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달지지간호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9초

발달장애아동가족의 가족스트레스, 인지적 사회 지지와 가족 적응 (Family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in Family who has a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

  • 탁영란;이희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42-51
    • /
    • 1997
  • Although a family-centered approach to health care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has been advocated, existing systems of care have not adequately addressed the support needs of the family system and the essential role that parents play in the daily care of these children. The overall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family system adaptation to the care of a developmetally disabled child using the Resiliency Model of Family Stress, Adjustement, and Adaptation Framework. Relationships among family system demands (stressors, strains, transitions, child's illness factors) and family system strengths and capabilities(resource of social support)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ir separate and combined contribution to explanining the variability in family system outcomes (family system coping ). The subject for this study was 46 families who have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mental retardation and / or autism) from three special educational programs in Seoul, Korea. Results from correlation and hierachi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operated as a resiliency factor between family stress and coping. Child and family characteristics appeared to be important predictor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In summary, there is evidence that the resource of social support as a family strength and capability was found to improve the family coping. These findings also must be viewed within the context that sample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relatively small and eligible families from support group of special educational program.

  • PDF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 사회적 지지, 생리적 지수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Effect of Sleep Quality among Stress, Smartphone Addiction, Social support, and Physiological Index of Adolescents)

  • 박민정;조미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335-344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 사회적 지지, 생리적 지수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2018년 2월 6일부터 19일까지 전북지역 2개 고등학교 재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SPSS WIN Version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면의 질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낮게 나타났다.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학생의 경우 아침에 일어나는 시간과 학교성적스트레스였고, 이들 변수의 수면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29.6%이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스마트폰 시작 연령, 학교성적스트레스, 일상생활장애 및 평가적 지지였고, 이들 변수의 수면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24.3%이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해결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됨으로써 우리 사회의 미래인 청소년들의 건강한 발달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사회적 지지모임이 발달지연아 어머니의 부담과 안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Social Support Group on Burden and Well-being of Mothers of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 오가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89-400
    • /
    • 1997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oup social support on the reduction of burden and increase in well-being of mothers of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The research used a one group pre-pose experimental design.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e experiment was group social support. Two series of 4-weekly meetings for group social support were conducted by the researcher with the intention of developing a self-help group.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burden and well-being. Well-being was operationalized as physic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Thirty mothers of developmentally delayed infants from the rehabilitation center of a medical center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s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29.9 years. Changes of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pre and post tests were compared using the t-test. Even though there was a slight improvement in the scores for the dependent variables,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tems, "I resent my baby". "I feel angry about my interactions with my baby", "I feel guilty in my relationship with my bab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urden score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ymptoms of loneliness, constipation, anxiety, restlessness were less and feeling of happiness was greater after participation in the group social support, than on the pretest. The mothers showed emotional instability and frustrations during the group sessions but their reactions in general were positive. Emoti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ded were identified as the most valuable content of the sessions. However, participation was not active due to the mother's denial, delayed acceptance and /or avoidance of their infants' problems. It can be seen that group social support for the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should be provided after infancy when the mothers have time to accept their children's conditions and are ready to receive support. The use of comprehensive instruments which measure burden in both families and mothers needs to be developed for future research.

  • PDF

행동장애 입원환아의 간호문제 (NURSING PROBLEMS OF THE IN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

  • 임숙빈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116-124
    • /
    • 1991
  • 1985년 9월 30일부터 1990년 12월 31일 사이에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에 입원하여 행동장애로 진단받은 어린이 및 청소년 총 48명을 대상으로 병록고찰을 통해 간호문제를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미성숙한 자아발달, 낮은 자아정체감, 역기능적 부모-자녀관계, 가족내 상황적 위기, 정신지체, 간질 등 원인적 요인에 따르는 개인의 비효율적 대처기전, 사회적 상호작용장애, 자기개념장애, 폭행잠재성, 부모역할장애, 성장 ${\cdot}$ 발달장애 같은 문제가 입원초기부터 중기이후까지 지속되었고 자기간호결핍, 수면장애, 영양장애, 불안, 고체온증 등 입원중기 이후에는 해결된 일시적 문제들을 보였다. 따라서 행동장애 입원환아들을 위한 간호접근은 보다 근본적이고 지속적인 문제에 따른 장기적 계획을 통해 환아들의 자아기능 증진, 자아정체감 확립, 대인관계개선을 도와야 하고 환아 뿐 아니라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적 접근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보았다.

