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복크리프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6초

피로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의 처짐산정을 위한 반복크리프 모델 (Cyclic Creep Model for the Deflection Calculation of Reinforced Concrete Flexural Members under Fatigue Loads)

  • 오병환;김동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415-42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반복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보의 피로현상에 피로의 지속으로 인한 크리프 특성을 고려함으로서 실제의 반복사용하중상태에서 크리프와 피로가 공존하는 것을 반영하여 모델을 구성하였다. 반복크리프 모델에서,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손상 진행에 따른 압축영역의 손상속도를 정확히 대표할 수 있는 반복크리프 지수(n)의 특성을 도입하여 평가하였다. 이 지수는 크리프특성의 지수 n$_1$과 피로특성의 지수 n$_2$로 구분하였다. 모델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철근콘크리트보의 피로실험을 수행하였으며, n$_2$의 경우 보통강도에서 고강도까지 콘크리트의 강도와 하중크기를 주요변수로 실험하였다. 본 실험결과로부터 반복하중에 의한 크리프모델의 지수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반복크리프모델은 철근콘크리트 보의 피로손상의 누적과 처짐거동을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 이들 부재의 피로거동해석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약액주입 사질고결토의 크리프 예측 (Creep Prediction of Chemical Grouted Sands)

  • 강희복;김종렬;강권수;김태훈;황성원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95-20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약액주입 사질고결토에 대해 일정재하크리프시험과 반복재하크리프시험을 실시하여 점 탄소성 거동 규명과 크리프예측을 수행하였다. 일정재하크리프 시험결과 총 변형률은 탄성, 소성 그리고 점탄성변형률로 구분되었으며 이러한 변형률은 응력의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회복된 변형률은 제하시간에 무관함을 알았다. 일정재하크리프시험 예측결과 일반화된 모델과 지수함수모델은 시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반복재하크리프시험에서 순간회복변형률은 반복횟수에 무관하였고 누적소성 변형률은 반복횟수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응력레벨에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반복재하크리프시험의 예측결과 첫 사이클에서는 잘 일치하였으나 반복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었다.

θ 투영법을 이용한 터빈 블레이드의 크리프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Creep characteristics for Turbine blade using Theta projection method)

  • 이무형;한원재;장병욱;이복원;박정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21-331
    • /
    • 2011
  • 본 연구는 theta 투영법을 이용하여 터보제트 터빈 블레이드 크리프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ta 투영법은 우수한 정확성을 지니고 있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크리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고온 크리프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 조건은 터보제트 엔진 운용조건과 소재의 비선형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four theta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크리프 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크리프 시험결과를 활용하여 크리프 곡선은 four theta model을 이용하여 생성하였다. 반복적인 계산을 통하여 비선형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시험 결과에 대해 최적의 theta 값을 도출하였다. Theta 투영법을 이용하여 크리프 곡선을 생성한 결과 $R^2$값이 0.95이상의 우수한 정확성을 지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our theta 모델의 검정을 위해 수행한 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예측된 theta 값이 90.0%의 정확도를 가지어, theta 투영법은 크리프 거동을 예측하여 설계목적에 이용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크리프와 반복 피로하중에 의한 폴리에틸렌의 실시간 구조 변화 (In-situ Determination of Structural Changes in Polyethylene upon Creep and Cyclic Fatigue Loading)

  • 전혜진;유석근;표수호;최선웅;송현훈
    • 폴리머
    • /
    • 제36권1호
    • /
    • pp.88-92
    • /
    • 2012
  • 일정 하중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고분자의 장기간 사용을 위해서는 재료의 수명을 평가할 수 있는 가속화된 시험 방법이 필요하다. 반복 피로하중 시험법은 이러한 방법들 중 하나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반복 피로하중에 의한 구조적 변화와 크리프 변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인장시험기를 제조, X-선 회절기에 부착하여 장시간 변형 과정을 성공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크리프와 반복 피로하중 사이의 거시적이고 뚜렷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결정화도, 결정크기 및 면간거리와 같은 결정의 미세구조는 두 방법에서 거의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항복점 전(BYP), 항복점(YP) 그리고 항복점 후(AYP)로 각각 변형시킨 후 시험한 시료의 경우 AYP와 다른 두 시료간 뚜렷한 구조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크리프 회복 거동을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장기거동해석에 관한 연구 (Time-dependent Analysis of Reinforced and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Incorporating Creep Recovery Function)

  • 김세훈;오병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9-288
    • /
    • 1999
  •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리프해석은 주로 크리프식의 중첩원리에 기초한 방법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크리프식의 중첩을 응력이 증가하거나 일정할 경우에는 비교적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지만, 응력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오차를 나타낸다. 이것은 지속하중과 응력감소 과정에서 크리프와 관련된 콘크리트의 성질이 변화되므로 크리프 회복을 크리프 식의 중첩으로 정확하게 모사할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는 응력 이력을 지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좀더 정확하고 합리적인 장기거동 해석을 위하여 응력의 감소를 단순히 크리프식의 중첩에 의해 해석한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크리프식과 크리프 회복식으로 표현하여, 소위 2함수 방법(two-function method)를 콘크리트구조물의 해석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2함수방법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거동 해석을 적용하기 위해, 시간단계 동안 다양한 응력 변화에 대하여 크리프 변형도 증분량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해석방법에 의해서 해석된 결과를 기존의 크리프식의 중첩에 의한 결과 및 기존의 실험결과들과 비교 분석한 결과, 기존의 중첩법은 실험결과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본 연구의 해석방법은 실험결과와 잘 맞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크리프회복식을 이용하는 본 연구의 해석방법은 기존의 크리프식의 중첩방법이나 기존의 설계기준에 비해 변화하는 응력이력 하에서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리프거동을 더 정확하게 서술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앞으로 설계기준 작성과 실제 구조물 해석에 효율적인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강판 및 탄소섬유 sheet로 보강된 R/C보의 반복크리프 개념을 적용한 피로거동예측 (The Prediction of Fatigue Behavior using Cyclic Creep Concept of R/C Beam Strengthened with Steel Plate and Carbon Fiber Sheet)

