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233/jksc.2012.62.6.098

A Study of Hanbok Object in Ballet Performance - Focus on the Performance 'La, Chun-hyang' -  

Lee, Ji-Yeon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hung-Ang University)
Soh, Hwang-Oak (Dept. of Fashion Design, Chung-A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62, no.6, 2012 , pp. 98-11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Hanbok is expressed in the ballet performances through the 'La, Chun-hyang', a classic Korean ballet. 'La, Chun-hyang', was performed from 2009 and 2010,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choreography by the director's intention. According to these changes, the methods of expression of ballet objects were changed as well. Therefore, totally different personalities were shown despite the fact that theses were same performances. Every costume objects in dance performances like the ballet can be used to express the story and the characters. Moreover, the object designs of Hanbok portray creativity and originality that simultaneously refers to history. In order for stage costume objects to popularize, the making method and process have to be developed like the objects of the Hanbok that signified historicity.
Keywords
ballet costume; Hanbok object; La, Chun-hyang; making object; stage costum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지영 (2006), 한복의 오브제로의 표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리처드 크라우스, 사라 차프만, History of the dance : in art and education, 홍정희 역(1989), 무용: 역사를 통해 본 그 예술성과 교육적 기능, 서울: 성정출판사, p. 89.
3 홍미옥 (1994), 한국발레의 사적고찰: 1930-현대 발레까지,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성은 (2002), 발레역사에 다른 의상 변천에 관한 고찰,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임영자 외 (2003), 특수의복구성, 서울: 교학연구사, p. 22.
6 육완순 (1984), 안무,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 184.
7 소황옥 (2004), 전통여자한복만들기, 서울: 경춘사.
8 백영자, 최해율 (2004), 한국 복식의 역사, 서울: 경춘사, p. 271.
9 김영숙 (2004),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pp. 122-123.
10 류희경 외 (2009), 우리 옷 이천년 (개정판), 서울: 미술문화, p. 100.
11 류희경 외 (2009), 우리 옷 이천년 (개정판), 서울: 미술문화, pp. 86-88.
12 류희경 외 (2009), 우리 옷 이천년 (개정판), 서울: 미술문화, p. 93.
13 철학대사전 (1972), 서울: 학원사, p. 909.
14 신유정(2009), 구라마타 시로의 실내공간에 나타난 오브제적 공간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15 아니엘라 야페, Symbolism in the visual arts, 이희숙 역 (1995), 미술과 상징, 서울: 열화당, p. 71.
16 이일 (1974), 현대미술의 궤적, 서울: 동아출판사, p. 52.
17 이지영 (2006), 한복의 오브제로의 표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1-134.
18 김영자 (2009), 한국복식미탐구, 서울: 경춘사, p. 62.
19 김영자 (2009), 한국복식미탐구, 서울: 경춘사, p. 64.
20 김민자 (2009), 한국적패션 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 99.
21 김영자 (1983), 조선조 한복미의 선에 관한 고찰, 동양학, 13, pp. 235-269.
22 임영자, 유순옥 (2000), 한국인의 미의식 변천과정과 복식미의 특질에 관한 연구, 복식, 50(8), pp. 57-66.
23 김보영 (2011), 재현된 패션 오브제의 조형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백영자, 최해율 (2004), 한국 복식의 역사, 서울: 경춘사, p. 295.
25 금방란 (1999), 미술의상에 표현된 오브제-광주비엔날레 국제미술의상전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