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응적-관계적 공격성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9초

차문화치료 융합프로그램을 통한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완화 : 노인주간보호센터 이용 여성노인들을 대상으로 (Mitigate the Relational Aggressive Attitude of the Elderly through the Convergence Program of Tea Culture Treatment Program : For the elderly women who use the Senior Citizen's Day Care Center)

  • 김인숙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73-79
    • /
    • 2020
  • 본 연구는 관계적 공격성 완화를 위한 차문화치료 융합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P시 소재 노인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70세 이상의 여성노인들 1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완화를 위한 차문화치료 융합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로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과 주도적 관계적 공격성 점수는 사전검사 평균보다 사후검사 평균에서 0.21 낮아져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들의 주도적 관계적 공격성은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감소 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주간보호센터 이용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완화를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유아의 외현적.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공격적 행동 간의 관계 (Relations between Mothers' Responses about Their Preschoolers'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by Preschoolers' Aggressive Behaviors)

  • 김지현;정지나;권연희;민성혜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5-159
    • /
    • 2009
  • In this study, mothers of 205 4- to 5-year-old preschoolers responded to aggression episodes of Werner et al. (2006); preschoolers' teachers responded to the Preschool Social Behavior Scale (Crick et al., 1997). Results showed, (1) boys exhibited more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2) In overt aggression episodes, mothers used encouragement to boys and rule violation responses to girls; in relational aggression episodes, mothers used encouragement and power assertion responses to girls. (3) Mothers' power assertion about overt aggression related negatively with preschoolers' overt aggressive behaviors; mothers' discussion about relational aggression related positively with preschoolers' overt aggressive behavior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mothers' responses by aggression types were discussed in order in better understand preschooler's aggressive behaviors.

  • PDF

반응적 공격성과 주도적 공격성, Reactive-Proactive Questionnaire(RPQ) 타당화 연구: ESEM과 Rasch를 중심으로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the Validation of the Reactive-Proactive Questionnaire (RPQ): Focusing on ESEM and Rasch)

  • 박선영;서종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30권2호
    • /
    • pp.159-192
    • /
    • 2024
  • 본 연구는 반응적-주도적 공격성 측정 도구인 RPQ (The reactive-proactive aggression questionnaire)를 국내에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저자와의 상호협력을 통해 정확한 번안 과정을 거쳐 국내 일반인 51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탐색적 구조방정식 모형, 평정척도모형, 차별기능문항, 수렴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RPQ의 요인구조는 이중적재가 나타난 한 문항을 삭제한 후 반응적 공격성과 주도적 공격성의 2요인으로 상정하였다. 둘째, Rasch 모형에 기반한 평정척도 분석 결과, 본 척도의 3점 리커트 척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고, 문항적합도 검증을 통해 모든 문항이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지수 및 분리 신뢰도는 주도적 공격성 요인이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피험자와 문항이 적절하게 변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험자x문항 분포 탐색 결과 반응적 공격성은 피험자의 능력수준과 문항난이도가 적절하게 대응하였으나, 주도적 공격성은 문항 난이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다르게 기능할 수 있는 문항은 총 3문항으로 나타났으며, 수렴타당도 검증 결과 충동성 측정 도구인 한국판 BIS-11-R과는 낮은-중간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서구권과는 다른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타당화를 통해 공격성 척도인 RPQ가 국내에도 적합함을 입증하였으며 국내 일반인을 대상으로 반응적 공격성과 주도적 공격성 개념을 도입한 것에 의의를 지닌다.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반응적 공격성 간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과 적대적 귀인편향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eactive Agg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 이건희;이민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4호
    • /
    • pp.477-496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이 반응적 공격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 거부민감성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적대적 귀인편향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만 18세 이상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25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0을 사용하여 변수의 기초통계량을 확인하였고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1.0을 사용하여 모델의 적합도를 확인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식으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이 자기개념 명확성을 통해 반응적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부민감성이 적대적 귀인편향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반응적 공격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부민감성이 자기개념 명확성과 적대적 귀인편향을 통해 순차적으로 반응적 공격성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반응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범죄와 같은 사회문제와 관련이 있는 반응적 공격성에 대한 개입에서의 심리학적 접근의 필요성과 치유 및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산새반 유아들의 관계적 공격전략 분석 (Relational Aggression Strategies of Young Children in 'Sansae Class')

  • 정은정;이희영;이경화
    • 아동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3-19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rpret relational aggression strategies in 4 year old young children's interactions in 'Sansae class' in terms of two-fold dimensions of proactivity and reactivity. Following an ethnographical approach, participative observation on young childre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 were employed, over the course of 30 sessions of 3 hours dur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proactive relational aggression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girls, and their major strategies employed against someone they disliked were ignoring them, distorting play-rules, and so on. Major strategies of 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in girls were largely manipulative in nature, for example, 'threatening their friend' and 'withdrawal of friendship'.