  • 심종성;문도영;박경동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55-560
    • /
    • 2003
  • Fatigue strength of concrete is ususlly presented by the Wohler Curve. But, new dimension T(time) from the view point of cyclic creep concept should be considerd. This paper presented four variable F-N-T-R relationship, this four variable relationship simultaneously accounts for the time effect and the effect of load rate. And analytical models are presented to predict fatigue strength of R/C beam strengthened with steel plate and carbon fiber sheet.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stress and the fatigue life was investigated.

  • PDF

SIM을 적용한 성토보강용 지오그리드의 수명예측 (Application of Stepped Isothermal Methods to Lifetime Prediction of Geogrids)

  • 구현진;김유겸;김동환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3-6
    • /
    • 2005
  • 사면 또는 옹벽 등 토목구조물에 보강용으로 적용되는 지오그리드의 고장은 토목구조물의 형태변형을 유발할 수 있는 과도한 크리프 변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오그리드의 크리프 변형을 단시간에 시험할 수 있는 SIM(Stepped Isothermal Methods)과 통계적 수명평가기법을 적용하여, Polyester 편포형 지오그리드의 수명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예측한 75, 100, 114년에서의 크리프 변형율은 각각, 8.74, 8.79, 8.80%이고, CV%는 2.16~2.20%로 매우 반복성 있는 결과를 보여준다. 수명 예측 결과는 $27^{\circ}C$에서 100년 사용 후 지오그리드의 크리프 변형율이 9.3%로 추정되었고, 현장에서 요구되는 수명(100년 사용 후 크리프 변형율 10% 미만)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SIM을 적용할 경우 기존의 시간-온도 중첩원리(Conventional Time-Temperature Superposition)를 적용한 수명평가 방법에 비하여 시료간의 편차를 최소화 시킬 수 있고 또한 99.5%의 시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화강풍화토 지반에 타설된 소형 현장 타설 말뚝의 인발시험 및 하중 전이 특성 (Uplift Testing and Load-transfer Characteristics of Model Drilled Shafts in Compacted Weathered Granite Soils)

  • 임유진;서석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105-117
    • /
    • 2002
  • 철탑기초, 해양 플랫폼 등은 파랑과 풍하중을 반복적으로 받게 되어 주기적인 인발하중이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구조물 기초로 사용되는 현장 타설말뚝의 단방향 인발 주기 하중 패턴에 대한 거동특성을 분석하기위해 실내 모형타설말뚝에 대한 인발시험을 실시하였다. 특히 인장하중이 말뚝의 선단과 두부에 직접 가하여 질 때 즉, 인장하중 최초 전달지점의 차이로 인한 하중전달 메카니즘의 차이를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가압이 가능한 모형토조 내에 조성된 다져진 화강 풍화토 지반에 소형 현장타설말뚝을 타설하여 인발 시험, 크리프 시험, 반복 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말뚝 선단인발시의 극한 인발지지력이 말뚝 두부인발시에 비해 약 30%크게 계산되었다. 또한 선단 인발시의 말뚝이 크리프 변형에 대해 매우 안정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선행 인발을 실시하면 수직 크리프 변형에 대해 보다 더 안정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반복재하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반복 할선탄성계수 값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선단 인발시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디지털 로드 셀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Load Cell)

  • 배인호;박흥준;박찬원;민남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726-272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로드 셀의 국산화 결과를 보고한다. 개발된 로드 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A/D분해도: 20 bit, 변환속도: 100 Hz, 정도: < 0.02% R.O., 반복특성: < 0.01% R.O. 사용온도범위: $-20{\sim}80^{\circ}C$, 온도특성: < 0.03% R.O./$10^{\circ}C$, 진단기능: 자체내장, 자체보정기능: 온도, 편심오차, 크리프 보정기능 내장, 보호회로: surge lightening.

  • PDF

반복크리프 특성을 이용한 피로하중을 받는 RC 보의 휨손상 연구 (A Study on the Flexural Damage of RC Beams Under Fatigue Loading Using A Cyclic Creep Characteristics)

  • 오병환;김동욱;홍경옥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365-370
    • /
    • 1998
  • The creep strain of the compression zone of concrete beam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should be a significant factor in increasing strain and deflections. An analytical model which is similar to a previous one is presented to predict the increase in cyclic creep strain and the damage using the properties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concrete and steel. The analytical expressions are compared with our experimental data. The effect of concrete-creep is accounted by the term En, Icr,n, and Mcr,n. In this study, it is proved that cyclic creep exponents 'n' in Cyclic Creep Model, according to the parameters -strength, range of stress- have the various values. It is hoped that with the availability of more experimental data and better understanding of some of the complex behavior, the model could be further improved.

  • PDF