  • PDF

미숙아 발달지지를 위한 간호역량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Developmental Support Competency Scale for Nurses Caring for Preterm Infants)

  • 김정순;신희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93-803
    • /
    • 2016
  • Purpose: Developmental care has been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component for the development and health promotion of preterm infants. However, research on how to assess developmental nursing competency has not been studied as expected.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d evaluate a new scale to measure nursing competency for developmental support of preterm infants. Methods: Concept analysis was done with using the Hybrid model of Schwartz-Barcott and Kim (2000), from which a preliminary new scale (30 items) was develope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new scale being developed, data were collected from 122 NICU nurses at 4 hospitals in 3 ci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from December, 2014 to March, 2015. Results: The final version of the Developmental Support Competency Scale for Nurses (DSCS-N) caring for premature infants was a 4-point Likert type scale, consisting of 19 items, and categorized as 6 factors, explaining 62.5% of the total variance. Each of the factors were named as follows; 'environmental support' (4 items), 'parental support' (3 items), 'interaction' (3 items), 'critical thinking' (3 items), 'professional development' (3 items), and 'partnership' (3 items).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the scale was .83 and the reliability of the subscales ranged from .60~.76. Conclusion: The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new scale demonstrated an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Findings indicate that the DSCS-N can be used as the tool to test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nurses and contribute to advance developmental care for preterm infants.

주기적인 체중지지가 발달중인 뒷다리부유쥐의 Type I 근육에 미치는 효과 -하지근 위축환아의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동물실험 - (Effect of periodic weight support on Type I muscle of developing suspended rats. - Animal experiment for nursing inter- vention of muscle atrophy in children -)

  • 최명애;지제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7-223
    • /
    • 1993
  • Inpatients are mostly occupied in bed with restricted activity, nearly all patient populations are at risk for the occurrence of skeletal muscle atrophy due to decreased level of activity. Restriction of mobility is far greater in pediatric patients compared with adult patients since almost all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s performed by parents or caregivers. It could be assumed that pediatric patients are more vulnerable to skeletal muscle atrophy than adult patients, however, there have been no attempts to reduce the atrophy of developing musc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effect of exercise in developing muscle during decreased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eriodic weight support during hindlimb suspension on the mass and cross-sectional area of Type I and II fibers in developing soleus(Type I ) muscle.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eriodic weight support activity in maintaining mass and fiber size. the hindlimb of young female Wistar rats was suspended(HS) and half of these rats walked on a treadmill for 45min / day(15min every 4h) at 5m / min at a 15 grade(HS-WS). After 7days of hindlimb suspension, soleus wet weight was 28. 57% smaller and relative soleus weight was 28. 21% smaller in comparison with con-trol rats (p〈0.05) Soleus wet weight and relative soleus weight increased by 67.72% and 71.43% each with periodic weight support activity during hindlimb suspension (p〈0.01, p〈0.005), moreover soleus wet weight and relative soleus weight of the HS -WS rats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No change was observed in fiber type percentage of the developing soleus muscle after 1 week of hindlimb suspension plus weight support activity. Type I and II fiber cross-sectional areas of the developing soleus muscle were 50.45% and 43.39% lower in the HS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001), type I and II fiber cross-sectional areas of the developing soleus were 24.49% and 29.93% greater in the HS - WS group than in the HS rats (p〈0.0001), whereas Type I and II fiber cross-sectional areas of HS - WS group were les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uggest that periodic weight support activity can ameliorate developing soleus muscle atrophy induced by hindlimb suspension, even in type II fibers that would not have been expected to be recruited by this type of neuromuscular demand. Clinical experimental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eriodic weight bearing exercise on developing atrophied leg muscle based on these results.

  • PDF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회복탄력성 예측 모형 (A Predictive Model of Resilience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조유영;김현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07-420
    • /
    • 2022
  • Purpose: This structural model study was constructed and verified a hypothetical model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social resources, family resources, and positive coping on resilience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October 19 to October 30, 2018, with 214 mothers car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der the age of 20 years. Results: In the fitness test results of the hypothesis model, with the fit index 𝛘2 (p) = 69.27 (< .001), and the normed fit indices (𝛘2 = 1.87, GFI = .94, CFI = .97, NFI = .93, and TLI = .95, RMSEA = .06, SRMR = .06), this study satisfies the good fitness in standards. There are seven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s among the 10 paths set in the hypothetical model. The explanatory power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which affects the family resources was 41.4%, the explanatory power of parenting stress, social resources, and family resources affecting the positive coping was 58.9%,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parenting stress, social resources, family resources, and positive coping affecting resilience was 55.5%. Conclusion: Positive coping, family resources, and social resourc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rectly affect their resilience, and parenting stress indirectly affects it. Therefore,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nursing intervention that considers parenting stress, social resources, family resources, and positive coping.

치료적 환경에 대한 문헌적 고찰 및 정신과병동 환경변화에 대한 몇가지 제언 (Literature Review of Therapeutic Milieu of Psychiatric Patient and Suggestion for Changing Environment of Psychiatric Wards in Korea)