아동의 성과 공격성 유형에 따른 사회정보처리과정 : 해석단계와 반응결정단계를 중심으로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Sex and Types of Aggression of Children)

  • 김지현;박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05-11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ces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children's sex and types of aggression in response to instrumental and relational provocation factors. Two hundred and fifty-one 4, 5, and 6 graders were select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 evaluate their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 Intent Attributions and Feelings of Distress(Crick, 1995; Fitzgerald & Asher, 1987) and Response Decision Instrument(Crick & Werner, 1998) were revised and analyzed. A peer-nomination measure(Crick, 1995; Crick & Grotpeter, 1995) was used to select aggressive groups.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variate [2(sex: M, F)${\times}$3(type of aggression: overt, relational,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analysis of variance. Findings revealed that children'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pattern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x and type of aggression. Also aggressive children responded differently in their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instrumental and relational provocation factor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role of gender, aggression type, and provocation type are discuss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ren'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문제 개선을 위한 상담전략과 실제 :용서상담교육의 적용 (A Counseling Strategy and Practice for solving Interperson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rgiveness Counseling Education Application)

  • 김광수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1호
    • /
    • pp.111-132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직면하는 문제이자 해결해야할 부담스러운 과제가 되고 있는 초등학생의 대인관계문제 개선을 위한 상담교육 방안을 탐색,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등학생 대인관계 문제의 개선과 해결을 위한 기존 접근 방식의 특성과 제한점을 지적하고 일회적, 표면적, 문제대처 지향적인 기존 접근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더 근원적이고 체계적인 관점에서 초등학생의 인간관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상담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초등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인간관계 특히 또래관계에서의 갈등, 상처, 피해로 인해 나타나는 부정적 반응을 극복하고 건강한 반응으로 나아가게 촉진하는 용서상담교육에 대해서 논의하고 용서상담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용서상담교육이 대인관계 공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인성교육방안으로 실천, 적용되기 위해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를 논의하였다.

  • PDF

학령전기 아동의 심적 표상 : 부모에 대한 심적 표상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MENTAL REPRESENTATION OF PRESCHOOL CHILDREN:ASSOCIATION WITH PARENTAL MENTAL REPRESENTATION)

  • 이경숙;이혜란;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21-33
    • /
    • 1999
  • 자기보고 능력이 부족하다고 알려진 학령전기 아동의 임상 평가는 외부관찰자의 보고에 의존하는 점이 많고 아동 자신의 내적인 경험, 생각, 감정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의 내적 마음의 표상을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MacArthur Story-Stem Battery(MSSB)를 사용하여 정상 아동의 내적 마음의 표상의 발달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임상 평가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만 3세부터 7세까지의 정상 아동 55명(남아 32명, 여아 23명)에서 MSSB, 언어평가(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지능평가를 시행하고 비디오로 녹화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서적인 갈등 상황을 설정한 놀이에서 아동들은 비전형적 부정적 반응, 보상/죄의식, 처벌, 개인적 상해 등의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이 흔히 표현되었다. 2)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은 긍정적 표상, 훈육적 표상, 부정적 표상의 순으로 표현되었다. 3) MSSB 내용 주제요인 분석 결과, 비전형적 부정적 반응, 공격성, 개인적 상해, 배제로 묶이는 공격적 주제, 애정, 제휴, 죄의식/보상으로 묶이는 친사회적 주제, 처벌과 불복종으로 묶이는 반항적 주제 세 가지로 나타났다. 4)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과 MSSB 내용 주제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에 대한 긍정적 표상은 친사회적 주제와(r=0.40), 부정적 표상은 공격적 주제와(r=0.52) 그리고 훈육적 표상은 반항적 주제와(r=0.75)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과 MSSB 정서 반응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에 대한 긍정적 정신적 표상과 불안 사이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r=-0.43)를 보였다. 6) MSSB 내용 주제와 정서 반응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공격적 주제(r=0.28)와 반항적 주제(r=0.29)는 고통의 감정 반응과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사회적 주제는 근심(r=-0.29), 불안(r=-0.43)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정서적인 갈등을 야기하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흔히 보였으며 부모들은 자신들을 도와주는 긍정적인 표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격적 주제를 많이 보이는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서 반응과 부모에 대해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많이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PDF

