤지컬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No.20, pp.181-208, 2011.
81 서문식, 신미숙, 하승범, 이샛별, "문화예술공연 관람 시 평가되는 서비스 품질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한 다각적 연구," 소비문화연구, 제18권, 제1호, pp.31-58, 2015.   DOI
82 이은미, 이희찬, "공공장소에서 진행되는 공연예술의 경제적 가치평가 연구: 서울광장공연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21권, 제3호, pp.221-236, 2012.
83 Y. S. Han and J. H. Kim, "Performing arts and sustainable consumption: Influences of consumer perceived value on ballet performance audience loyalty," Journal of Psychology in Africa, Vol.31, No.1, pp.32-42, 2021.   DOI
84 J. B. E. Steenkamp, "Global versus local consumer culture: theory, measuremen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Vol.27, No.1, pp.1-19, 2019.   DOI
85 X. Zhang, M. Xie, and G. Huang, Connecting Chinese cities with the global performing arts market: The geographies of performing-arts consumption in China, Urban Geography, pp.1-22, 2021.
86 김채윤, 국립무용단의 컨버전스 공연을 통한 마케팅믹스가 관람만족과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87 김한나, 주수광, "발레공연 관객창출을 위한 마케팅 효과 검증 연구: 소셜 라이브 스트리밍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9권, 제5호, pp.303-315, 2019.
88 여순심, "공연예술관람객의 소비가치가 관람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pp.29-46, 2020.
89 이정학, 이용건, 이지혜, "무용공연장 마케팅믹스 요인이 공연 관람객만족과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8권, 제1호, pp.279-289, 2012.
90 송주현, 무용공연 관람객의 마케팅믹스, 만족도, 신뢰 및 재구매의 관계, 수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91 허인정, 대학생의 문화소비 성향과 발레공연 관람분석,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92 신혜조, "한.러 공연예술 산업 연구:발레 교류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제9권, 제2호, pp.215-228,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