  • Lee, So-Woo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0-90
    • /
    • 1976
  • 정신과 영역의 환자를 위해 간호원의 역활을 필요로 한 이래 여러 가지 간호의 개념으로 간호원의 역할이 변화되어오고 있다. 정신과 환자의 안전만이 가장 큰 치료의 중심일 때는 병동열쇠의 위엄에 곁따라 보호관리에만 치중해 왔으며 정신의학에서 약물요법, 전기요법의 치료과정이 생기면서 간호원의 역할 변화 및 지식의 요구를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환경과 개인의 밀접한 관계를 중시해오면서 치료적 환경속으로 환자의 인간적 치료가 강조되었을 때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의 인적 환경으로써 또한 간호원의 역활이 중요시 되어왔다. 이런 관점에서 치료적 환경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간호행위과정의 불완전을 제거하며 보다 활발한 정신과 환자간호에 기여하는 일 일 것이다. DR. Bartom은 병실 환경이 비생산적이고 비 치료적일때 성격의 변화는 물론 행동적 특성의 변화까지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즉 무감동적이고, 무조건적 순종이 있으며 솔선하여 행하는 행위가 줄고 장래 계획에 대한 자극이 줄어들고 될대로 되어 가는 상태 그 자체에 머물러 있어 인간의 특징적 의미와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는 것이다. 정신과 병실은 잠정적 체류지로 보아야 하겠고 이 체류지에서의 영향이 환자에게 보다 유익하게 끼칠려면 간호원이 지속적으로 치료적 분위기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치료적 입장으로서의 간호의 활동 초점은 대인관계에서 환자의 의식수준과 자아관련 수준에서의 취급이 무의식 수준에서의 탐구조사보다 바람직하다. 치료적 가치로써 치료적 환경의 이론적 근거를 DR. Sullivan 은 인간의 상호관련 문제에 두고 있다. 즉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환경은 어떠한 곳이든 성격에 영향이 있고 이 성격은 대인관계의 복잡성으로부터 결코 떨어질 수 없다는 얘기다. 자아구성 또한 환경의 영향을 받는데 Cumming은 병동환경과 자아구성 재동기간에 밀접성을 시사한바 있다. Visher와 O'sullivan은 정신과적 치료중에서 일상생활에서 경험되어지는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속에서 학습되어지는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매일의 활동획이 치료적 방향으로 계획되어 져야 한다고 말했다. Maxwell Jones 또한 치료적 환경의 유용한 가동은 전 직원의 기여에 있으며 이는 정신건강을 최적으로 올려 줄 것이다. 라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원은 의미 없이 환자의 감정 욕구를 깨닫지 못하고 감정지지를 주지 못하며 정서적 긴장을 예방하지 못한 체 환자와의 관계를 유지한다면 현대간호의 개념에서 이탈되어지고 발달되어지지 못한 미숙아 현상이 유지 될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치료적 환경 유지는 간호로써 환자에게 기여해 주는 일이다. 간호의 역활과 더불어 전문적 태도는 따뜻하고 포용성 있게 그리고 융통성 있게 대함은 물론 간호인 자신의 "자기이용"을 깊이 그리고 치료적으로 이용할 것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즉 정신과 병실에서의 간호원 존재 자제가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덧붙여 환자를 위한 일주일 병동 행사표를 Model로 제시하였고 그 안에서의 간호원의 역활을 약술하였다.

  • PDF

독거노인의 휴대폰 활용 정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 Phone Utiliz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Korean Elderly Living Alone)

  • 사공혜;윤주영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467-480
    • /
    • 2018
  • 고령화의 가속화에 따라 독거노인들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독거노인들은 동거노인들에 비하여 사회적 지지가 낮고 사회적으로 더 고립되어 우울 유병율이 더욱 높다. 본 연구는 기술의 발달과 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노인들의 휴대폰 보유율이 높아지면서 휴대폰이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연결의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독거노인들의 휴대폰 활용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총 2,493명의 65세 이상 독거노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휴대폰 활용 정도는 (1) 휴대폰 없음, (2) 통화기능만 이용, (3) 통화/문자기능 이용, (4) 통화/문자와 정보검색까지 이용으로 나누어 구분하였고 공변량은 성별, 나이, 교육수준, 건강상태, 경제수준, 사회활동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81.5%의 독거노인이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을 가진 독거노인들 중 정보검색까지 하는 군은 3.5%를 차지하였으며, 정보검색까지 하는 군이 휴대폰이 없는 군에 비하여 우울의 가능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OR=0.064, 95% CI=0.018-0.227). 이상 결과를 통해 독거노인들이 통화와 문자기능뿐만이 아니라 정보검색까지 이용함으로써 사회적 연결정도가 높아져 우울의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추측 해 볼 수 있다.

결혼이민자 산모에 대한 산후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a Postpartum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mmigrant Mothers)

  • 방경숙;허보윤;권미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11-19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산모를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편의표출 및 눈덩이표출을 통해 서울과 수원 지역의 중국, 베트남, 필리핀 결혼이민자 임부를 파악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산 후 퇴원하면 일주일 이내 가정방문하여 사전조사를 실시 후 실험군에 대한 중재를 제공하였으며, 산후 6주와 3개월에 다시 두 군 모두 가정방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실험군에는 중재를 제공하였다.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영아돌보기 자신감에 대한 그룹과 시간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여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퇴원 후 5일 이내의 사전조사에 비해 산후 6주와 3개월 영아돌보기 자신감이 유의하게 더 증가하였다. 또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산후 3개월 영아 발달에 필요한 양육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조성하였으며 생후 6주와 3개월의 영아기질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산후우울과 남편의 지지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결혼이민자 산모에 대한 가정방문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영아돌보기와 양육환경 조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결혼이민자 산모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것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