반복적인 공격적 행동과 혈소판 $^3H$ Imipramine 결합의 상관관계 연구 (REPEATED AGGRESSIVE BEHAVIOR AND PLATELET $^3H$ IMIPRAMINE BINDING)

  • 최진숙;우종인;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93-101
    • /
    • 1994
  • 반복적으로 공격적인 행동 양상을 보이는 사람들의 세로토닌 반응(serotonergic responsivity)이 정상인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을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나이를 대조하여 공격성군(소년원 재소자 16명)과 대조군(의과대학생 17명)으로 구분한 연구대상에게, 여러 심리검사 척도를 이용하여 공격성의 심한 정도를 정의하고, 두뇌의 세로토닌 기능과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진 혈소판의 이미프라민 결합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격성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공격척도상 신체적 공격성(physical aggression)의 평균이 모두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외에도 공격성군은 대조군에 비해 충동성(impulsivity), 적대감(hostility), 정신증(psychoticism)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2) 공격성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혈소판 이미프라민 최대결합부위 밀도(Bmax)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3) 공격성군과 대조군의 혈소판 이미프라민 결합의 결합상수(Kd)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연구대상군을 전체로 하였을 때, 공격성척도(PFAV)와 갈등해결 척도(CTS)의 신체적 공격성의 심한 정도는 혈소판 이미프라민 최대결합부위 밀도(Bmax)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의 역비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시험불안과 정신병리, 기질 그리고 가정환경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시험불안-우울-불안-자기개념-가정환경간의 인과적 관계분석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ST ANXIETY, PSYCHOPATHOLOGY, TEMPERAMENT & FAMILY ENVIRONMENT)

  • 조수철;유태익;신민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50-63
    • /
    • 1999
  • 서 론:시험불안은 한국의 청소년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불안이라고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의 시험불안은 학습을 촉진시키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학습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시험불안의 요인이나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들이 있어왔으나 단편적이며, 시험불안의 정확한 특성이나 원인에 대하여 아직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험불안과 상태-특성불안, 우울증, 기질 그리고 가정환경과의 상호관련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방 법:서울시내 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불안, 우울증, 상태-특성불안, 기질 그리고 가정환경에 대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결 과:시험불안과 우울(상관계수 0.42, p<0.01), 특성불안(상관계수 0.34, p<0.05), 상태불안(상관계수 0.38, p<0.05), 자기개념(상관계수 -0.05, p<0.01), 기질(상관계수 0.36, p<0.05), 그리고 가정환경(상관계수 -0.23, p<0.05)과의 상관성은 모두 의미 있는 정적 또는 부적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회귀분석 결과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시험불안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판정되었으나 우울, 기질 그리고 가정환경은 시험불안에 대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 론: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시험불안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나 우울, 기질 그리고 가정환경은 상태 또는 특성불안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험불안에 대한 치료적인 대책을 수립할 때에는 이러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한다. 기질양상의 조기 발견은 부모들에게 의사 소통 장애 아동들의 발달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에게 적절한 양육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주제와 정서 반응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공격적 주제(r=0.28)와 반항적 주제(r=0.29)는 고통의 감정 반응과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사회적 주제는 근심(r=-0.29), 불안(r=-0.43)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정서적인 갈등을 야기하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흔히 보였으며 부모들은 자신들을 도와주는 긍정적인 표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격적 주제를 많이 보이는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서 반응과 부모에 대해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많이 나타냄을 알 수 있다.학적인 면으로는 UHT 처리유의 품질이 저장 9일까지 큰 변화가 없으나, 관능적인 면으로는 이취의 발생으로 인한 품질 저하가 유발된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LTLT와 HTST 처리유의 경우는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미생물적인 면과 괸능적면 모두를 감안한다면 현재의 유통기간 5일이 LTLT나 HTST 처리유에게는 적합한 것으로, UHT 처리유에게는 5일 이상도 가능하리라 사료된다.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과잉행동성과 음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잉행동성과 충동성, 강박성, 야뇨증, 자기파괴적 행동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의 강박증상의 정도와 과잉행동성, 수면장애, 자기파괴적 행동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저자들은 외래에 내원한 뚜렛장애 환자의 임상적 특성이나 동반된 행동상 문제들이 이전 연구와 크게 상이하지 않음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